무림일기 세계사 시인선 50
유하 지음 / 세계사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새 나는 시란 무엇인가, 란 물음을 자주 갖는다. 물론 이에 대한 답이 하나로 존재한다면 나는 시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자꾸만 질문하게 되고, 그에 대한 정확한 답을 찾지 못함에 절망하는 것도 태도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를 생각해볼 뿐이다. 유하의 시는 나의 이러한 태도에 힌트 혹은 실마리가 되어준다. 시는 신성한 것이다, 라고 나에게 다짐한 적이 있다. 이것은 내게 틀을 제공했는데, 이 틀은 어디까지나 수정 가능한 것이었다. 신성하다는 것은 결국 자기 나름의 기준에서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하의 시에서 보여지는 문화와 시의 공존 가능성이 시의 신성함을 해하고 있는가, 라고 물었을 때 그렇지는 않다. 결국 시라는 것 역시 일종의 가능성의 문을 열어둔 공간이라 할 때, 유하는 그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인이다.

대중에게 쉽게 받아들여지는 문화 속에서 시의 공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유하는 『무림일기』에서 고민한다. 그리고 그 해답을 시의 양태로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시인 유하에게 시는 비판의 장소이기도 하다. 자신조차 쉽게 흡수하고 있는 문화 속에 존재하는 사회적 의미를 유하는 시에서 밝혀내기 때문이다. 이는 그의 시집 중 무림일기와 영화 사회학이라는 제목 하에 쓰여진 시들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무협지를 통해 유하는 우리나라의 잘못된 정치를 비판하고, 영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잘못된 문화를 비판한다. 그의 비판의 칼날이 꼭 바깥으로만 드리워지는 것은 아니다. 유하는 이와 같은 비판을 서슴없이 시를 쓰는 자신에게까지 적용한다. 「죽도 할머니의 오징어」, 「세상아, 놀자」, 「돌아온 외팔이」와 같은 시들에서 보여지는 자신의 시쓰기에 대한 질문은 웃음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그의 날카로운 지적이 외부 세계로만 뻗어나가는 것은 아님을 알게 한다.

그러나 나는 시가 인생의 잠언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잠언의 형태를 띠지 않은 잠언으로 시가 존재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렇다면 유하의 시는 하나의 실마리는 될 수 있을망정, 거기에서 머물고 마는 것은 아닐까. 그의 시는 '정작, 두 손으로 힘겹게 열어야 하는/ 그,/ 어떤,/ 문 앞에서는,/ 키위 키위 울고만 있는 것'은 아닐까. 아직 나는 그 문 앞에도 당도하지 못했기에 이런 질문을 한다는 것이 일종의 무책임을 담보하고 있지만, 그의 가능성의 모색이 한편으로는 방법론에 좌우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여러 편의 시에서 드러나는 그의 비판적 문화 읽기는 독자를 감동시키지 못하는 재밌는 중얼거림으로 그치고 만다. 중도를 지키는 어려움에 대한 철학자의 말은 시에도 적용되는 진리라는 것을 유하의 시는 알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