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의 말들 - 후지이 다케시 칼럼집
후지이 다케시 지음 / 포도밭출판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를 데려다 주러 도서관에 갔다가 빌려온 책이다. 펼쳐보지도 못하고 가져다 주려다 병원에 갔다가 대기 중에 책을 펴들었다. 병원에 갔다가 책을 반납해야지 했는데 대기 읽은 아래 문장으로 인해 끝까지 책을 읽기로 했다.

 

아무리 사소한법규 위반이라도 자신의 판단으로 의식적으로 저지르게될 사람은 긴장감 속에서 많은 것을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게 된다그때 이미 우리는 우리의 운명을 좌우하게  순간 속에 있다 순간 정치는 시작된다.

 

정치란 원래  바깥에 있다대의제민주주의의 핵심기관인 의회에서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법의 제정 또는  개폐인 것은합법과 불법의 경계선이  유동적이어서 그것을 그때그때 정하는 것이 바로 정치의 기능이기 때문이다정치는 항상 이미 불법행위를 전제로 하며 그런 토대 위에서 작동한다 - P39

 

해방의 순간이란 움직일  없는 자연법칙처럼 보였던 사회질서가 사실은 자의적이고 인위적인 것임을드러내는 순간이다다시 말해 순간부터 사물 같았던 질서가 사람들의 모습으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 P47

 

"그리고 드디어  가해자가 가해자의 위치에서 스스로 탈락한다그때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비인간적인 대치 속에서 비로소  인간이 생겨난다. ‘인간은 항상 가해자 속에서 생겨난다피해자 속에서는 생겨나지 않는다인간이 스스로를 최종적으로 가해자로 승인하는 장소는 인간이 스스로를 인간으로서하나의 위기로서 인식하기 시작하는 장소이다."  - P59

 

 

관계를 이야기할 사람들은 피해자성을 내세우곤 한다. 연인 관계조차도 관계가 내게 미치는 피해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들여다보면 대부분은 결국 관계는 얽혀있어서 피해와 가해의 상황을 나누기 어렵다.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을 이용한 그런 관계에 대한 언어에 지쳤다. 사람은 피해상황만을 이야기할까? 본인이 관계를 만들어낸 역학관계는 말하지 않을까? 답은 아직 인간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기는 감추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짜 살고 싶다면 위기를 직면하고 있어야 한다. 그것을 또렷이 말할 있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사회적 약자들이 어찌할 수 없이 가질 수밖에 없는 피해자성, 그것이 유효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날카롭게 파고든다.

 

한국으로 유학 역사학을 전공한 일본인 후지이 다케시라는 사람의 글이다. 위안부 문제, 베트남전, 뉴라이트 등에 대해 날카롭게 이야기한다. 피해자일 편해지는 마음, 이슈화된 것들에 대해서만 날서고 그런 채로 접합되며 여전히 남은 문제들이 교묘하게 작동하고 있는 곳들의 심부를 찌른다. '국제시장', '아이캔스피크' 영화 비평들도 마찬가지로 그런 지점을 날카롭게 들여다본다.

 

한국 정치사회, 촛불집회가 있던 시절의 이야기를 읽으며 그때의 혼란을 들여다보던 다른 시선이 지금도 유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지금 정부(윤석열 정부) 들어선 것도 그처럼 날선 시선으로 사회가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때 도취된 축제 분위기로 받아들이던 탄핵이며 승리가 지금을 낳았을 것이다.

 

역시 말들 속에서 돌아보았다. 두고 것들에 대한 미련을 버릴 있게 해주었다. 나의 도피는 무엇이었을까에 대해 답을 얻었다. 새로운 이름을 짓고 싶어서였다. 눈을 감아야 새로운 세계를 상상할 있다. 낭만에 젖어 선택이었던가, 앞으로는 어떻게 것인가에 대해 너무 무책임했던가 스스로를 질책하는 마음이 사라졌다. 이미 선택이라고 아무리 되뇌어도 여전히 그런 생각의 자욱이 남아있었는데 깨끗이 씻겨나갔다.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고 살아가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