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추락/머니랩>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끝나지 않은 추락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스티글리츠의 세계경제 분석
조지프 스티글리츠 지음, 장경덕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모기지 채권... 

불과 3년전만 해도 이 단어를 이해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당시엔 ABS네, CDS네 하는 단어는 심지어 월가의 전문가들조차 제대로 이해 못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라이어스 포커'의 저자는 그의 또다른 책 '빅 숏'에서 밝힌다. 

이 책을 읽으며 오버랩되는 책/저자가 정말 많았다. 

특히 '빅 숏'의 마이클 루이스가 생각이 났다. '빅 숏'은 월가 내부에서 금융 위기를 다룬 넌픽션이라는 측면에서 이 책과 같이 읽으면 흥미로운 점이 참 많다고 생각한다. 

그 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포일러가 될 것이기에 일단 패스~ 

다시 스티글리츠 교수의 '끝나지 않은 추락'으로 돌아와서... 

모기지 채권과 리먼 사태로 요약될 수 있는 금융위기는 사실 그 근원을 어디로 보느냐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생각된다. 

다만 그 핵심적 이유와 현황에 대한 분석은 학자별로 비슷하나, 전망에 대해선 크게 그린스펀-버냉키와 미 재무부로 이어지는 라인과 스티글리츠와 루비니 교수 등의 소위 재야 고수들의 의견이 조금씩 달라진다고 볼 수 있을거 같다. 

일단 이 책은 공황으로 이어질지도 몰랐던 경제 위기의 근원을 파헤친 뒤, 거기에 대한 본인의 현재 분석,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순으로 이어져있다. 

게다가 원어 초판과 달리, 한국 번역판에는 경제위기 초기에 저자가 진단하고 제시했던 내용의 반영이나 그 뒤의 진행에 대한 의견 등 추가적인 내용이 들어있어 더욱 알찬 책이라 생각된다.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얼마나 깊은 수준의 경제학적 지식이 있어야 하는지, 본인도 경제학도가 아니라서 정확히 모르겠다. 

하지만 저자가 정통 케인지언이며, IMF 부총재를 하다가 그만 둔 전력 등 여러 이력을 감안하고 본다면 이 책은 또다른 흥미로운 이야기꺼리를 우리에게 제공해준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저자도 경제위기 이후의 세계에 대해 미래가 어찌될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를 그다지 낙관하고 있지 않음은 분명하며, 그동안 큰 숫자를 가지고 숫자놀음/도박을 해온 집단이 있었으며, 게다가 지금도 그들을 손보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책을 읽으며 알게 된다면 대부분의 독자는 기분이 그다지 좋지 않을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 어떻게 돌아가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이 책은 어쩌면 경제위기와 관련된 책들 가운데 '종결자'로 불려도 흠이 없는 책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번엔 추천 대상보다는 같이 읽어서 재미있는 책을 한권 추천하고 싶다. 

이미 언급한 '빅 숏'. 아마 이 책 두권이면, 경제위기의 원인에 대해선 대략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나지 않은 추락/머니랩>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머니랩 - 돈이 벌리는 경제실험실
케이윳 첸 & 마리나 크라코브스키 지음, 이영래 옮김 / 타임비즈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인상이 강렬하게 남은 책 가운01데 하나가 '슈퍼크런쳐'라는 책이다. 

데이터마이닝에 관한 책으로, 트렌드와 연구의 새로운 방법에 대한 책으로 큰 의미가 있었는데, 전방위적인 측면이라는 점에서 본 책과는 조금 다른 느낌이다. 

머니랩, 말 그대로 '돈 실험'에 관한 책이다. 

인간의 본성과 행위에 대한 실험을 통해 소비자의 반응, 판매 전략 수립 등에 큰 도움을 주는 머니랩에 대한 이야기가 본 책의 핵심이다. 

본 책은, 불확실성과 리스크부터, 평판, 그리고 시스템의 이용까지 경제 활동과 관련된 전방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처음에 읽으면서, 이러한 마케팅이나 전략을 세우는 일과 무관한 자리에 있는 사람에겐 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책을 읽어나가면서, 경제활동을 통해 인간 본성을 보여주는 아주 좋은 장점이 이 책에는 있었다. 

소비자로서, 판매자로서의 수준이 아닌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이 충분하게 들어있는 것이다. 

아울러, 평판 등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뤄지는 판매자 별점/제품 별점 등에 대한 이야기에서 우리가 직접 오픈 마켓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혜도 얻을 수 있다. 

이 책에 종반부에서는 슈퍼크런쳐까지도 비교하여 어떤 경우에 어떤 분석을 사용하여 예측을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일목요연한 비교까지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과 이해력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권하고 싶은 사람은... 

1. 인간 본성에 대해 알고 싶다. 특히 경제 활동과 연관한다면 더욱! 

2. 신뢰와 평판, 그리고 경제에 대한 인간의 특성에 대해 알고 싶다. 

3. 경제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 특히 마케팅, 재고 관리, 소비자 응대 부서 등. 

이 책을 피해야 할 사람... 

1. 돈이라면 이야기 할 필요 없다. 어떤 이유에서든...(돈에 대해 금기시하던지, 아니면 경제활동에 대한 책을 싫어하던지..) 

 솔직히 왠만하면 일독을 권하고 싶은 상당히 드문 책이었던게 사실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경영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최근 쏟아지는 현대 경제에 대한 역사 입문서. 

귀납적 접근보단 연역적인 접근을 시도해서 흥미로운 책. 

LTCM 등 배경 지식이 있을 경우 더 흥미로울 거 같은 책. 

이번달에 나온 신간 중 제일 구미가 당기는 책 중 하나. 

 

 

 

  

리더십에 대한 책은 생각보다 많다. 

그러나 리더십의 반쪽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팔로워십에 대해 조명한 책은 그리 흔하지 않다. 

이 책은 그 점만으로도 읽어볼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진화 심리학에 대한 책이 여러권 소개되어있다. 

이 책도 그러한 책의 연장 선상에 있는 책으로, 우리 소비심리와 더불어 마케팅에 어떻게 인간의 심리를 활용할 것인지 고민해볼 수 있는 화두와 아이디어를 제공해주는 책. 

인간의 불안은 소비로 (잠시나마) 해소된다는 경험론적인 측면에서도 흥미로워 보이는 책. 

 

 

 

미래학자의 최고봉은 아직까지는 앨빈 토플러일 것이다. 

이 책의 목차를 차근차근 보다보면, 뭔가 다른 측면이 눈에 띈다. 

자칭 트렌트 컨설턴트인 저자가 우리가 미쳐 보지 못한 사각을 일곱분야나 골라준다는 측면에서 신선하다. 

이번달에 꼭 읽어보고 싶은 책 3권 중 1위. 

 

 

 

경제 예측은 정말 잘 안맞는다. 

일기예보보다도 더 낮은 거 같다. 

어쩌면 예측 자체가 결과에 반영이 되어버리는 재귀적인 측면때문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한국 경제에 대해 비관론적인 측면이 강해 보인다. 

그러나 모두가 코스피 2000을 외치는 지금, 한번쯤 읽어봐야할 책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교회가 잘못 알고 있는 101가지 성경 이야기 한국 교회가 잘못 알고 있는 101가지 성경 이야기 1
윤석준 지음 / 부흥과개혁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교회의 타성과 어리석음을 꾸짖는 책.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코노믹갱스터/린치핀>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이코노믹 갱스터 - 세계 경제를 주무르는 경제파괴자
레이먼드 피스먼 & 에드워드 미구엘 지음, 이순희 옮김 / 비즈니스맵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인간이 모여서 정치가 발생하고, 권력이 발생하면 반드시 부패가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러한 인간의 부패, 그리고 단순히 개인의 부패가 아닌 시스템 내에서의, 시스템 자체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부패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로 보면 좋을거 같다.  

인도네시아의 사례와 다른 사례를 엮어 서민의 삶과 사회의 연관성, 그리고 경제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은 새롭다. 

인도네시아의 시스템 상의 부패를 예로 들어 부패라고 다 같은 부패가 아니며, 시칠리아의 마피아 이야기를 곁들여 중앙집권화된 부패와 그렇지 않은 부패의 결과를 비교하는 점도 흥미로웠다. 

부패와 경제 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요즘의 여러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는 약간 거꾸로 가는게 아닌가 싶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로 많이 묘사된다.(대조군인듯) 

번역도 잘 된듯 하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썩 흥미롭게 읽지는 못했다. 

일단, 책 안내를 읽고나면 대략 짐작이 가능했고 경제 발전과 부패에 관심이 있는 독자가 아니면 흥미 수준의 내용이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부패라는게 폭력과 시스템과 밀접하기에 읽으며 씁쓸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이 책에 대해 긍정적인 점은, 단순히 문제를 제시하는게 아니라 그 해결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학과 빈곤, 부패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겐 필독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