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빨간머리앤 > [퍼온글] 포스코교육재단 유치원~고등까지 도서목록 600권

포스코교육재단은 지난 2003년 4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생들이 읽어야 할 책 600권을 선정하는 등 독서 활성화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포스코교육재단 독서교육 활성화 연구추진위원회가 1차 선정하고 학교별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한 필독도서는 유치원 50권, 초등학교 300권, 중학교 150권, 고등학교 100권이다.

여러 학교에서 독서교육을 하고 있지만 포스코교육재단처럼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일관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어서 교육계의 많은 관심을 불러 모은 바 있다.

포스코교육재단은 학생들이 유치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600권의 필독 도서를 차근차근 읽어 나가면 자연스럽게 문리(文理)가 터지는 것은 물론,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르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치원

요셉의 작고 낡은 오버코트가(심스태백)

 

 

 

 바람부는 날 (정순희)

 

 

 

숨쉬는 항아리 (정병락),

 

 

 

 미술관에 핀 해바라기 (제임스메이휴), 누구 발자국일까? (밀리센트 엘리스 셀샘), 강아지 태어났어요 (조애너 콜), 호랑이와 곶감(탐구시리즈 : 한국의 민화 2) (위기철), 호랑이 잡은 피리 (강무홍), 제랄다와 거인(비룡소 그림동화 027) (토미 웅거리), 재주 많은 다섯 친구 (양재홍), 어떻게 해가 하늘로 다시 돌아왔을까 (호세 아루에고), 꿀꿀 돼지 (최민오), 까치와 호랑이와 토끼 (김중철), 개와 고양이 (김중철), 이슬이의 첫 심부름 (쓰쓰이 요리코), 피터의 의자 (에즈러 잭키츠), 멍멍의사 선생님 (배빗콜), 트레버가 벽장을 치웠어요 (롭루이스), 크릭터 (토미 웅게러), 종이학 (몰리 뱅), 앵무새 열마리 (퀀틴 블레이크), 알을 품은 여우 (편집부 편), 도대체 그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이호백), 아기곰의 가을 나들이 (데지마 게이자부로), 손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채인선), 낮잠 자는 집 (오드리 우드), 내 사랑 뿌뿌 (케빈 헹크스), 내 친구 커트니 (존 버닝햄), 누가 내 코 못봤니 (앙또냉 루샤르), 눈오는 밤 (닉 버터워스), 도깨비를 혼내버린 꼬마요정 (토미야스 요우고)

초등 1학년

1학년 넌 어떻게 생각하니 (박신식 외),
개구쟁이 노마와 현덕 동화나라 (현덕), 꿈을 찍는 사진관 (강소천), 혼자서도 할 수 있어요 (노성두), 구렁덩덩 신선비 (김중철), 마들렌카 (피터시스), 날마다 하나씩 우스개 옛이야기 (정태정), 만희네 집 (권윤덕), 멀뚱이의 식물 일기 (김지희), 등대지기 우리 아빠 (반신식), 동화책을 먹은 바둑이 (노경실), 또야 너구리가 기운 바지를 입었어요 (권정생), 이거 알아 (양대승), 삼촌과 함께 자전거여행 (채인선), 세상이 생겨난 이야기 (김장성), 아무도 모를 거야 내가 누군지 (김향금), 거인 사냥꾼을 조심하세요 (콜린맥노튼), 이솝이야기 (이솝), 칠판앞에 나가기 싫어 (다니엘포세트), 토끼불알을 만진 노루 (어린이도서연구회),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 (조대인), 봄날, 호랑나비를 보았니? (조은수), 황소와 도깨비 (이상권), 학교(시민학교4) (로라자폐 외), 세상의 낮과 밤 (발레리기두), 거미도 곤충인가요 (아만다오닐), 배가 고플 때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 (브리깃애비슨), 까만 산의 꿈 (이인), 한국인물이야기(1학년 선생님이 권하는) (김용란), 세계인물이야기(1학년 선생님이 권하는) (김유리), 고양이(민들레 그림책 4) (현덕), 선생님은 모르는 게 너무 많아 (강무홍)

초등 2학년

가슴 뭉클한 옛날이야기 (김장성), 갑수는 왜 창피를 당했을까 (노경실), 까막눈 삼디기 (원유순), 나무 위의 아이들 (파우제방), 나보다 작은형 (임정진), 나비를 잡는 아버지 (현덕), 내 마음의 선물 (오토다케), 내게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여동생이 있습니다 (피터슨), 너 먼저 울지마 (안미란), 프레드릭 (레오리오니), 떡볶이 따라 몸 속 구경 (몽당연필), 어두운 계단에서 도깨비가 (임정자), 마음을 열어주는 우정이야기 (우리누리), 비나리 달이네 집 (권정생), 산골아이 (황순원), 새 하늘을 연 영웅들 (정하섭), 시튼 동물기 (최헌 옮김), 엄마 없는 날 (이원수), 왕자와 거지 (마크 트웨인), 재치가 배꼽을 잡는 이야기 (조호상), 라디아의 정원 (사라스튜어트), 플랜더스의 개 (위다), 학교에 간 개돌이 (김옥), 땅은 엄마야 (이금이), 우리 국토 수놓은 식물 이야기 (우리누리), 시계가 말을 걸어서 (민현숙), 아빠와 토스트 (원유순), 친구 없이는 못살아 (이재복), 기차는 왜 철로에서 떨어지지 않을까요 (크리스메이나드), 나무에는 왜 잎이 있을까요 (앤드류 체어맨), 말놀이 나라 쫑쫑 (허은이), 어린이 솔거나라 시리즈 중 5권, 바람도깨비 (어린이 도서연구회), 빈둥빈둥 투닉스 왕 (미라로베), 꿈꾸는 뇌 (조은수), 너 그거 이리 내놔 (티에리르냉)

초등 3학년

길모퉁이의 짐 할아버지 (엘리너파전), 꿈꾸는 요요 (홍윤희), 나쁜 어린이표 (황선미), 그래 넌 할 수 있어 (박명희), 내게는 아직 한쪽 다리가 있다 (송방기), 김치는 영어로 해도 김치 (이금이), 밤 안개 (이원수), 별을 키우는 아이 (배익천), 보리타작하는 날 (윤기현), 유니콘과 신비한 동물들 (마가렛 마요), 삼총사 (뒤마), 갯벌 (박경태), 새로 찾은 우리신화 (김종상), 아주 특별한 우리형 (고정욱), 양파의 왕따일기 (문선), 엄마 마중 (방정환), 열두 사람의 아주 특별한 동화 (송재찬), 숫자랑 놀자 (마생), 우리풍속 이야기 (김용란), 윤일구씨네 아이들 (소중애), 지혜가 가득 우리고전 (우리누리), 초대받은 아이들 (황선미), 파란 눈의 내 동생 (이지현), 행복한 왕자 (오스카와일드), 개구쟁이 산복이 (이문구), 옷감짜기 (김경희), 마주보고 크는 나무 (조성자), 여우야 꼬리 좀 빌려줘 (엽영렬), 여우씨 이야기 (요제프라다), 사과나무 위의 할머니 (미라로베), 깨비 깨비 참 도깨비 (김종대), 할아버지랑 우주여행 (라이너 크루메네를), 난 뭐든지 할 수 있어 (아스트리드린드그렌), 삼재골의 웃음소리 (조대인), 지혜 높이 하늘 높이 (김원석), 아이쿠나 호랑이 (윤태규), 종이밥 (김중미),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희아의 일기 (이희아), 몰라쟁이 엄마 (이태준), 말더듬이 원식이 (김일광), 10원으로 배우는 경제이야기 (미셀 르뒤크), 생명의 저울 (김경호), 아버지를 찾아서 (정하선), 호랑이 등에 걸터앉은 소년 (출판부)

초등 4학년

마사코의 질문 (손연자),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 (니콜라우스 피퍼), 까치우는 아침 (황선미), 아낌없이 주는 나무 (쉘 실버스타인), 미오, 나의 미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내 친구 11월의 구름 (힐러리 루벤), 홍당무 (쥘 르나르), 일기 감추는 날 (황선미), 돌아온 진돗개 백구 (송재찬), 떠돌이 할아버지와 집 없는 아이들 (나탈리새비지), 루이브라이 (마가렛데이비슨), 한스와 아이들 (아드리아나), 휠체어를 타는 친구 (졸프레드뤽), 가만있어도 웃는 눈 (이미옥), 마지막 왕자 (강숙인), 검정말 이야기 (신현득),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이금이),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 (윤동주), 나무가 무슨 생각을 하지 (유경환), 슬픈 나막신 (권정생), 생명이 들려준 이야기 (위기철), 서울로 간 허수아비 (윤기현), 수경이 (임길택), 야생동물 구조대 (조호상), 우리는 어떤 집에서 살았을까 (출판기획 서가), 잠깨는 산 (조대현), 꽃 전설 (이관), 세계의 전설 (한태석), 나무가 되고 싶은 화가 박수근 (우리누리), 보이지 않는 힘으로 세상을 움직인 아인슈타인 (김혜경), 꼭 가고 싶은 우리 유적지 (우리누리), 백제를 왜 잃어버린 왕국이라고 하나요 (권오용), 신라를 왜 황금의 나라라고 했나요 (전호태), 별볼일 없는 4학년 (주디블룸), 하늬와 함께 떠나는 갯벌여행 (박용해), 나는 어떻게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차오름), 놀라운 동물이야기 (장수하늘소), 숨겨진 식물이야기 (장수하늘소), 우리 선생님 최고야 (하이타니 겐지로), 세번째 소원 (이오덕), 남북공동초등학교 (신천희), 별난 동물들의 대모험 (팻포스너), 사랑의 학교 (데이미치스)


초등 5학년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바스콘셀로스), 몽실언니 (권정생), 아버지의 바다 (김일광), 독수리의 눈 (론 버니), 새록새록 성경이야기 (마이클 콜먼),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셰익스피어), 작은 아씨들 (올코트), 클로디아의 비밀 (코닉스버그), 키다리 아저씨 (진웹스터), 톰아저씨의 오두막 (스토), 트리갭의 샘물 (나탈리배비트), 산적의 딸 로냐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눈물 많은 아이가 꿈도 많지 (방정환), 돌다리 (이태준), 마당을 나온 암탉 (황선미), 짧은 동화 긴 생각 (이경규), 길 위의 소년 (페테헤르틀링), 거미박사 남궁준 이야기 (김순한), 싸우는 아이 (손창섭), 씨앗을 지키는 사람들 (안미란), 아주 소중한 사랑이야기 2 (조대현), 안내견 탄실이 (고정욱), 경복궁 다리밑 (심상우), 머리가 뻥 뚫리는 수학 (나까다 노리오), 예담이는 열두살에 천만원을 모았어요 (김선희), 채연이의 일기 (김영란), 먼나라 이웃나라 중 1권 (이원복), 고맙습니다, 선생님 (패트리샤폴라꼬), 대조영과 발해 (이광웅), 부자 나라 부자 아이 가난한 나라 가난한 아이 (장수하늘소), 달려라 루디 (우베 팀), 나라의 자랑 국보 이야기 (우리누리), 위대한 영혼 간디 (이옥순), 쥬라기공원의 천재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우승제), 아이들이 묻고 노벨상 수상자들이 답한다 (베티나슈티겔), 정약용과 목민심서 (이광웅), 신비한 우주이야기 (장수하늘소)

초등 6학년

중국 견문록 (한비야), 마지막 수업 (알퐁스 도데), 몽테크리스토 백작 (뒤마), 너도 하늘말나리야 (이금이),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슨), 빨강머리 앤 (몽고메리), 옛날 사람들의 백과사전 (엄한나), 발해를 꿈꾸며 (한예찬), 어린 왕자 (생텍쥐페리), 고학년 탈무드 (마킨 토케이어), 창가의 토토 (구로야나기), 파브르 (송명호), 사금파리 한 조각 (린다수박), 농구화 (김동리), 사과나무밭 달님 (권정생), 선생님의 밥그릇 (이청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톨스토이), 압록강은 흐른다(상, 하) (이미륵),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자전거 도둑 (박완서), 하늘새 이야기 (정채봉), 머릿속을 헤엄치는 지혜물고기 (최은규), 머릿속을 헤엄치는 생각물고기 (최은규), 더벅머리 소년 빌게이츠 (홍당무), 스티븐 호킹 (홍당무), 의사 노먼 베쑨 (홍당무), 어린이 이슬람 바로 알기 (이희수), 다시 쓰는 이야기 한국사 1, 2 (호원희), 한밤중 톰의 정원에서 (필리파피어스), 멋스러운 우리 옛 그림 (우리누리), 어린이 조선왕조실록 (한국문학원), 이집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가 (정종목), 고갱씨 안녕하세요 (미셀삐에르), 모네-빛을 그린 화가 (실비리자르데), 고구려사람들은 왜 벽화를 그렸나요 (전호태), 고학년 성교육 동화 (박정화), 신나는 첨단과학 이야기 (장수하늘소), 최열 아저씨의 지구촌 환경이야기 1·2 (최열), 고향 찾아가는 나무 (이상문), 과학의 발견 (찰스 테일러)

중학교 1학년


몽실 언니 (권정생), 소설 동의보감 (이은성), 백치 아다다 (계용묵), B사감과 러브레터 / 운수 좋은 날 (현진건), 수난이대 (하근찬), 국어시간에 소설읽기 (전국국어교사모임), 아버지 (김정현), 오세암 (정채봉), 연어 (안도현), 봄봄 / 동백꽃 (김유정), 손가락에 떨어진 먹물 한 방울(운형전) (조현설 각색), 자전거 여행 (김훈), 돼지가 한 마리도 죽지 않던 날 (뉴턴 팩), 갈매기의 꿈 (리차드 바크), 80일간의 세계일주 (줄베르노), 목걸이 / 비곗덩어리 (모파상), 빙점 (미우라 아야코), 안네의 일기 (안네프랑크), O 헨리 단편집 (O 헨리), 별 (알퐁스 도데), 이상재 평전 (전택부), 링컨의 일생 (김동길), 아름답고 평등한 퀴리 부부 (에브퀴리), 이야기 속의 논리학 (김득순), 아주 쉽고도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미쿠라야 교이치), 실험학교 이야기 (윤구병), 상식 속의 철학, 상식 밖의 철학 (이진경), 소매치기도 뉴턴은 안다 (최상일), 어떻게 양을 복제할까 (헤이즐 리처드슨), 노빈손의 아마존 어드벤처 (박경수), 수학이 수군수군 (샤르탄 포스키트), 벌레도 재채기할까? (제임스 웽버그),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우종영), 한국생활사 박물관 6 (발해, 가야생활사) (송일호), 나란나란 세계사, 도란도란 세계사 (역사신문 편찬위원회), 그리스 로마 신화 (토마스 불빈치),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권 (주강현)


중학교 2학년

괭이부리말 아이들 (김중미), 사하촌 (김정한), 꺼삐딴 리 (전광용), 등신불 (김동리), 감자 / 배따라기 (김동인), 봉순이 언니 (공지영), 가시고기 (조창인), 당신들의 천국 / 서편제 (이청준), 구운몽 / 사씨남정기 (김만중), 춤추는 소매 바람을 따라 휘날리니 (허균, 류수열 각색),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고운기),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포리스트 카터), 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주홍글씨 (너대니얼 호손), 호밀밭의 파수꾼 (셀린저), 제인에어 (브론테), 레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상록수 (심훈), 대지 (펄벅), 좁은 문 (앙드레지드), 국화 옆에서 (서정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 논리야 놀자 시리즈 1, 2, 3 (위기철), 최경희 교수의 과학 아카데미2(화학, 생물) (최경희), 지구를 살리는 50가지 방법 (지구를 위한 모임), 이야기 한국사 (동양사 연구회), 스무날 동안의 황토기행 (임중혁), 교실 밖의 국사 여행 (역사문제 연구소), 현대 미술의 풍경 (윤난지), 채근담 (홍자성(조지훈 엮음)), 클래식은 내 친구 1 (김정환), 야! 미술이 보인다 (서울교대), 청소년을 위한 성과 사랑 에세이 (강영계), 함경도의 민속 (전경욱), 오체불만족 (오토타케 히로타다), 이야기 중국사 (김희영), 톨스토이 단편선 1, 2 (톨스토이)

중학교 3학년

시인을 찾아서 1, 2 (신경림), 그 많은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서울 1964, 겨울 (김승옥), 19세 (이순원), 새롭게 읽는 한국의 신화 (조성기),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이범선 작품선 (이범선), 무정 (이광수), 원미동 사람들 (양귀자), 태평천하 (채만식), 좀머씨이야기 (쥐스킨트),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양반전 (박지원), 죽은 시인의 사회 (클라인바움), 관촌수필 (이문구),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미치 앨봄), 개미 (베르나르 베르베르), 테스 (토마스하디), 문화의 수수께끼 (마빈헤리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괴테),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육사시집 (이육사), 님의 침묵 (한용운), 시가 내게로 왔다 (김용택), 한국의 마애불 (이태호, 이경화), 백범일지 (김구), 역사의 혼 사마천 (천퉁성), 간디 위대한 영혼의 소유자 (카트린느 클레망 저/이현숙 역), 플루타르크의 영웅전 (플루타르크), 소피의 세계 (요시타인 가이더),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정재승), 게놈 (23장에 담긴 인간의 자서전) (메트리들리), 살아있는 갯벌 이야기 (백용해), 잡초는 없다 (윤구병),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박영규), 동학농민전쟁 역사기행 (역사문제 연구소), 50일간의 유럽예술 체험 (이주헌),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1, 2, 3 (유홍준)

고등학교

열하일기 (박지원), 역옹패설 (이제현), 무정 (이광수), 삼대 (염상섭), 천변풍경 (박태원), 고향 (이기영), 탁류 (채만식), 카인의 후예 (황순원), 서정주 시선 (서정주), 김소월 전집 (김소월), 정지용 전집 (정지용), 윤동주 전집 (윤동주), 일리아드 오디세이 (호메로스),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신곡 (단테), 데카메론 (보카치오), 4대 비극 (셰익스피어), 오만과 편견 (오스틴), 폭풍의 언덕 (브론테), 테스 (하디), 주홍글씨 (호손), 허클베리핀의 모험 (트웨인), 무기여 잘 있거라 (헤밍웨이), 수상록 (몽테뉴), 고백록 (루소), 잃어버린 환상 (발자크), 적과 흑 (스탕달), 악의 꽃 (보들레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프루스트), 구토 (사르트르), 파우스트 (괴테), 도적들 (실러), 노래의 책 (하이네), 백년 동안의 고독 (마르켓), 인형의 집, 유령 (입센), 죄와 벌,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도스토예프스키), 안나 카레리나, 부활 (톨스토이), 아버지와 아들 (투르게네프), 어머니 (고리키), 시경 (시가집), 도연명 시선 (도연명), 이백 시선 (이백), 두보 시선 (두보), 삼국지연의 (나관중), 수호전 (시내암), 서유기 (오승은), 아큐정전 (노신), 삼국유사 (일연), 매월당집 (김시습), 화담집 (서경덕), 성학십도 (이황), 성학집요 (이이), 징비록 (유성룡), 성호사설 (이이), 택리지 (이중환)

--------------------
조선일보 7월 25일자  보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마늘빵 > [퍼온글]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101가지 말과 행동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101가지 말과 행동

아이들에게도 인격은 있다!!!


 ☆ 아이들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히는 말과 행동

 

1 쓸모없는 녀석 같으니라구
2 좀 배워라, 배워!
3 어디서 말대꾸야
4 넌 심부름 하나 제대로 못 하니?
5 버릇없이 어른들 얘기에 끼어드는 게 아냐
6 공부도 못하면서 무슨 오락이야
7 잘했구나, 그런데 영철이는 몇 점 맞았니?
8 우리 애는 아직 철이 없어요
9 그런 시시한 음악 좀 듣지 마라
10 네 누나가 너만할 때는 너보다 똑똑했는데
11 옆집얘는 이번에도 1등 했다더라
12 딴 거 틀어
13 오빠는 남자잖아

 

☆ 아이들의 자율성을 해치는 말과 행동

 

14 숙제부터 해
15 쓸데없는 것 좀 사지마
16 지금은 속셈 학원을 다니란 말이야
17 엄마 말이 맞아, 그 옷은 네게 어울리지 않아
18 만화만 보지 말고 책 좀 읽어라
19 더 먹으라니까
20 딴 데로 새지 말고 곧장 와!
21 너희는 매일 싸우니?
22 넌 왜 맨날 돈타령이야!
23 한 번만 더 반찬 투정하면 다신 밥 안 줄 거야
24 용돈 까먹지 마
25 오늘만 특별이다

 

☆ 아이들의 의욕을 상실하게 하는 말과 행동

 

26 공부 좀 해라, 공부 좀
27 잘 했구나 얌전히 잘 있어
28 당장 하지 않고 뭘 꾸물대!
29 네가 웬일이니? 공부를 다 하게
30 학교 가서 선생님 말씀 잘 들어야 돼, 안 그러면 혼나!
31 당장 안 일어 날 거야!
32 너희 선생님은 왜 그런다니?
33 멋 부리지 말고 공부나 해
34 꾸물대지 마, 이 게으름뱅이야
35 넌 머리가 좋으니까
36 뭘 또 사달래? 안 된다면 안 되는 줄 알아!
37 그런 건 꿈도 꾸지마

 

☆ 아이들에게 잘못된 가치관을 심어주는 말과 행동

 

38 그게 얼마짜린데 잃어버려!
39 울지 마! 엄마가 또 사주면 되잖아
40 아무도 안 보는데 뭐 어떠니?
41 집 잘 보고 있으면 맛있는 거 사줄게
42 제발 말 좀 들어라
43 못써, 그런 말 하면
44 넌 허구한 날 맞고 들어오니?
45 잘났어, 정말
46 너희 아버지 같은 사람은 되지 마라
47 당신 탓이야
48 공부만 잘하면 해 달라는 것 다 해줄게
49 남의 집에서만이라도 조용히 못 하겠니?
50 지니야, 여기 자리 났다
51 넌 텔레비젼이 친구지

 

☆ 아이들의 자신감을 없애는 말과 행동

 

52 넌 정말 구제불능이야
53 이 바보야! 이것도 몰라
54 인사도 제대로 못 하니?
55 넌 이것밖에 못 하니?
56 넌 정말 커서 뭐가 될래!
57 무슨 말을 하는 거야, 좀 똑똑히 말해 봐
58 거봐, 내가 뭐랬니? 넌 못한다고 그랬지?
59 누굴 닮아서 그렇게 못 생겼니?
60 애들 주제에 뭘 안다고 나서니?
61 너 왜 맨날 그 모양이니? 하는 일마다 말썽이니?
62 네가 한 두살 먹은 어린애냐!
☆ 아이들의 창조성을 없애는 말과 행동
63 네가 뭘 안다고 그래
64 하늘이니까 파랗지 당연한 걸 뭘 물어보니?
65 틀렸어, 이건 이렇게 하는 거야
66 그런 건 크면 다 알게 돼
67 엄마 지금 바빠
68 쓸데 없는 짓 하지 말고 공부나 해
69 넌 여자애가 왜 그 모양이니? 남자처럼 굴지 마

 

☆ 아이들에게 부담을 주는 말과 행동

 

70 엄마한테는 너 밖에 없어 넌 꼭 의사가 되어야 해
71 착한 어린애는 그러는 게 아냐
72 네가 이 세상에서 최고야
73 다 널 위해서야
74 꼴이 그게 뭐니?
75 동생에게 양보 좀 해! 왜 그렇게 이기적이니?
76 학원비가 얼만 데 수업을 빼먹어
77 좀 큰 포부를 가져 봐 소방수가 뭐니, 소방수가
78 무슨 애가 그렇게 말이 많니?

 

☆ 아이들을 불안에 빠지게 하는 말과 행동

 

79 실패하면 안 돼
80 너같은 애는 엄마 자식이 아니야! 꼴도 보기 싫어
81 내가 못살아 정말 너 때문에 내가 못산다
82 놔두고 가 버릴 거야
83 뛰지 말아라
84 말 안들을 거면 없어져 버려!
85 그런 위험한 놀이는 하지 마!
86 돌아다니지 말고 집에만 있어
87 다리 밑에서 주워 왔지
88 한번만 더 그래 봐라, 가만두지 않을 테니
89 조용히 좀 못 해!

 

☆ 아이들을 반항하게 하는 말과 행동

 

90 왜 그랬어? 빨리 말 못해
91 방 좀 치우면 어디 덧나니?
92 동생이 뭘 배우겠니? 네가 잘 해야지
93 네가 그랬지? 바른 대로 말 못 해!
94 아빠 들어오시면 혼내 주라고 할 거야
95 정말 엄마 말 안 들을 거야!
96 어딜 갔다가 지금 오는 거야
97 왜 맨날 그런 친구들이랑 어울리니?
98 또 무슨 말썽을 피우려고 그래?
99 넌 착한 아이니까 엄마 말 잘 들을 수 있지?
100 큰 소리를 꼭 쳐야 말을 듣니?
101 엄마가 어렸을 때는 말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구름의무게 > [퍼온글] [펌]작가들이 추천하는 인터넷 문학사이트

 

작가들이 추천하는 인터넷 문학사이트 100선

 

우리는 인터넷 문학사이트의 <모범사이트>로서 이들 사이트들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다른 사이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고 진지한 자세를 견지하며 언어도 가급적 표준어를 사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사이트들로서, 장차 인터넷 문학의 활성화를 위해 좋은 참고가 될 만한 사이트들로 소개하는 것이다. 차후에도 우리는 인터넷상에서 좀더 나은 분류 기준,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작업을 지속해나갈 예정이다.

 

*제목 옆의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 시인 정양의 홈페이지: http://www.jyang.org/

1. 시, 소설, 에세이, 프로파일 등이 장르별로 정리가 아주 잘 되어있다.
2. 지인이 본 정양의 모습, 언론 및 동인이 보는 정양의 창작문학 평가가 잘 정리되어 있다.
3. 시 목록과 시 내용을 좌우 문단으로 나누어 만든 콘텐츠 아이디어는 정양 홈에서만이 볼 수 있는 아주 독특한 아이디어로 평가하고 싶다.

 

2. 맹문재 시인의 홈페이지: http://www.tong.or.kr/mmunjae

1. 시인이 오프라인에서 하는 강의를 온라인상으로 연결하여 과제물을 주고받고, 창작지도를 하는 홈페이지다.
2. 시인의 프로필이 없는 것이 이채롭다.
3. 초기화면 시 수평선 중 "곧은 자세로 힘을 내고 있다. 옳은 힘을 내고 있다"란 행이 이 싸이트의 중심이다. 시인이 창작지도를 하며 하는 말의 핵심이다.

 

3. 이기윤 홈페이지: http://www.poet.or.kr/ky

작품 소개, 작품발표, 개인창작글 게시, 국.내외 문학인 소개와 문학강좌가 있음
특히 개인창작글을 올린 후 감상 비평란을 둔 것이 특색있음.

 

4. 임헌영의 문학광장 http://www.yimhy.pe.kr/

1. 프로필, 주요저서 목차 내용소개 등 꼼꼼이 정리되어 있다.
2. 최근동정란이 이색적이다. 월 스케줄표를 세밀하게 공개하고 있으며, 근황, 최근 문학소식 등을 접할 수 있다.
3. 최근강좌란에는 문학이론 강의, 창작강좌란에는 실제 창작실기를 돕는 강의가 주제별로 올라와 있다.
4. 한국문학, 세계문학, 번역글등의 콘텐츠별로 평론이 구분되어 올라와 있다.
5. 전반적으로 일상어, 문어체 위주로 언어 순화가 잘 되어 있다.

 

5. 최영철 홈페이지: http://gamangcho.hihome.com/

1. 시읽기 게시판에서는 이진영, 정일근 시인 등의 시감상평, 발문이 있다. 최영철 시인의 시적세계관, 시정신을 읽을 수 있다. 게시물을 클릭할 때마다 새소리가 참 듣기 좋다.
2. "절망할래야 절망할 시간이 없는 세상을 살면서 기복이 있어야 흐르는 물이다, 절실하지 않은 것은 가짜다" 등의 메시지가 있는 각종 산문이 있는 세상읽기도 좋은 읽을거리이다. 역시 물소리가 참 맑다.
3. 부산, 부산문화를 다룬 게시판도 있고, 사진, 신문기사, 평문 등을 올려놓은 최영철 시평도 관심있게 읽을 거리이다.
4. 언어사용은 문어체, 일상어 위주로 언어 순화가 잘 되어 있다.

 

6. 노혜경의 문학세상: http://urimodu.com/

1. 노혜경의 시는 <새였던 것을 기억하는 새>, <뜯어먹기 좋은 빵> <뜯어먹기 좋은 빵 이후>로 나뉘어 올려졌다.
2. 노혜경의 문학세상에는 일종의 문학적 자서전이라 불리울만한 글들이 올려졌다. 좋은 읽을거리이다.
3. 대담과 평론도 관심거리이다. "여자의 몸, 여자의 말, 여자의 시-김정란,김혜순,노혜경" 현대시학 97년 8월호 특집 대담이 눈에 띈다.
4. 정치 사회적인 이슈, 생활수필, 독서일기를 올려놓는 문화칼럼도 재미있다.
5. 게시판 전반적으로 일상어 위주로 언어 순화가 잘 되어 있다.

 

7. 황국명 교수의 문학세계: http://story.inje.ac.kr/

1. 누구나 소설과 시 문학평론, 문화비평을 발표할 수 있다.
2. 타인을 억압하지 않으면 자신도 자유를 얻는다는 캐치프레이즈를 갖고 있다.
3. 가상강의실이 있다.

 

8. 김이구의 문학마을: http://myhome.netsgo.com/kg5104

1. 작가 약력과 사진첩을 구경할 수 있다.
2. 문학과 시대와 삶을 이야기하는 문학포럼란이 눈길을 끈다. "통일시대의 문학과 생활" 등의 평론, 서평 등이 실린다.
3. 잎새소설집 <첫날밤의 고백>, 소설집 <사랑으로 만든 집>에 대한 소개, 각종 미디어 리뷰, 서평 등이 꼼꼼하게 정리되어 있다. 잎새소설집에선 8편이 발췌되어 있고, 단편소설은 4편이 올라와 있다.
4. 1980년대에 썼던 시 10편이 시마을 게시판에 올려졌다. 시적 형상화는 그런대로이지만, 당시 시대상황을 짐작케 한다.
5. 그 외에 이미지창고, 영화와 만화, 물망초, 성인유머방 등의 게시판이 더 있다. 모두 문학을 깊게 하는 양식들로 인식하며 짚어나가고저 하는 열정이 있다.
6. 언어는 문어체 일상어 위주이다. 일부 자유로운 글방에서 작가의 사투리, 채팅용어도 눈에 띄지만, 그 덕분에 홈페이지 전체가 훈훈해지는 효과도 있다.

 

9. 백석: http://limaho.hihome.com/

1. 백석시인 연보, 프로필이 세세하고 꼼꼼하게 정리되어 있다.
2. 시는 제 1부 8.15 이전시 <사슴>에 수록된 작품, <사슴에 수록되지 않는 작품. 제 2부 8.15 이후 동화시로 구분되어 올라와 있다. 그 외, 번역시, 소개하지 않은 시도 정리되었고, 각 시마다 낱말풀이까지 달아놓아 고어의 해석을 돕고 있다.
3. 백석시인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읽는 맛도 재미있다.
4. 사진첩은 백석 시인의 삶을 더듬어보는 귀한 발자취다.
5. 수필 7편이 올라와 있다.
6. 송준의 백석평이 있다.
7. 자료실 1에는 백석시인 연구논문, 평론, 서평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8. 자료실 2에는 기타 백석의 삶과 관련된 자료들이 올려지고 있다.
9. 각종 참고문헌이 빼곡하게 정리되어 있어 앞으로도 백석 시인을 연구하고저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10. 밀양시인 이응인: http://len4.netian.com/

1. 시인의 소개, 신작시 93편, 산문, 삶의 단상에서부터 서평 등의 문학 정보들이 있다.
2. 시창작교실에는 회원시를 올리고 있고, 한국 현대시의 단순성에서부터 시창작에 도움될 만한 정보들이 많다.
3. 회원들끼리 주고받는 이야기나눔터 사랑방의 정담도 좋다.
4. 내가 읽은 좋은 시들도 149편이나 올라와 있어 좋은 읽을거리이다.
5. 으레껏 있는 방명록이 따로 없고 시인에게 메일보내기만 있다.

 

11. 철수랑 시쓰기: http://www.chulsupoem.net/

1.아끼는 마음으로 함께, 느리게, 즐겁게 시쓰기로 나아간다. 삶에 대한 최선의 사랑과 긍정, 생의 지혜가 담긴 시문학 활동을 지향한다.
2. 오철수 시인과 더불어 카페 "철수랑 시쓰기" 시작, 시동인 "타블로 라사" 태어남. "관계-차이-파트너쉽"에 기초한 시문학 활동 지향한다.

 

12. 유용주의 삶과 문학: http://www.yyongjoo.wo.to/

1. 느낌표 선정도서 [그러나 나는 살아가리라]로 유명한 시인 겸 소설가인 유용주의 삶과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마음 편하게 다녀가며 글을 올릴 수 있는 편안한 집
2. 독자가 만들어 준 팬페이지
3. "유용주가 소설로 갔다. 슬프지 않았다" 메인화면에 이정록 시인의 싸인으로 시에서 소설로 장르전환한 작가의 길을 눈치챌 수 있다.

 

13. 복효근 홈페이지: http://www.boksiin.com/

1. 마흔 살의 시론과 신작시 23편이 올라와 있다.
2. 기행산문과 어른을 위한 동화 총 8편이 올라와 있다.
3. 어빙스톤 지음, 최승자 역 <빈센트 빈센트 반 고흐>에서부터 짧은 독서 메모, 삶의 단상을 적은 메모게시판이 있다.
4. 시인의 저작물에 대한 전문 평론, 서평 등이 정리되어 있다.
5. 시인이 걸어온 길(프로필)이 있고, 저서는 시집 제목, 표지 스캔, 출판사 정도만 정리되어 있다.

 

14. 시인 안도현의 공식 홈페이지: http://www.ahndohyun.com/

.안도현 시인과 안도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어울림이 조화로운 홈페이지
.시창작교실, 회원게시판 운영, 홈페이지 전면에 회원들의 활발한 참여.

 

15. 소설동창회: http://fiction.new21.net/

-사이버문학 포털사이트인 ''''''''스토리 문학관(www.story.com)의 문학클럽.
-적극적인 창작활동과 모임활동을 하는 사람에게만 정회원의 자격이 부여되며, 교내백일장 이용이 가능하다.

 

16. 시인들의 섬: http://poeman.net/

-프리첼 내의 아마추어 문학 동호인회
-전문가의 창작지도를 배제하고 회원들이 직접 시를 쓰고 평가하는
회원시 중심주의를 지향한다.

 

17. 詩 茶 琴: http://www.sidagm.net/

-야후 채팅 사이트에서 만난 몇몇의 사람들이 애송시와 자작시 낭송 모임으로 만든 것이 발전.
-문학 외에 그림과 영상. 음악을 같이 즐길 수 있다.

 

18. 마로니에 샘가: http://www.saemga.com/

* 아동문학동인회
* 마로니에 샘가 사이트는 http://www.marronnier.org 도메인과 http://www.saemga.com 도메인을 겸하고 있다.
* 밝고 아름다운 인터넷, 그 첫 자리가 되고자 한다고 말한다.

 

19. 문예: http://penart.co.kr/

-한국詩문화회관이 운영하고 있는 문학예술 포털사이트로 오프라인에 보관되었던 문학 전반을 비롯 음악, 미술, 영화, 공연 등 문화전반의 자료들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20. 한글사랑 가나다: http://myclub-www.korea.com/ganada

1. 한글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임. 정확하게 말하자면 문학 사이트이기보다는 국어학 사이트일 것임.
2. 어문규정 (한글맞춤법, 문장부호, 표준어 규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3. 바른말 고운말 (바른말, 언어 예절, 뜻구별, 순화 어휘, 잘못 쓰는 어휘, 순우리말사전, 쪽지사전)
4. 우리말 나들이 (이모저모, 한글 새소식, 어원 이야기, 한글 이름, 민속 생활 어휘, 관용어사전, 상식 수첩)
5. 띄어쓰기 (입체 해설, 알쏭달쏭, 띄어쓰기 요령, 띄어쓰기 사전)
6. 배움터 (한글이란?, 맞춤법 풀이 열쇠 27, 문법 교실)
7. 자료창고 (국어 자료, 논문 자료, 원문 자료, 그 밖의 자료)

 

21. 피스 브레이커: http://club.simmani.com/peacebreaker

1. 심마니 클럽>문화/예술>판타지/SF 카테고리에 있는 사이트로, 회원수에 비해 상당히 활성화가 된 동호회임.
2. 판타지/SF 카테고리에 있지만, 본격적인 SF소설은 거의 눈에 띄지 않음. 주로 팬터지, 무협, 팬픽 소설이 주류를 이룸.

 

22. 추리문학의 세계: http://titipopo.hihome.com/

- 대구의 중학생이 방학숙제로 만든 홈페이지. 짜임새있게 만들어놓아 그 이후 별다른 업데이트 없이 사이트가 자생력을 얻은 경우.

 

23. simenon의 추리문학의 세계: http://my.netian.com/~simenon

- 창작란이 아예 없는 것이 특징이다. 대신 정보, 추천, 칼럼 등이 아주 충실함

 

24. 로맨스를 만드는 여자: http://storybox.new21.net/

- 로맨스 소설 작가 이윤경의 개인 홈페이지 - 작가들의 연재물은 대중소설로서 높은 수준이며, 대체로 어법을 준수한다
- 이용자들은 통신체, 이모티콘, 구어체, 의성어/의태어 등을 자유롭게 쓰며, 언어 사용 문제에 대해 별 신경을 쓰지 않는다
- 비평이나 감상은 사건의 사실성 여부에 치우쳐 있는 즉자적인 수준

 

25. Fantastic Novel: http://arumy.new21.org/

- 개인 홈페이지에서 시작, 커뮤니티 형식으로 발전한 사이트
- 작가의 허락을 얻어 타 사이트의 소설을 연재하기도 하며, 출판될 시에는 연재분량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저작권/출판권을 침해하지 않으려고 노력함
- 불법으로 링크하거나 퍼가는 것을 금지

 

26. 라니안 판타지 & 무협 커뮤니티: http://lanian.net/

- 최대규모 판타지&무협 커뮤니티(사이트 오픈일부터 누적 방문수 5백만 이상, 1일 방문자 4만 5천명)

27. 한국 판타지 문학상: http://wisezine.wisebook.com/fantasy/fantasy.asp

- 공모전 사이트. 당선된 작품은 상금을 받고 출판사 북하우스에서 출간됨.

 

28. 글터: http://glter.co.kr/

·메뉴로는 문학/서브장르 문학이 포괄되어 있어 종합 문학 사이트를 지향하나, 실제로는 판타지 소설 관련 게시물이 가장 많음

 

29. 무림향: http://www.murimpia.com/

·17명의 무협 작가들이 만든 ''''사이버 아파트''''

 

30. 이카의 추리문학의 세계: http://mysteryworld.hihome.com/

·예전에 나왔던 추리소설들을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해놓음(약 150여편)

 

31. 진산마님의 MARS: http://mars.murimpia.com/

·무협 작가 진산의 홈페이지·다양한 성인 이용자층
·이용자 중 동료 무협작가들이 많이 눈에 띔

 

32. Slayers for Lina & Zelgadiss: http://linzel.net/

·일본 애니메이션 <슬레이어즈>의 두 캐릭터 리나 인버스와 제르가디스 그레이워즈의 팬 픽션/팬 아트 사이트(누적 조회수 43만 7천)

 

33. 이낭희의 작은 국어교실: http://ipcp.edunet4u.net/~nanghee

현직교사가 운영하는 고등학교 문학교육을 위한 사이트.

 

34. 솔빛 국어교실: http://www.solbit.net/

고등학교 교사인 정기성의 개인홈페지로서 학생들의 국어, 문학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개설한 사이트.

 

35. 이완근의 문학나눔터: http://my.dreamwiz.com/itrue

많은 이들이 문학을 사랑하는 계기를 만들고 문학을 통해서 삶에 대한 의미를 깨닫도록 해서, 아름다운 세상을 열어 나가는 힘의 원천이 되도록 한다는 취지로 만든 이완근의 개인 홈페지.

 

36. 신배섭의 국어마을: http://sbs.netian.com/

고등학교 교사이면서 작가인 신배섭의 개인 홈페이지. 교사가 학생들을 위해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 관련 싸이트를 연결해 놓고 학생들에게 글쓰기의 교육과 조언을 해 주는 곳.

 

37. 박경태의 느낌이 있는 동화: http://user.chollian.net/~storypak

동화작가인 박경태의 개인 홈페이지. 작품소개, 창작동화, 동화공부방 및 계몽아동문학회 모임방 운영

 

38. 우한용 교수의 문학교육연구실: http://plaza.snu.ac.kr/~wookong ;

학부학생들과 일반인을 위해 대학교수가 운영하는 싸이트.소설가이며 교수인 운영자의 적극성이 보이는 싸이트이다. 심화된 논문과 기타문학자료가 있고 학과 과제물 제출공간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또 일반인과 학부생들의 문학교육에 관해서나 문학전반의 의문에 비교적 적극적이고 진지하게 답변을 해주고 있는 듯하다. 또한 아호인 [우공]을 따서 만든 우공화두란에서는 교수의 일이나 일상에서 느껴진 것들을 글로 써 올려놓기도 한다.

 

39. 시사랑문예대학: http://www.poemq.or.kr/main.html

시를 전문적으로 강의하는 영리 싸이트

 

40. 디지털문화예술아카데미: http://artnstudy.com/

다양한 문화예술컨텐츠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양방향교육 시스템. 각 문화파트별로 명망 있는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본격적인 사이버문화예술학교. 강의실, 창작아카데미, 웹진, 도서관 등의 기본메뉴가 있고, 메인 페이지에 베스트강좌목록, 강의 리스트와 동영상을 활용한 공개강좌 항목이 있음.

 

41. 포엠토피아: http://www.poetry21.co.kr/index.asp

<즐거운 시와 시인사회>를 지향하면서, 시를 중심으로 문화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네티즌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시 전문 포털 사이트.

 

42. 노블: http://www.novel.co.kr/

문학전문 웹진으로 ''''즐거운 문학 읽기와 쓰기''''를 모토로 전문화된 기사에서부터 기타의 읽을 거리, 문화계/ 문단소식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룸.

 

43.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http://www.seelotus.com/

고전문학, 현대문학, 아동문학, 비문학 등으로 분류해 놓았고 특이 비문학에는 맞춤법 등의 국어자료를 포함 문화예술, 사회과학, 인문과학, 철학사상, 미완성자료 라는 소분류를 해놓고 자료를 요약해놓거나 관련 서적의 소개나 요약을 해 놓음.

 

44. 한국문학도서관: http://www.kll.co.kr/

문학 전반에 걸친 자료들을 그야말로 도서관처럼 집대성해 놓은 곳.

 

45. 문학웹진 사이버리즘 http://www.cyberism.co.kr

  사이버문학론을 본격적으로 주창하는 몇 안되는 평론가 중 한 사람인 이용욱 교수가 운영하는 사이버문학 문학웹진. 정보화시대와 문학의 관계에 관한 담론을 소개하며, 주요한 사이버문학 작품들을 소개하고 그에 대해 일정한 평가도 내리고 있다. 사어비문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46. 베트남을 이해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모임 http://vietnam.pweb.dacom.net/index.html

47. 배양수 교수의 홈페이지 http://saejo.pufs.ac.kr/~baeys

48. 전완경 교수의 아랍문학 홈페이지 http://saejo.pufs.ac.kr/~wkchun/downpage.htm

          50. 임형의 남도문학기행 http://namdou.com/

           남도지역 출신 작가 작품, 남도배경으로 하는 고전, 현대 문학작품, 유적지 기행 정보 제공.

          51. 벌교사랑회 http://www.beolgyosarang.com/

           소설 태백산맥 문학기행 및 소설속의 벌교 홍보, 지역문화재와 특산물 소개.

          52. 안영선의 국어여행 http://imunhak.com.ne.kr/index.html

           현대시와 소설, 고전시가와 소설, 문학기행, 언어문법 자료 등 소개.

          53. 문학기행실 http://imunhak.com.ne.kr/moongi/moongi.htm

           생애, 작가론, 대표작 전문과 해설. * 작가의 생가와 문학비, 묘소, 사진, 지도 자료.

          54. 클럽 프랑스 http://www.france.co.kr/literature/writers1st.htm

          55. 영국문학기행 http://www.chosun.ac.kr/~mgoh/tour/tour1.htm

          56. 공명철의 열린 국어강의노트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

          57. 불꽃나무:북한문학연구 전문사이트 http://nkmunhak.jinju.or.kr/

          58. 문학의 즐거움 http://www.poet.co.kr/

          59. 어린이도서연구회 http://www.childbook.org/

          60. 일본문학취미 http://hobbian.netian.com/

          61. 중국고전문학사 http://iweb.hanyang.ac.kr/~pendar/literature/litertory/liter_frameset.htm

          62. 연이의 러시아문학 http://yon2c.hihome.com/index.html

          63. 한국현대문학관 http://www.kmlm.or.kr/

          64. 인터넷한문교육연구소 http://home.ntime.net/hansong/

          65. 책사랑 http://booklove.co.kr/

          66. 이별과 만남: 소월과 그의 시세계 http://www.koreandb.net/Koreandb_Services.asp?URL=/sowol/sowol_home.htm

          67. 헤르만 헤세 http://on.to/nara

          68. 김문기 교수의 한국고전의 세계 http://www.gojun.pe.kr/

          69. 문학, 다른 세상을 만나다 http://withstellah.com/

          70. 소설가 박수영의 홈 http://user.chollian.net/~july123/

          71. 순천향대 영어영문학과 셰익스피어 자료실 http://asan3.sch.ac.kr/~mrshax/

          72. 아가사 크리스티 http://my.dreamwiz.com/djyakumo/main/mainframe.htm

          73. 책과 글 http://www.lunartree.com/

          74. 고전시가를 통해 여는 세상 http://www.gosiga.co.kr/bbs/sigamain.htm

          75. 황루시 교수 홈페이지 http://www.kwandong.ac.kr/%7Ehrushi/

          76. 임재해의 문화마당(안동지킴이) http://limjh.andong.net/

          77. 신동흔과 함께 여는 구비문학 고전문학 http://kkucc.konkuk.ac.kr/%7Eshindh/

          78. 고전과 생활 http://www.gojunlife.com/

          79. 정민교수의 한국한문학: 옛사람 내면 풍경 http://www.hykorea.net/korea/jung0739/

          80. 민족문학사연구소 http://www.minmun.org/

           81. 작가 이인성: 낯선 소설의 집 http://www.leeinseong.pe.kr/

          82. 작가 김유정: 작품 속 토박이 말을 찾아서 http://my.netian.com/~foresty1/

          83. 조정래 공식 홈페이지 http://www.jojungrae.com/

           84. 윤동주 닷컴 http://www.youndongju.com/

          85. 광야: 이육사 http://264.or.kr/264_sub_frame_1.htm

           86. Bookoo http://www.bookoo.co.kr/

          87. Bookmesse.com http://www.bookmesse.com/index.html

          88. MyTolkien http://www.mytolkien.pe.kr/

          89. Sharebook korea http://www.sharebook.co.kr/

          90. 영시의 향기 http://poetry4u.net/

          91. 헤르만 헤세 박물관 건립위원회  http://www.hermannhessemuseum.com/index.htm

         92. 강백향의 책 읽어주는 선생님 http://www.mymei.pe.kr/index.shtml

          93. 오른발 왼발 http://www.childweb.co.kr/index.html

          94. 시랑산방 http://www.sirangsanbang.pe.kr/

          95. 식민주의와 문화연구소 http://colonialismstudy.com/main.htm

          96.라틴아메리카 문학21 http://www.latin21.org/

            가브리엘 마르께스를 비롯한 남미 작가들의 작품과 생애에 대해 소개를 잘 해놓았다. 깔끔한 구성이 돋보임.

          97. 세계여성문학관 http://203.252.199.58/wowlic/index.htm

            숙명여대 도서관에서 여성문학만을 집대성해서 검색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사이트. 대학내에 갇혀 있기 쉬운 도서관을

            인터넷상에서, 그것도 여성문학으로 특화하여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사이버 갤러리를 통해 친숙한

            여성작가들을 찾아보는 즐거움도 있다.

         

          98. 정읍 국어교사모임 http://cein21.org/@jkorean/

            정읍지역내 국어교사들이 만든 홈페이지로서, 학생들과 함께하는 문학기행등 자료가 인상적. 비록 국어교육에

            좀더 많은 초점을 두고 있지만, 지역 문학활동의 방향을 찾는 데 적지않은 참고가 될 것이다.

         

          99. 소설가 이제하 홈페이지 http://www.zeha.pe.kr/main.htm

            소설가 이제하의 연보, 작품 등 소개. 작가가 직접 참여하여 독자들과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사이트로 유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주요온라인 서점

엠파스 도서: book.empas.com

Yes24: www.yes24.com

교보문고: www.kyobobook.co.kr

와우북: www.wowbook.com

영풍문고: www.ypbooks.co.kr

반디북: www.bandibook.com

알라딘: www.aladin.co.kr

리브로: www.libro.co.kr

모닝365: www.morning365.com

북새통: www.booksetong.com


* 전문도서관 홈페이지

1.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점자도서관: ebook.new21.net

2. 새날도서관: www.senal.or.kr

3. 국가전자도서관: dlibrary.go.kr

4.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 dulvi.daegu.ac.kr

5. 한국문학도서관: www.kll.co.kr


* 가이드 책

1. 북리뷰전문사이트 부꾸: www.bookoo.co.kr

2. 북코스모스 가이드북: www.bookcosmos.com

3. 국내 에이전시: www.imprima.co.kr

                 www.ericyangagency.com

                 www.shinwonagency.co.kr

                 www.ibook4u.co.kr

4. 출판인들의 모임 북에디터: www.bookeditor.org


* 무료전자 텍스트를 입수할 수 있는 사이트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전자도서관 darwin.kaist.ac.kr

국가전자도서관: www.dlibrary.go.kr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library.snu.ac.kr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 loyola1.sogang.ac.kr

무은재 기념도서관: www.postech.ac.kr/library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skkcl.skku.ac.kr

LG상남도서관: www.lg.or.kr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lib.ewha.ac.kr

영남대학교도서관: libs.yeungnam.ac.kr

창원대학교 중앙도서관: lib.changwon.ac.kr

장로회신학대학원: library.pcts.ac.kr

* 전자책 서비스 사이트

e-Book Life: www.ebook.or.kr

바로북: www.barobook.com

EBS 방송교재 전자책 서비스: www.ebsebook.co.kr

북마을: www.bookmaul.co.kr

엔조이이북: www.enjoyebook.com

영진아이피에스: www.allpdf.co.kr

ebook클럽: www.seri.org/forum/001452

컴투스: www.com2us.com

영진에듀: www.youngjinedu.net

동화를 사랑하는 모임: www.dongsamo.co.kr


* 전자 서점

블랙탄 전자서점 쇼핑몰: www.blacktan.co.kr

성안당: www.cyberupto.com

바로북: www.barobook.com

뇌와 마음: mind21.net

인터파크: interpark.com

코리아콘텐츠랩: www.kclab.co.kr

반디북: www.bandibook.com

이노블타운: www.enobeltown.com

북토피아: www.booktopia.com

eBOOK: www.ebook-gemstar.com

Barnes & Noble: www.barnesandnoble.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물만두 > 국제 스릴러 작가 협회 선정 <반드시 읽어야 하는 스릴러 70선>

1. Edgar Allan Poe,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1838  아서 고든 핌의 모험

2. Alexandre Dumas, The Count of Monte Cristo, 1845  몬테크리스토 백작

3. Wilkie Collins, The Woman in White, 1860 The Woman in White
4. H. Rider Haggard, King Soloman’s Mines, 1885

5. Robert Louis Stevenson,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and Mr. Hyde, 1886  지킬박사와 하이드 씨

6. Oscar Wilde, The Picture of Dorian Gray, 1891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7. Bram Stoker, Dracula,1897  드라큘라

8. Rudyard Kipling, Kim, 1901

9. Joseph Conrad, Heart of Darkness, 1902  암흑의 핵심

10. Sir Arthur Conan Doyle,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 1902  바스커빌가의 개

11. Erskine Childers, The Riddle of the Sands, 1903

12. Edgar Rice Burroughs, Tarzan of the Apes, 1912  타잔

13. Marie Belloc Lowndes, The Lodger, 1913

14. John Buchan, The 39 Steps, 1915  39계단

15. Rafael Sabatini, Scaramouche , 1921
16. Richard Connell, “The Most Dangerous Game,” 1924  
17. W. Somerset Maugham, Ashenden, or The Secret Agent, 1928

18. James M. Cain, The Postman Always Rings Twice, 1934  우편배달부는 벨을 두번 울린다

19. Eric Ambler, A Coffin for Dimitrios, 1939  디미트리오스의 관

20. Geoffrey Household, Rogue Male, 1939
21.Helen MacInnes, Above Suspicion, 1941 
22. Cornell Woolrich, The Night Has a Thousand Eyes, 1945
23. Kenneth Fearing, The Big Clock, 1946
24. Graham Greene, The Third Man , 1950  
25. Patricia Highsmith, Strangers on a Train, 1950  낯선 승객
26. Jim Thompson, The Killer Inside Me, 1952
27. Daphne du Maurier, “The Birds,” 1952
28. Hammond Innes, Campbell’s Kingdom, 1952

29. Jack Finney, The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1954  바디 스내처

30. Ian Fleming, From Russia with Love, 1957
31. Richard Condon, The Manchurian Candidate, 1959
32. Len Deighton, The Ipcress File, 1962
33. Fletcher Knebel and Charles W. Bailey, Seven Days in May, 1962 

34. John le Carre, The Spy Who Came in from the Cold, 1963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35. Alistair MacLean, Ice Station Zebra, 1963 
36. Adam Hall, The Quiller Memorandum, 1965
37. Michael Crichton, The Andromeda Strain, 1969
38. James Dickey, Deliverance, 1970

39. Frederick Forsyth, The Day of the Jackal, 1971  자칼의 날

40. Brian Garfield, Death Wish, 1972
41. David Morrell, First Blood, 1972

42. Trevanian, The Eiger Sanction, 1972  아이거 빙벽

43. Joseph Wambaugh, The Onion Field, 1973

44. Peter Benchley, Jaws, 1974  죠스

45. William Goldman, Marathon Man, 1974
46. James Grady, Six Days of the Condor, 1974
47. Robert Stone, Dog Soldiers, 1974

48. Jack Higgins, The Eagle Has Landed, 1975  독수리는 날개치며 내렸다

49. Clive Cussler, Raise the Titanic!, 1976 타이태닉호를 인양하라

50. Ira Levin, The Boys from Brazil, 1976  브라질에서 온 소년들

51. Anne Rice, Interview with the Vampire, 1976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52. Robin Cook, Coma, 1977 코마

53. Ken Follett, The Eye of the Needle, 1978
54. Stephen King, The Dead Zone, 1979
55. John D. MacDonald, The Green Ripper, 1979

56. Robert Ludlum, The Bourne Identity, 1980 잃어버린 얼굴

57. Eric Van Lustbader, The Ninja, 1980

58. Thomas Harris, Red Dragon 1981  레드 드래건

59. Tom Clancy, The Hunt for Red October,1984 붉은 10월호

60. Dale Brown, Flight of the Old Dog, 1987
61. Nelson DeMille, The Charm School,1988

62. Dean Koontz, Watchers, 1988 와처스

63. Katherine Neville, The Eight, 1988  디 에이트

64. John Grisham, The Firm, 1991  그래서 그들은 바다로 갔다

65. James Patterson, Along Came a Spider, 1992  스파이더 게임

66. Stephen Hunter, Point of Impact, 1993
67. Caleb Carr, The Alienist, 1994
68. John Lescroart, The Thirteenth Juror, 1994
69. Tami Hoag, Night Sins, 1995
70. David Baldacci, Absolute Power, 1995

http://cafe.naver.com/thrillerworld.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