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저녁, 만화 전문 출판사로 옮긴 후배를 만나 저녁먹다. 홍대 기찻길옆 고깃집에서 땀을 줄줄 흘려가며 갈비살을 3인분이나 먹고, 그 근처 '꽃'이라는, 간판도 없는 조그만 바에서 후배는 맥주를, 나는 웰치스를 마셨다. 내게 빌려간 책 한 권을 지인에게 뺏겼다길래 대신 커트 보네거트의 <제5도살장>을 사달라고 했고, 그 책과 함께 자기가 보고 있던 <그린빌에서 만나요>를 함께 건네주었다. 그런데 이거 재미있네.
사이비, 사이언 쌍둥이 남매가 동시에 남자 고등학생을 찍었는데, '맛있는 걸 먹기 위해서는 오래 참을 수도 있다'라는 말의 의미가 궁금해진다. 이 남매의 정체는 대체 뭐냐. 이제 겨우 1권만 나왔다는게 아쉬울뿐. 요거 다 나올때까지 후배를 슬슬 구슬려야할까 생각중. (다 줄거지? ㅎㅎ)
교보에서 이 책을 보고 재밌겠다 싶어 주문했는데, 그럭저럭 재미있긴 했으되, 도대체 내가 무슨 생각으로 이런 책을 보겠다 생각한 것인지 의아하다.
클라스트르의 말인즉슨, 인류는 원시공동체로부터 국가로 발전해나가는 것이 아니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사회를 살펴보면 국가, 즉 강제력이나 폭력을 수반하는 권위가 생겨나는 것을 사회가 적극적으로 막고 있다. 추장은 공동체를 대표하지만 어떤 권위나 힘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추장은 사회에 봉사해야할 의무가 있고 구성원들의 이런저런 요구에 응해야 한다. 다만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의 기본 조건은 인구가 적을 것. 인구가 많아지면 통제 불가능이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평균 노동 시간은 하루 3시간 정도였다고 한다. 으아, 부러워~ 나도 그렇게 살고 싶다구~
역시 나는 문학적인 인간이란 생각을 다시 한번 한다. 열심히 줄을 그어가며 읽었지만 내용을 정리해 리뷰를 쓰자니, 다시 들여다보는 것도,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그냥 귀찮고 싫기만 하다. 흠.
화면 죽이는군. 이런 건 극장에서 봐 줬어야 하는건데. 그렇지만 너무 시끄럽다. 밀턴이 어쩌구 성경이 어쩌구. 그렇게 말이 많아서야 원. 어쩐지, 바토가 강아지 사료를 사러 들어갔던 편의점의 종이 딸랑거리던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어제 낮에 시작해서 오늘 아침 출근길에 끝냈다. 조금 읽어보고 재미없으면 그만두어야지 했는데, 한참 읽다 페이지를 보니 벌써 70쪽이 넘어가있다. 그만큼 재미있다. 항상 어째서 우리나라 작가들은 마르케스나 칼비노처럼 이야기를 만들어내지 못할까/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천명관은 가능성이 좀 보인다. 다만 이 작품은 과잉이다. 작가는 별로 작품을 다듬어서 깔끔하게 만들 생각이 없었던 모양이다. 생각나는대로, 말하고 싶은대로 주저리주저리 다 늘어놓은 것 같다. 꽤 흥미롭게 읽었지만 딱히 뭔가 남지는 않는다. 뭔가 실마리가 있어야 리뷰를 쓸 수 있는 나로서는 어찌 손댈 수 없는 작품. 천명관의 다음 작품이 나온다면 다시 읽어보기는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