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간만에 손에 땀을 쥐게 하면서도, 생각의 끈을 놓지 못하게 하는 멋진 소설을 만났다. 사람이 저마다의 빛깔과 향기가 있듯이, 책에도 그 책만이 주는 독특한 빛깔과 향기와 즐거움이 있다. 아베 코보의 <모래의 여자>는 무료하고 갑갑한 일상에 쏟아지는 소낙비 같은 책이었다.


잿빛 일상이 지겨워 모래땅으로 곤충 채집을 도피하듯 떠나는 한 남자. 그의 여행 목적은 사구라는, 생명의 근접을 허용하지 않는 땅에서 새로운 종을 채집하여 자신의 이름을 <곤충도감>에 영구히 보존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그 바람은 오히려 그의 이름이 이 세상에서 영원히 소멸되는 결과를 낳고 만다.


그는 끊임없이 유동하는 모래 구덩이 속에 세워진 집에 갇힌다. 그 구덩이에 갇혀 흘러내리는 모래에 집이 파묻혀 버리지 않도록, 마치 쉬지 않고 돌을 굴려야 하는 신화 속의 시지프스처럼 매일매일 삽질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모래의 이미지는 판에 박힌 현실 세계의 이미지와는 전혀 딴판이다.


"모래는 절대로 쉬지 않는다. 조용하게, 그러나 확실하게, 지표를 덮고 멸망시킨다....."

"모래는 생존에 적합하지 않다. 그렇다면 정착은 과연 생존에 절대적으로 불가결한 것인가. 정착을 부득불 고집하기 때문에 저 끔찍스런 경쟁이 시작되는 것은 아닐까? 만약 정착을 포기하고 모래의 유동에 몸을 맡긴다면 경쟁도 성립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사막에도 꽃은 피고 벌레와 짐승도 산다. 강한 적응력을 이용하여 경쟁권 밖으로 벗어난 생물들이다......"


모래의 유동에 몸을 맡기기. 소설 초입에 하나의 지식으로만 존재하던 유동하는 모래의 이미지는 소설 말미에서 남자의 몸과 의식 안으로 깊이 스며든다. 그는 <모래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는 것이다.


모래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 그것은 모래 구덩이 안의 세계와 밖의 세계가 결국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있다는 작가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이 세상과 모래 구덩이 속의 세계가 사실은 한 공간의 서로 다른 모습인 것이다. 주인공은 처음에는 일상에 묻혀, 나중에는 모래 구덩이에 갇혀, 사막과 구덩이 밖이라는 다른 세계를 꿈꾸었지만, 결국 존재하는 곳이 곧 다른 세계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깨달음이 그에게 이런 여유를 안겨준다. "도주 수단은, 그 다음날 생각해도 무방하다."


<모래의 여자>는 미시마 유키오의 지적처럼 한번 잡으면 손을 놓을 수 없는 작품이다. 그의 말처럼 이 소설에는 한편으론 신경을 바짝 곤두서게 하는 긴장과 전율이 있고, 또 한편으론 현실 사회의 문제를 예리하게 들여다보는 사색이 있다. 한마디로 재미있으면서도 깊이가 있다. 까뮈와도 비슷하고, 카프카와도 비슷하다. 문단에서는 아베 코보를 "일본의 카프카"라고 칭한다고 하는데, 소설을 읽고난 뒤의 느낌은 과연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