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fi 문학과지성 시인선 511
강성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0105 매일 시읽기 99일 

채광 
- 강성은  

창문에 돌을 던졌는데 
깨지지 않는다 

생각날 때마다 던져도 
깨지지 않는다 

밤이면 더 아름다워지는 창문 

환한 창문에 돌을 던져도 
깨지지 않는다 

어느 날엔 몸을 던졌는데 
나만 피투성이가 되고 
창문은 깨지지 않는다 

투명한 창문 
사람들이 모두 그 안에 있었다 


오늘은 다시 강성은 시집 《Lo-fi》. 2005년 데뷔한 시인의 세 번째 시집이자 2018년 제26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수상작이다.

새해 벽두에 이 시집을 눈으로는 다 읽었다. 그렇게 읽고 내가 느낀 점을 1월 2일 시읽기에서 이렇게 썼다. ˝죽은 자들에게 목소리를 빌려준 시인. 시인이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에 서서 삶과 죽음을 넘나들며 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떠난 이들의 입 노릇을 대신 해주고 있다는 느낌.
그래서 좀 아프고 꽤 먹먹하다.˝

이 시집을 읽는 동안 내 머리 위로 둥둥 떠다닌 세 글자가 있었다. 세 월 호. 2014년 4월 16일. 그 참사가 일어났을 때 대한민국의 어른이라면 대개가 나와 비슷한 감정을 느꼈을 것이다. 미안함. 죄책감. 무력감. 우울감. 이 참사는 6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여전히 진상
규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일이 왜 이토록 어려운지, 정말로 무슨 거대한 음모가 숨어 있어 그런 건지 나는 아주 많이 궁금하다. 제삼자인 나조차 이렇게 궁금한데, 당사자들과 그 당사자들의 부모들과 자식들과 친지들의 의문이야 오죽할까. 속이 타들어갈 것이다.

대산문학상 수상 기자간담회에서 강성은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두 번째 시집 이후 5년 사이 벌어진 사건들 중 세월호 참사와 문단 내 성폭력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 . 시에 암울한 세계가 많이 담겼다 . . . 이 세계가 이미 사후 세계가 아닌가 싶다.”

세월호 사건을 겪고 나는 누구라도 좋으니 그 일을 글로 써 주길 바랐다. 강성은 시인은 자신이 잘 휘두르는 시라는 무기로 시커먼 바다 속과도 같은 그 끔찍하고 무서운 세계를 투명하게 그리고 있다. 그가 휘두르는 칼끝은 매섭고 시리고 아득하다.

아무리 돌을 던져도 나와 너를 가르는 창문이 꿈쩍도 하지 않는 세상은 시인의 말대로 ˝이미 사후 세계˝일지 모른다. 두드리면 열려야 하고 던지면 깨져야 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 세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제 한 몸이라도 던질 밖에. 그러나 계란으로 바위를 쳤을 때 깨지는 것은 바위가 아니라 계란이다. ˝나만 피투성이가˝ 되고 만다. 이 시구에서 뜨끔하고 따끔했다가, 다음 연의 ˝투명한 창문 / 사람들이 모두 그 안에 있었다˝에서 서늘해지고 섬뜩해졌다. 내가 저 투명한 창문 안쪽의 사람들, 즉 방관자들 중 한 명이 아닌가 해서.

시인의 말따나 ˝암울한 세계가 많이 담겨˝ 있어 이 시집을 읽는 일은 유쾌함보다 불편함 쪽에 가깝다. 그럼에도 읽을 수밖에 없는 까닭은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지 말라는 내 속의 양심이 계속 말을 걸기 때문이다. 두 눈 멀쩡히 뜨고 이 세계를 사후 세계로 만드는 우는 되도록 삼가야 하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