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10 매일 시읽기 73일 

늙은 사내의 시 
- 미당 서정주 

내 나이 80이 넘었으니 
시를 못 쓰는 날은 
늙은 내 할망구의 손톱이나 깎아주자. 
발톱도 또 이쁘게 깎아주자. 
훈장 여편네로 고생살이 하기에 
거칠대로 거칠어진 아내 손발의 
손톱 발톱이나 이뿌게 깎어주자. 
내 시에 나오는 초등달같이 
아내 손톱 밑에 아직도 떠오르는
초사흘 달 바래보며 마음 달래자. 
마음 달래자. 마음 달래자.  


서정주 시인의 <<80소년 떠돌이의 시>>를 계속 읽는다. 80이 넘은 시인은 제목처럼 정말 소년으로 돌아간 듯하다. 삼분의 일 정도 읽었는데, 시들이 대체로 유쾌하고 구수하다. 옛말들은 정겹고 한자어들은 낯설다. 소년으로 돌아간 시인이 들려주는 어린 시절 추억들은 훈훈해서 이따금 부럽기까지 하다. 시간이 훌쩍 지나 돌아보는 지난 날들은 미화가 되어 그럴까. 여든을 훌쩍 넘어 이제 아흔을 바라보는, 치매 걸려 현재를 모조리 까먹는 내 어미에게도 초등학교 시절만큼은 아름답게 기억된다. 그런 행복한 기억이 내 어미의 뇌에 아직 자리해 있어 나는 참 다행이라 생각한다. 언젠가는 지워질지언정.

서정주 시인은 금실 좋은 부부로 해로를 했던가 보다. <늙은 사내의 시>를 읽으면서, 시인님 시를 못 쓸 정도라면 손톱 발톱 깎을 힘은 더 없지 않을까요, 라고 쏘아붙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런데 찾아 보니, 시인은 치매 든 아내의 손톱 발톱을 10년 넘게 깎아 주었다고 한다. 아내가 먼저 저세상으로 떠난 후엔 79일간 곡기를 끊고 맥주로 연명하다 세상을 뜨셨다고. 이 사연을 접하고 시를 다시 읽으니, 마지막 두 행의
˝마음 달래자 / 마음 달래자, 마음 달래자˝가 사무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