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06 매일 시읽기 69일 

귀띔
- 안도현 

길가에 핀 꽃을 꺾지 마라 
꽃을 꺾었거든 손에서 버리지 마라 
누가 꽃을 버렸다 해도 손가락질하지 마라 


안도현 시인이 8년 만에 낸 시집의 제목은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 이다. 시집의 3부 <식물도감> 의 한 부분에서 이 제목을 따왔다.

능소화가 어떤 꽃인가 찾아 보니, 여름에 곧잘 눈에 띄던 주황색 꽃이다. 왕의 성은을 입은 궁녀가 두 번 다시 자신을 찾지 않는 왕(이런 왕이 어디 한둘이었을까)을 그리워하다 기다리다 병이 들어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그가 묻힌 자리에 꽃이 피어 담장을 타고 오른 것이
능소화라고. 간절한 그리움은 그렇게 타고 오르게 만든다. 이 전설로 능소화의 꽃말은 그리움과 명예, 기다림이 되었다고. 그리움과 기다림에는 고개가 끄덕여지는데, 명예에는 고개가 갸웃해진다.

안도현 시인은 시를 쓰지 못한 기간 동안 왕을 기다리는 궁녀처럼 자신에게 오지 않는 시를 그리워만 했던가 보다. ‘시인의 말‘이 조금 아프다.

˝갈수록 내가 시를 쓰는 사람이 아닌 것 같다. 나는 누군가 불러주는 것을 받아 적고 그가 말하고 싶은 것을 대신 말하는 사람일 뿐, 내가 정작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걸 깨닫는다. 대체로 무지몽매한 자일수록 시로 무엇을 말하겠다고 팔을 걷어붙인다.˝

˝시로 무엇을˝ 말하려 하지 않겠다면 시를 대체 왜 쓰나 하는 의문이 들었다가, 시인의 속뜻은 우러나는 시가 아닌 쥐어짜는 시를 쓰지 말라는, 시인 스스로에게 하는 경고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귀띔>은 안도현 시인을 유명하게 만든 <너에게 묻는다>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 너는 /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를 연상시키는 잠언 같은 시다. 두 시는 시인이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담고 있다. 그 무엇도 함부로 대하지 말라!

<시인의 말> 마지막 문장이 인상 깊다. ˝나무는 그 어떤 감각의 쇄신도 없이 뿌리를 내리지 않는다.˝ 안도현 시인이 이 시집에서 ˝어떤 감각의 쇄신˝으로 시의 뿌리를 내리고 있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