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지성 시인선 16
최승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128 매일 시읽기 61일

내 청춘의 영원한
- 최승자

이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갖고 싶다.
여기가 아닌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
괴로움
외로움
그리움
내 청춘의 영원한 트라이앵글


최승자 시인의 <<이 시대의 사랑>>을 거의 일주일 만에 다 읽었다. 한 권의 시집에 실린 시를 몽땅 읽는 경우가 잘 없는데(얇은데도 쉽지 않다) 이 시집은 다 읽고야 말리라는 투지를, 까지는 아니고, 읽고 싶다는 마음을 불러일으켰다. 시집을 관통하고 있는 시인의 내적 정서가 마음을 울렸고 기억해두고 싶은(물론 기억 못할) 시구들이 정말로 많았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사랑>>을 요약해주는 시가 위의 저 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외로움. 괴로움. 그리움. 이 세 가지 감정은 ˝내 청춘의 영원한 트라이앵글˝이자 우리 인생의 동반자이기도 하다. 1981년 출간된 이 시집은 시인의 나이 스물두 살 때부터 서른까지 쓴 시들을 역순으로 배치해 놓았다. 1부는 1981년에, 2부는 1977년부터 1980년까지, 3부는 대학 3학년때부터 대학 중퇴까지 쓴 시들이다. 그러니까 지금 내 나이에서 보자면 그야말로 파릇파릇한 이십대 청춘의 시기를 기록한 것인데, 이 시집은 청춘의 풋풋함이나 낭만보다 청춘의 괴로움과 절망에 완전히 치우쳐 있다. 기형도의 <<잎 속의 검은 잎>> 여자 버전을 보는 느낌이었는데, 기형도보다 절망의 나락이 더 깊어 보인다.

나무위키에는 최승자 시인에 대해 이렇게 쓰여 있다. ˝가족이 없었고, 서울의 세 평짜리 고시원에서, 여관방에서, 밥 대신 소주로, 불면의 시간으로 죽음 직전의 단계까지 가기도 하였다.˝ ​

시들을 보면 시인이 유복함이나 행복함과는 거리가 먼, 그것도 아주 먼 어린 시절을 보냈을 거라는 사실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일찌기 나는 아무 것도 아니었다. / . . . 아무 부모도 나를 키워주지 않았다.˝(‘일찍기 나는) ˝애비는 역시 전화도 주지 않았다.˝(‘슬픈 기쁜 생일)

시인의 삶은 외롭고 슬프고 괴롭고 아프다. 많이도 가련하다. ˝외롭지 않기 위하여˝ 밥을 많이 먹고, ˝괴롭지 않기 위하여˝ 술을 조금 마셔 보지만(‘외롭지 않기 위하여), 외로움과 괴로움은 시인의 몸에 ˝장전되어˝ 시인의 ˝뇌리를 겨누고 있다˝(‘외로움의 폭력‘). 외로워서 슬프고, 슬퍼서 외로운데, 슬픔은 도돌이표처럼 부메랑처럼 ˝튕겨져 나갔다 다시/ 튕겨져˝ 들어온다(‘청계천 엘러지‘). 시인의 어깨에는 계절과 상관없이 언제나 ˝슬픔의 외투˝가 걸쳐져 있다.

시들을 읽다 가슴이 얼마나 저릿저릿해지던지, 서른의 시인이 내 눈앞에 있다면 꼭 부둥켜안고서 등을 토닥이며 ˝힘들었구나, 애썼구나, 장하구나˝ 라고 말해주고 싶을 정도였다. 시인처럼 나 또한 그 시절을 그렇게 힘겹게, 그렇게 꾸역꾸역 관통해왔기 때문이다.

시인의 이십 대는 ˝뼈아픈 사랑˝이 ˝한의 못˝을 이루고(‘버림받은 자들의 노래‘), 외로움이 ˝불침번˝처럼(‘과거를 가진 사람들‘) 서 있고, ˝고독의 핏물˝이 ˝골수 사이에서 출렁이고˝(‘외로움의 폭력‘), ˝절망의 골수분자˝가 ˝구더기처럼 꿈틀거리˝고(‘어느 여인이 종말‘), ˝저승의 물결 같은 선잠˝이 ˝머릿골을 하얗게˝ 씻긴다(‘선잠‘).

이 모든 감정들의 귀결은 그리움이다. 거머쥐지 못한 것들에 대한 그리움. 그것들을 쥐고 싶은 간절함. 그 ˝그리움의 그림자들은/ 짓밟히며 짓밟히며/ 다시 일어˝선다(‘부질없는 물음‘). 그리하여 이렇게 노래한다.

그러므로/ 썩지 않으려면 / 다르게 기도하는 법을 / 배워야 했다. / 다르게 사랑하는 법 / 감추는 법 건너 뛰는 법 부정하는 법, / 그러면서 모든 사물의 배후를 / 손가락으로 후벼 팔 것 / 절대로 달관하지 말 것 / 절대로 도통하지 말 것 / 언제나 아이처럼 울 것 / 아이처럼 배고파 울 것 / 그리고 가능한 한 아이처럼 웃을 것 / 한 아이와 재미있게 노는 다른 한 아이처럼 웃을 것.(‘올 여름의 인생 공부‘ 중)

내 이십 중반부터 삼십까지는 아주 어둡고 긴 터널이었다. 그 어둠 속 빛이 되어 준 것 중 하나가 책이었다. 시인에겐 시를 쓰는 것이 저 시절의 어둠을 통과하게 만든 빛이 아니었을까. 52년생인 시인이, 2020년에 예순아홉의 할머니가 된 시인이 ˝아이처럼˝ 웃고 살고 있으면 참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