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1 매일 시읽기 54일 

포구의 잠 
- 김선우 

생리통의 밤이면 
지글지글 방바닥에 살 붙이고 싶더라 
침대에서 내려와 가까이 더, 
소라냄새 나는 베개에 코박고 있노라면 

푸른 연어처럼 . . . 

나는 어린 생것이 되어 
무릎 모으고 어깨 곱송그려 
앞가슴으론 말랑말랑한 거북알 하나쯤 
더 안을 만하게 둥글어져 
파도의 젖을 빨다가 내 젖을 물리다가 
포구에 떠오르는 해를 보았으면 
이제 막 생겨난 흰 엉덩이를 까불며 
물장구를 쳤으면 모래성을 쌓았으면 싶더라 

미열이야 시시로 즐길 만하게 되었다고 
큰소리 쳐놓고도 마음이 도질 때면 
비릿해진 살이 먼저 포구로 간다 
석가도 레닌도 고흐의 감자먹는 아낙들도 
아픈 날은 이렇게 혁명도 잠시 
낫도 붓도 잠시 놓고 온종일 방바닥과 놀다 가려니 
처녀 하나 뜨거워져 파도와 머물게 살 좀 섞어도 
흉 되지 않으려니 싶어지더라


안도현 시인의 <<그 작고 하찮은 것들에 대한 애착>>
(나무생각) 중 내가 사랑한 젊은 시인 김선우의 시다. 이 시는 <<내일을 여는 작가>> 1997년 봄호에 실렸었다고 한다.

김선우 시인은 1970년생이다. 이 시를 발표할 당시는 스물여덟이었다. 안도현 시인은 1961년생이다. 이 시집을 출간할 당시 마흔하나였다. 지금의 나보다도 젊은 마흔하나의 선배 시인이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싹 시인을 이렇게 평한다.

˝1996년 <<창작과 비평>> 겨울호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는데 아직 시집 한 권 묶지 않은 젊은 시인이다. 나는 이 시인의 시가 발표될 때마다 눈여겨 본다. 치열한 자기 탐색,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말의 절제력이 놀랍다. 머지 않아 우리 시의 보자기 한 끝을 팽팽하게 잡고 있는 시인이 되리라 믿는다.˝

선배의 눈은 정확했고 2020년 김선우 시인은 여전히 시대를 읽는 시인이자 소설가로 살고 있다. 

2020년 11월 19일. 열넷 생일이 사흘이 지난 날. 딸이 생리를 시작했다. ˝엄마, 몸에 물이 찬 것 같아.˝ 그래, 달에 한 번 이맘때면 네 몸에선 비릿한 냄새가 날 거야. 네 몸속에선 파도가 칠 거야. 너는 네 포구에서 파도와 놀려무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