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7 매일 시읽기 50일 

무어라 해도 나는 믿노니​
- 앨프리드 테니슨Alfred Tennyson / 피천득 번역 

고귀한 분노를 모르는 포로를 
언제라도 나는 부러워하지 않노라 
조롱에서 태어나 여름숲을 모르는
그런 새를 부러워하지 않노라 

마음대로 잔인한 
짐승들을 부러워하지 않노라 
죄책감을 느낄 줄 모르는 
양심이 없는 

굳은 맹세를 해보지 않은 마음을 
나는 부러워하지 않노라 
잡초 속에 고여 있는 물같이 
부족을 모르는 안일을 나는 부러워 않노라 

무어라 해도 나는 믿노니 
내 슬픔이 가장 클 때 깊이 느끼나니 
사랑을 하고 사람을 잃는 것은
사랑을 아니한 것보다 더 낫다고 

이 시는 19세기 영국 시인 앨프리드 테니슨의 《인 메모리엄 In Memoriam》중 일부이다. 요즘 읽고 있는 앤서니 스토의 《고독의 위로》(책읽는수요일)에서 이 시집을, 그 중 일부인 위의 시는 어느 블로그에서 발견했다. 피천득 시인이 엮은 《내가 사랑하는 시》(샘터사)에 이 시가 실려 있다. 

​《인 메모리엄 In Memoriam》은 한빛문화에서 2008년 펴낸 번역본이 있다. 100자평, 리뷰, 마이페이퍼 전무하다. 하긴 나도 어제야 알았으니. 이 시집은 테니슨의 절친이던 아서 핼럼의 죽음으로부터 탄생했다. 테니슨은 핼럼을 누구보다 사랑했고 그의 갑작스런 죽음은 그에게 삶의 의미를 앗아갔다. 어찌할 수 없는 상실의 시간을 테니슨은 시를 쓰며 버텼다. 그 세월이 17년이었다.

˝그러나, 갈피 못 잡는 마음과 머리엔 시구가 쓸모 있으니 슬픈 글자를 맞춰 시구나 엮는 것이
몽롱한 마취제처럼 고통을 마비시킨다.˝(《고독의 위로》 203쪽) 

테니슨에게 시를 쓰는 행위는 고통을 잊게 하는 ˝마취제˝이자 ˝치유제˝였다. 《인 메모리엄》을 다 읽을 생각도, 다 읽을 여력도 없지만, 위의 시의 마지막 연에 쓰인 시구만은 기억해 두고 싶다.

˝사랑을 하고 사람을 잃는 것은 / 사랑을 아니한 것보다 더 낫다고˝

나도 같은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