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구 현대시세계 시인선 39
박제영 지음 / 북인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20201106 매일 시읽기 39일

거시기
- 박제영

거시기한 맛이 업서부러야
긍께 머랄까 맥없시 맴이 짠-해지는, 거시기 말이여
느그 시는 그거시 없당께로
이 고들빼기 맹키로 싸한 구석이나 있으몬 쪼매 봐줄라나
그것도 업잔여
한마디로 맹탕이랑께

워까 가스내 맹키로 삐지기는
다 농잉께 얼굴 피고 술이나 마시뿌자
내 야그가 그로코롬 거시기 하면 서안나가 쓴 동백아가씨란 시가 있어야
낸중에 함 보라고 겁나게 거시기 할 텡께
장사이기가 오늘은 내 서방이여
이 대목에서 워매, 가심이 칵!
환장해분당께

아지매, 무다요 술이 업서야
지금 거시기해부렸응께 싸게 갖구 와야


박제영 시인의 <<식구>>를 3일째 읽다.

저 시의 말투를 빌자면, 워메, 저 구수한 사투리를 어쩔겨, 워메, 저 찰진 생활밀착형 대사를 어쩔겨. 워메, 저 재미난 아저씨아줌니를 어쩔겨.

<<식구>>는 사투리가 범벅된 해학으로 가득하다. 시인의 친구들과 동네 사람들이 등장하는 4부에서 사투리 화법은 절정을 이룬다. 읽다 보면 키득키득 웃음이 난다. 소리 내어 읽으면 흡사 랩을 하는 듯하다. 마음이 울적한 이들에게, 웃음이 필요한 이들에게 <<식구>>를 읽어 보라 권할 생각이다.

박제영 시인에게 ‘시‘란 뜬구름 잡는 글이 아니라 이 식구, 저 식구의 흔한 이야기를 담는 집이다.

˝시다 아직 덜 여문 것은 덜 익은 것은 죄다 시다 그러나 시다 詩다,고 하는 것들은 대개 시가 아니다 덜 영근 것이다 진짜는 시가 그 안에 든 것이라야 한다 詩든 것 그러니까 시는 시든 것이다 노인정 앞 돌계단에 노파 둘이 쭈그리고 앉아 있다 온전히 시든, 시집 두 채가 나란히 햇볕을 쬐고 있다˝(<시집 두 채> 전문)

박제영 시인에게 사람은 ‘숨쉬는 시‘이다. 사람의 말을 빌어 뜨개질하듯 엮어 한 편의 시로 완성한다. 그래서 시들이 친근하고 구수하고 맛깔난다. 그러나 사람 사는 게 어디 흥겹기만 하던가. 때론 시리고 아리다. 그런 저릿한 이야기들도 듬성듬성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식구>>는 전반적으로 마음에 드는데, 아내를 이야기하는 시들에선 손발이 좀 오글거린다. 달달한 표현들은 내 취향이 아닌지라. 내 취향과는 별개로 사람살이에 대한 연민이 짙게 깔린 그의 시들은 뭉클뭉클하다. <<식구>>를 읽고 있으면 시를 쓰는 건, 사람을 사랑하는 일과 멀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박제영 시인의 시는 ˝가슴이 칵! / 환장해˝부는 시는 아닐지 몰라도, ˝맹탕˝은 절대 아니고 ˝맥없이 맴이 짠-해지는 거시기˝에 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