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01 코스모스호 타고 히치하이킹 100일 0일 

​나는 과학 문외한이다. 30대 초반 과학책을 읽어 보려 노력했으나, 3분의 1 정도 읽다 힘에 부쳐 포기했다. 이해는 둘째치고 도저히 재미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때는 몰랐다. 이해와 재미는 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올해 읽은 마리아 포포바의 <<진리의 발견>>을 읽고 과학을 바라보는 눈이 살짝 달라졌다. 내가 생각하는 과학은 어렵고 딱딱하고 고리타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포포바가 ˝과학계의 휘트먼˝이라 칭송하며 일대기를 풀어놓은 레이철 카슨의 이야기를 읽은 후로 생각이 바뀌었다. 아, 과학도 재밌을 수 있구나. 과학도 문학이 될 수 있구나, 생각하게 된 것이다. 

얼마 전부터 듣기 시작한 팟빵 방송이 있다. <과학으로 장난치는 게 창피해? 과장창!> 출연진은 몇 년 전 선풍적 인기를 누렸던 <지대넓얕>의 한 패널 이독실, 기상캐스터 김가영, 과학커뮤티케이터 이선호 엑소이다(현재는 엑소 빠짐).완전재미있다. 나 같은 사람을 위해 과학의 문턱을 낮춰 준 느낌이라고나 할까. 이독실은 지대넓얕부터 좋아했지만, 과장창을 통해 목소리, 박식함, 이해력, 공감력, 연기력, 게다가 유머 감각까지, 아주 반할 지경이다. 어쨌든 이 방송 때문에 과학이 부쩍 가깝게 느껴지고 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그 명성 때문에 죽기 전 언젠가는 읽으리라는 야무진 생각으로 2004년 초판에 이어 2006년 특별판이 나오자마자 구매했다. 무려 14년이 지났다. 팔아 먹지 않고 묵혀 두길 잘했다. 이 책을 읽겠다고 하자 책 좋아하는 지인들이 따라붙었다. 하여 ‘코스모스호 타고 히치하이킹 100일‘ 여행을 떠난다. 오늘은 0일이다. 

˝앤 드루얀을 위하여 / 공간의 광막함과 시간의 영겁에서 행성 하나와 찰나의 순간을 앤과 공유할 수 있었음은 나에게는 하나의 기쁨이었다.˝

​시적인 감사의 글이다. 칼 세이건은 1934년 한 점 먼지에서 숨쉬는 인간으로 태어나 1996년 자신이 사랑한 우주로 떠나 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