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30 매일 시읽기 32일
길고양이 밥 주기
- 황인숙
언제까지 . . . . . .
언제까지!
내가 쓰러질 때까지?
그 뒤에는?
고양이들은 계속 슬픈 새끼를 치고
내 뒤에는
아무도 없다
(옆에도 없다, 앞에도 없다)
아무도 없어도 되는 그 날까지
고양이들아, 너희 핏줄 속 명랑함을 잃지 말렴!
사실 나는 낙천주의자
폭삭 지친 내게
고양이밥을 놓지 말라고 목청 높이던 젊은 엄마가
조르르 고양이 밥그릇을 찾아 들고 와
길바닥에 패대기치는 어린 아들을
나 보기 부끄러워하며 살짝 야단칠 때
그 ‘살짝‘에 한낱 희망을 실어보누나
아, 그 탐스런 작은 손으로
고양이한테 밥을 줘봤으면!
길고양이를 집에 들이는 게
죽음의 문턱에서 데려오는 일이
더 이상 아니게 될 그날까지
시인 황인숙은 고양이를 너무 좋아해 길고양이들을 거둬 먹이는 엄마 노릇을 40년 넘게 하고 산다고 한다. 시인의 데뷔 시도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1984)였고, 그간 낸 시집이며 산문집과 장편소설에서도 고양이 이야기를 했다.
황인숙 시인에겐 시를 쓰는 일과 고양이를 돌보는 일이 우위를 다툴 수 없는 일이란다. ˝내 삶은 길고양이들 밥을 주기 전과 후로 갈렸다˝라고 말할 정도다. 고양이들 밥 주는 시간을 줄여 시 쓰기에 힘을 모으라고 지인들이 때로 타박도 한다는데, 시인은 자신이 정한 규칙을 깨지 않고 묵묵히, 꾸준히, 고양이들을 돌본다고 한다. 동물을 싫어하지는 않으나 동물을 돌보는 것은 싫어하는 나로서는 시인의 고양이 사랑이 놀랍다.
‘돌본다‘는 것은 사랑과 책임이 동반되는 일이다. 나는 모든 동물이 자연적으로 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는 1인이지만, 사회는 변했고, 변한 세상에서 같이 사는 동물의 존재도 ‘애완‘에서 ‘반려‘로 바뀌었다. 동물권은 중요하다. 고양이 밥그릇을 ˝길바닥에 패대기치는˝ 사람들이 없는 세상은 인간들의 밥그릇을 저울질하는 일도 없는 세상일 가능성이 높다. 나는 그런 세상을 꿈꾸는 사람이다.
황인숙 시인이 따끈따끈한 산문집 《좋은 일이 아주 없는 건 아니잖아》(달)를 출간했다. 시인들의 글은 ‘시‘로 읽는 게 제일 좋지만 산문은 또 어떨지 궁금하긴 하다. 허나, 지금으로선 읽고 싶은 다른 책들이 너~~~~무 많아 한동안 펼쳐 보기 힘들겠다.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