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26 매일 시읽기 28일 

밤길 
- 나희덕 

ㅡ 엄마! 저기 보석이 있어요. 
ㅡ 빛난다고 다 보석은 아니란다. 
    저건 깨진 유리 조각일 뿐이야. 

폐차장 앞은 
별을 쏟아놓은 것처럼 환하다 
빛에 이끌려 무작정 달려가려는 아이와 
그 손을 잡아당기는 나의 손, 
손이 자란다는 것은 무엇일까. 
내 손은 언제부터 알게 된 것일까, 
유리는 유리일 뿐이라는 쓸쓸함과 
한번 깨어지고 나면 더이상 유리일 수 없다는 
두려움을. 예리한 슬픔의 파편을. 
그 유리의 끝이 언젠가 
아이의 실핏줄을 찌르리라는 예감에 
나는 큰 손을 움츠리며 
내 손 안의 여린 손을 다잡아보기도 한다. 
생각해보면 
모든 게 보석처럼 빛나던 
한 세계의 광휘, 내게도 있었다. 
그러나 누가 붙잡을 수 있으랴, 
상처를 모르는 손이 그리로 달려가는 것을. 
제 슬픔의 빛을 빌려 
어둠을 살아가는 저 유리 조각들을 
보석이 아니라고 그 누가 말할 수 있으랴. 
어떤 손이 어떤 손에게 속삭일 수 있으랴. ​


다시 나희덕. 나희덕의 시를 읽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살면서 한 번쯤 스쳐 지나간 장면이나 생각이 시로 되살아나는 감흥이 일곤 한다. <밤길>이 그렇다.

밤길에 깨진 유리 조각들이 별처럼 흩어져 있다. 세상물정 아는 시인은 그것이 반짝이는 별들이 아니라 아이 손의 ˝실핏줄을˝ 찌를 수 있는 위험물임을 대번에 감지한다. 아이는 모른다. 몰라서 ˝빛에 이끌려 무작정 달려˝갈 수 있다. ˝무작정˝이라는 시어에서 멈칫했다.

‘아는 것이 힘‘일 때도 있지만, ‘모르는 것이 힘‘일 때도 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모르면 아이처럼 ˝무작정˝ 덤빌 수 있다. 그렇게 뛰어들었다 베고, 할퀴고, 채이고, 넘어지고, 구른다. 그런 경험치가 쌓여야 어른이 된다. 어른이 되는 것은 ˝유리는 유리일 뿐이라는 쓸쓸함˝과 ˝한번 깨어지고 나면 더 이상 유리일 수 없다는 두려움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어른은 ˝무작정˝ 뭔가를 하기 어렵다. 그 사실이 참 허전하다.

아이들에게 이러면 안 돼, 저러면 안 돼 하는 소리를 많이 하고 살았고, 지금도 하고 산다. 다만 좀 줄였다. 해도 잘 먹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상처를 모르는 손˝에게 상처 입을라 아무리 말로 한들 들리지 않는다. 보여주거나, 경험하게 해주어야 한다.

내 아이들은 지금 ˝보석처럼 빛나˝는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 ˝제 슬픔의 빛을 빌려 어둠을 살아가는˝ ˝유리 조각˝ 같은 어른인 나 또한 ˝보석이 아니라고 그 누가 말할 수 있으랴.˝

사진은 영월 한반도지형. 딸의 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