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23 매일 시읽기 25일

김선우의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는 제목 아래 ˝2011년을 기억함˝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2011년에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시인은 그 때의 풍경이 내면에 그려낸 풍경을 시로 담았다.

이 시를 읽고 나면 곁에 있든, 멀리 있든, 우리 모두가 ˝서로의 신˝이라는 근사한 사실을 깨닫게 된다. 신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으니 우리는 사람 인 처럼 서로 기대고 살아야 한다. 모든 태어나는 것은 그 순간부터 죽어가야 하지만, 지금 살아 숨쉬며 살아간다는 그 사실이 ‘혁명적‘인 것이라고 시인은 말한다. 그러니 혁명은 무한할 밖에.

저기 먼 데, 거창한 무엇으로 존재할 것만 같은 ‘혁명‘을 시인은 우리가 내딛는 걸음 마다마다에 존재하는 ‘이웃‘으로 당겨왔다. 멋지다. 

이 시를 읽고 새삼 느낀 점. 글로 마주하는 여기 사람들도 ‘서로의 신‘이다.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2011년을 기억함 
- 김선우 

그 풍경을 나는 이렇게 읽었다 
신을 만들 시간이 없었으므로 우리는 서로를 의지했다 
가녀린 떨림들이 서로의 요람이 되었다 
구해야 할 것은 모두 안에 있었다 
뜨거운 심장을 구근으로 묻은 철골 크레인 
세상 모든 종교의 구도행은 아마도 
맨 끝 회랑에 이르러 우리가 서로의 신이 되는 길

흔들리는 계절들의 성장을 나는 이렇게 읽었다
사랑합니다 그 길밖에 
마른 옥수수댓 끝에 날개를 펴고 앉은 가벼운 한 주검을 
그대의 손길이 쓰다듬고 간 후에 알았다 
세상의 모든 돈을 끌어모으면 
여기 이 잠자리 한 마리 만들어낼 수 있나요?
돈으로 여기 이 방울토마토꽃 한 송이 피울 수 있나요?
오래 흔들린 풀들의 향기가 지평선을 끌어당기며 그윽해졌다 

햇빛의 목소리를 엮어 짠 그물을 하늘로 펼쳐 던지는 그대여 
밤이 더러워지는 것을 바라본 지 너무나 오래되었으나 
가장 낮은 곳으로부터 번져온 수많은 눈물방울이 
그대와 함께 크레인 끝에 앉아서 말라갔다 
내 목소리는 그대의 손금 끝에 멈추었다 
햇살의 천둥번개가 치는 그 오후의 음악을 나는 이렇게 기록했다 
우리는 다만 마음을 다해 당신이 되고자 합니다 
받아줄 바닥이 없는 참혹으로부터 튕겨져 떠오르며 
별들의 집이 여전히 거기에 있고 

온몸에 얼음이 박힌 채 살아온 한 여자의 일생에 대해 
빈 그릇에 담기는 어혈의 투명한 슬픔에 대해 
세상을 유지하는 노동하는 몸과 탐욕한 자본의 폭력에 대해 
마음의 오목하게 들어간 망명지에 대해 골몰하는 시간이다 
사랑을 잃지 않겠습니다 그 길밖에 
인생이란 것의 품위를 지켜갈 다른 방도가 없음을 압니다 
가냘프지만 함께 우는 손들 
자신의 이익과 상관없는 일을 위해 눈물 흘리는 
그 손들이 서로의 체온을 엮어 짠 그물을 검은 하늘로 던져올릴 때 
하나씩의 그물코, 
기약 없는 사랑에 의지해 띄워졌던 종이배들이 
지상이라는 포구로 돌아온다 생생히 울리는 뱃고동 
그 순간에 나는 고대의 악기처럼 고개를 끄덕인다 
태어난 모든 것은 실은 죽어가는 것이지만 
우리는 말한다 
살아가고 있다! 
이 눈부신 착란의 착란, 
이토록 혁명적인 낙관에 대하여 
사랑합니다 그 길밖에 

온갖 정교한 논리를 가졌으나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채 
옛 파르티잔들의 도시가 무겁게 가라앉아가는 동안 
수만개의 그물코를 가진 하나의 그물이 경쾌하게 띄워올려졌다 
공중천막처럼 펼쳐진 하나의 그물이 
무한 하늘 한녘에서 하나의 그물코가 되는 그 순간 
별들이 움직였다 
창문이 조금 더 열리고 
두근거리는 심장이 뾰족한 흰 싹을 공기 중으로 내밀었다 
그 순간의 가녀린 입술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나는 들었다 처음과 같이 
지금 마주본 우리가 서로의 신입니다 
나의 혁명은 지금 여기서 이렇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