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이노의 비가 열린책들 세계문학 228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음, 손재준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13 매일 시읽기 15일

가을
- 라이너 마리아 릴케 Rainer Maria Rilke

나뭇잎이 진다. 잎이 진다. 멀리서 날려 오듯
하늘의 아득한 정원이 시든 듯
거부하는 몸짓으로 나뭇잎이 진다.

그리고 밤에는 무거운 대지가
많은 별에서 고독 속으로 떨어진다.

우리는 모두 떨어진다. 이 손도 떨어진다.
다른 것을 보라, 조락은 어느 것에나 있다.

그러나 이 조락을 한없이 부드럽게
두 손으로 받쳐 주는 어느 한 분이 있다.


열린책에서 2016년에 출간된 라이너 마리아 릴케 시 선집 <<두이노의 비가>>는 '한 권으로 읽는 릴케'라는 부제를 달아주고 싶다. 1899년부터 1922년까지 릴케가 24년간 발표한 총 8권의 시집에서 170여 편의 작품을 선별해 만든 선집이다. 역자 해설 제외하고 463페이지. 작품을 고르고 번역을 한 손재준 교수의 노고에 박수를 쳐주겠다. 번역도 깔끔하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을 읽어본 사람이면 스쳐 지나가듯 그 이름을 들어보았을 시인이다. 나 역시 그런 독자들 중 한 명이다.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 마디씩 불러봅니다. . . . . . .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들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시는 생살 씹듯 오물거리며 천천히 음미해야 하는 글이지만 매일 시읽기라는 혼자만의 프로젝트 때문에 오래 전 사두었던 이 시집을 꺼내 책장을 휘리릭 넘겨보았다. 그러다 만난 <가을날>은 어찌나 반갑던지. 익숙하고도 익숙한 첫 시구, "주여 때가 왔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119) 그러나 나의 가슴을 적신 시는 초가을을 노래한 이 시보다 늦가을의 정서를 간결하게 묘사한 <가을>이란 시였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1875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1826년 스위스 몽트뢰 언덕에 자리한 발몽 요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51세(우리나라 나이로 52세). 사인은 백혈병이었다. 병세가 완연해졌을 때 릴케는 "참을 수 없는 고통," "말할 수 없는 고통"에 시달렸다고 한다. 그의 고통이 어떠했을지 상상만 해보아도 몸이 부르르 떨린다.

릴케의 시들을 면발 들이키듯 후루룩 맛본 느낌으로 말하자면, 릴케는 무릇 존재란 창조와 동시에 소멸을 담보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모든 것은 탄생하는 순간 죽음을 향해 간다. <가을>도 같은 맥락을 노래하고 있다. 나뭇잎도 피고 지고, 별도 뜨고 진다. 모든 것이 "떨 어 진 다."

사랑, 고독, 죽음. 릴케의 시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키워드들이다. 수박 겉핥기 식으로 이 선집을 뒤적거리면서 든 생각은, 아, '시인은 사물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자'로구나 하는 것이었다. 릴케는 한동안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