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폐허를 응시하라 -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레베카 솔닛 지음, 정해영 옮김 / 펜타그램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2020711

《이 폐허를 응시하라》 리베카 솔닛/정해영/펜타그램(2012)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

나는 리베카 솔닛의 애독자다. 내 책꽂이 한 칸의 한 귀퉁이는 솔닛의 책들로 채워져 있다. 애독자라지만 완독한 책은 한 권뿐이다. 솔닛의 책들은 그저 꽂혀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감을 준다. 그리고 태평양 건너 아주 멀리 사는 그녀를 가까운 존재로 느끼게 해준다. 그것이 작가가 가진 힘일 것이다.

솔닛 본인이 뽑는 듯한 제목들에는 일관된 맥락이 있다. 역설이다. 《멀고도 가까운》, 《어둠 속의 희망》, 《길 잃기 안내서》,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Mansplain》, 그리고 오늘 얘기하려는 《이 폐허를 응시하라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이 책을 처음 읽은 것은 2016년 6월이다. <<멀고도 가까운>>에서 저자가 풀어내는 사유와 글쓰기 방식이 가랑비처럼 나를 적셨다. 그래서 내쳐 읽은 것이 이 책이었다. 4분의 1정도 읽다 도서관에 반납하며 언젠가 다시 읽을 날을 기약했다.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한 후 그 기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라디오프로며 팟캣이며 여기저기서 이 책이 자주 거론되었다. 기억의 소환. 이번에는 알라딘 중고로 책을
구매했다.

표지 디자인을 보라. 지진이 일어났는지 땅이 쩍쩍 갈라져 있다. 처참하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그 땅 끝에 서 있는 높고낮은 건물들은 금 간 데 없이 멀쩡히 서 있다. 지옥 위에 세워진 천국. 리베카 솔닛이 말하려는 천국은 물질적 풍요가 넘쳐나고 정신적 고통이 사라진 천국이 아니다.

˝재난은 그 자체로는 끔찍하지만 때로는 천국(혹은 유토피아)으로 들어가는 뒷문이 될 수 있다. 적어도 우리가 되고 싶은 사람이 되고, 우리가 소망하는 일을 하고, 우리가 형제자매를 보살피는 사람이 되는 천국의 문 말이다.˝(13)​

사실 솔닛이 그리는 재난 유토피아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느낌도 없지 않다. 인간이 어디 그리 선하던가. 물론 솔닛도 그 점을 잘 알고 있다. 다만 그녀가 주목하는 것은 많은 것이 파괴돼 아무것도 피어나지 못할 것 같은 폐허 속에서도 새싹 하나가 단단한 바닥을 뚫고 올라와 세상을 초록으로 물들일 수 있다는 역사성이다. 그녀는 재난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를 다섯 가지의 사례를 통해 현장감 넘치는 이야기와 깊이 있는 통찰로 풀어나간다.

내가 솔닛의 글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어느 독자가 얘기했듯이 ˝우리가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 통념의 벽에 구멍을 내기˝ 때문이다. 이런 글은 머리와 가슴에 동시에 망치질을 한다. 정신이 번쩍 들고 지성이 반짝 켜진다.

코로나19가 종식되기 전에 완독할 수 있을 것 같다. 재앙의 형태는 다르지만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이 닥쳤을 때의 반응에 대해 솔닛은 이렇게 말한다.

˝재난에 대한 반응은 어느 정도는 우리가 누구냐에 달려 있다. 언론인은 장군과 다른 의무를 지는 법이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되느냐는 우리 믿음의 결과이기도 하다. 윌리엄 제임스(실용주의 철학자. 헨리 제임스의 형)의 철학의 주된 관심은 진실이 무엇인가보다 어떤
믿음이 어떤 결과를 낳는가이다. 즉, 믿음이 어떻게 세계를 형성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임스는 많은 것을 믿고 많은 것을 생각했으며, 지진이 그의 생각에 연료를 공급했다. 더 정확히 말해서, 지진은 그가 생각해온 많은 것들에 영향을 끼쳤다.˝ (82)

우리 각자는 현재의 재난에 어떤 믿음으로 어떤 대응을 하며 어떤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는가. 묻고 답하는 책이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