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씨전 : 낭군 같은 남자들은 조금도 부럽지 않습니다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나라말) 4
장재화 지음, 김형연 그림 / 나라말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박씨전. 딱딱하고 재미없는 제목을 이렇게 부드럽고 은근하며, 인물의 성격을 뚜렷하게 전달하는 제목을 만든 이는 대체 누구란 말인가? 나라말 고전 작품들이 마음에 드는 이유 하나는 바로 이 감각적인 제목이다. 역시 마음에 드는 제목이다. 또 하나 마음에 드는 이유는 단연 그림이다. 요사이 부쩍 그림이 참 좋다. 언어도 아닌 것이 선과 색을 이용해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사실 허물을 벗기 전 박씨의 얼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어떤 모습일까 무척 궁금했는데.....^^ 안타깝게도 없어서~ 역시 외모에 대한 얘기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외모가 아닌 마음으로 사람을 사랑해야한다지만 그렇게하지 못했던 이시백! 그를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할 것인지 고민스럽다. 내가 이시백이었다한들 별 다르지 못했을 것 같아서 말이다. 여기서 갈등과 고민이 생긴다. 과연 박씨의 그런 괴물같은 모습에도 우리는 그녀의 성정을 들여다보며 그녀를 사랑해야한다고 이득춘처럼 얘기해야 할 것인가?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외모는 어느 정도 성형을 통해 바꾸어보는 것도 좋은 일이라고 얘기해야 할 것인가? 무엇이 현실적인가? 고민스럽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사실 처사나 박씨의 신선 같은 능력보다 임금의 '혜안'이었다. 이득춘이 박씨가 지어준 조복을 입고 임금을 만났을 때, 임금의 그의 조복에 놓인 수를 보고 그 안에 숨겨진 박씨의 마음을 단박에 읽어내던 임금! 이 얼마나 뛰어난 감식력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눈 앞에 닥친 나라의 위기를 보지 못 했을까?

 참, 원래 이야기 끝이 이랬던가? 내가 기억하고 있던 박씨전과 달라서 말이다. 역시 이본이 많겠지만 이 책의 박씨는 좀 더 현실적인 인물인 듯하다. (예전에 읽은 이야기는 직접 나가 싸우는 내용이었던 것 같은데) 전투는 임경업에게 모두 맡기고 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