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는 승리한 자의 기록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책. 사도세자의 고백

 왕의 아들이 뒤주에 갇혀 죽었다! 그리고, 죽인 사람은 다름아닌 그의 아버지였다. 미쳐버린 세자에게 왕위를 계승할 수 없다는 강한 의지로 자신의 아들임에도 불구하고 죽일 수밖에 없었던 그의 아버지가 가련하다는 생각을 했었던 때가 있었다. 이런! 역사는 승리한 자의 기록임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일단 이 책에 감사한다. 역사의 뒤안길을 낱낱이 파헤쳐서 볼 수 없었던 것들을 볼 기회를 준 것에 말이다. 그것도 내가 그 시간 그 공간에 함께 있었던 것처럼 생생하게 전달해 준 것에 무지무지 감사해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은 모든 것을 다 누리고 가진 신과 같은 존재인 줄만 알았다. 강력한 카리스마로 모든 것을 제압하며 자신의 신념을 꿋꿋이 밀고나가는 존재인 줄만 알았다. 하지만 왕권이 무너져가던 조선후기에는 신하들의 당파싸움에 휘말리는, 그것으로 인해 자신의 혈육도 져버리는 나약한 존재였음을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영조, 그는 나약했다. 태평성대라 불릴만큼 정치를 잘 했다던 그는 아들이 무서워 아들을 제거해버리는 나약한 존재였다. 왕권교체의 정당성에 목 맨,남이 나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연연했던 가련한 군주다.  사도세자, 그는 정신병자가 아니라 왕이 되기 위한 준비에 철저했던, 확고한 신념과 의지을 가진 왕자였다. 그가 뒤주 안에 갇혔던 여드레, 죽어가면서 자신의 신념에 굴하지 않았던 자신을 원망했을까 아니면 자신을 이렇게 서서히 죽여가는 아버지를 원망했을까? 아무도 모른다. 역사는 승리한 자의 말만 기록에 남기니 말이다.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도 철저하게 패배했던 그래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던 사도세자의 본래 모습을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 책에서 얘기하고 있는 것이 전부 사실이라는 장담은 못한다. 그것은 작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작가 역시 자신의 사관을 가지고 성실히 진실을 추적하고 그것을 기술하는 것 뿐일테니 말이다. 하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현재 알려진 사도세자의 정보는 분명 왜곡된 것이라는 점이다. 작가가 추적한 바 이 책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으니 말이다. 나는 작가의 성실한 추적을 믿는다.

그러나, 한 가지 의문! 사도세자가 자신의 궁 앞에 군기붙이와 말을 땅 속에 감추었다고 했는데, 이것이 설사 노론의 공격에 대비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치더라도 이러한 행동은 분명 영조에게 충분히 위협이 되었으리라 본다. 사도세자 역시 자신의 생명에 위협이 되는 아버지를 제거하려 했던 것은 아닐까? '최선의 방어는 최선의 공격'이었던 조선시대 왕조에서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가 아닐까? 그 공격에 한 발 늦은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함으로써 끝난 역사이야기가 아닐까? 만약, 사도세자의 공격이 한 발 앞섰더라면 아버지가 죽임을 당하는 이야기로 끝나지 않았을까? 작가는 사도세자가 그런 마음을 추호도 갖고 있지 않았다고 여러 가지 정황을 바탕으로 얘기하지만...충분히 바뀔 수 있는 이야기이니 말이다.   

역사, 이제 보이는 대로 볼 수 없을 듯하다. 진실이 무엇인지 눈 똑바로 뜨로 봐야겠다. 솔직히 대선을 앞두고 있는 현 정계 역시 이러한 일들이 비일비재 하지 않을까 싶다. 정적을 쳐내기 위한 잔혹한 세계에서 거짓이 난무하고, 그 거짓들 틈에서 진실을 찾아내야 하는 숙제를 우리에게 주는 것이 선거가 아니던가? 참, 눈 크게 뜨고 정신 똑바로 차리고 진실을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