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사적인 도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나의 사적인 도시 - 뉴욕 걸어본다 3
박상미 지음 / 난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상미의 <나의 사적인 도시>는 원래 개인 블로그에 올려졌던 글이라 한다. 아무래도 좀 쉽고 발랄한 내용을 상상했었던 탓인지 이렇게나 밀도가 높은 책이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타국에서 지인을 위해 근황을 알리는 목적으로 올린 글이었다고 하는데, 그런 이유치고 지나치게(?) 전문성이 높았던지 애초에 책이 될 운명으로 써진 글처럼 보이기도 한다.

물론 블로그 글인데 수준이 높아서 제법이다란 말을 하려는 건 아니고, 어떻게든 이렇게 오랜 기간 꾸준하게 또 균질한 글을 써낼 수 있었는가에 대한 경외감이 들어, 이에 인상이 강하게 남는 책이다.



막연하게 뉴욕의 일상에서 상상되는 화려한 삶의 자랑, 때때로의 투정, 외로움과 같은 감정적인 면을 주된 일상으로 기대한다면 이 책은 금방 방향을 잃게 만들고, 얼마 안가서 아예 놓게 만드는 고약함이 있다. 부럽도록 화려하다거나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고투 정도를 넘어서 그 안의 그저 차분해 보이는 일상, 더불어 예술에 대한 전문가의 성실한 해석과 다양한 주제가 담겨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호의로서 편하게 인도되는 방편이 아니라 조금은 집중을 필요로 하는, 작가의 뚜렷하고도 철저한 편애만을 담고 있는 쪽에 가깝다.




우선 이 책을 막연히 떠올리면 어떤 사람에게는 특정한 장소가 애정의 모든 것이랄 수 있게 중요할 수 있구나 싶어 흥미롭다. 막상 가본 사람에게야 이해도 쉽고 관심이 더 가겠지만 그렇지 못한 이에게 특정한 장소란, 지속적 공감을 유지할 수 없으리란 아쉬움이 걱정되는 일이다. 때문에 뉴욕 근처에도 못 가본 사람으로서 어떻게 이 방대한 사랑의 헌사를 들어줄 수 있을까 공백을 앞서서 염려했다. 물론 기대 이상일 수도 있다란 생각이 있었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이러한 걱정들이 전혀 중요치 않은 책이라는 걸 알게 됐다.


오히려 의외의 복병은 뉴욕을 잘 알지 못해서가 아니라, 작가의 관심사에 얽힌 심도 있는 예술 이야기를 끊임없이 듣는 일이었다. 예술가이자, 번역가 등의 일을 전방위적으로 겸하다보니 일상을 말하더라도 허투루 감상을 올리는 법이 없다. 매우 전문적인 특색까지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글에 하나의 세계가 펼쳐지는 듯, 없던 학문적 호기심을 자극받아야 한다. 확실히 작가가 애정하는 모든 것과 그 시간들에는 겉핥기로 알 만한 그것들과는 엄연히 다르게, 깊은 데가 있었다.

공간에 집중된 낯선 면모를 드러내는 글쓰기를 하기 보다 자신에게 집중된 관심사의 연장에서 그 연결고리를 잇기 위한 공간이었다. 그곳은 시간의 투사를 공유한 공간이며 작가 주변에 펼쳐진 시간에 대한 증폭으로 공간이 떠올려 지는 일이었다.



특히 미술에 대한 이야기는 양적으로도 상당해서 조예가 깊지 않은 사람에게도 덩달아 찾아보게 되는 함양의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그 방대함의 높은 장벽을 실감해야만 했다. 애초에 타인에게 읽힐 글로 써졌기 때문에 간략한 설명들이 있고, 어렵게 읽히는 것도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관심이 없거나 한 이들에겐 고약한 부분이 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니 더 관심이 가는 부분들은 내가 좀 아는 작가나 작품들에 쏠리게 되고, 인생에 대한 언급을 하는 부분, 주로 일상을 더듬는 글에 더한 관심이 가게 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내내 어떻게 이 오랜 동안 하릴없는 일상을 쓸 때 조차 각 주제와 목적을 이루는 글쓰기가 가능했을까(물론 편집되었을 수도 있겠지만) 거듭 그 성실함에 찬사를 표하게 되었다.

미술은 물론이고 영화나 책, 소소하게 느낀 계절이 지나가는 감정이나, 작은 파티에서 만나 나눈 이야기를 전하는 순간에서도 예술적 통찰, 인생에 대한 작가의 철학은 어김없이 맞물려 녹아나는 이유다.




뉴욕의 삶은 늘 복잡하고 시끄럽고 스펙터클한 일상을 선사하는 것이지만 작가의 시선에서 그 패턴은 늘 몇 걸음 떨어진 차분하고도 냉정한 이성의 기운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있다. 그래서인지 화려한 도시에서의 온도가 뜨겁다기 보다는 오히려 조금은 서늘한 온도로 느껴진다.

그림으로 말하자면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에서 본 정서와 닮았다고 할까. 복잡다단함 속에서 홀로 여유를 찾을 수 있는 힘은 그녀가 그곳을 충분히 이해하고 즐길 수 있었기에 가능했을 일이다.

호퍼의 그림에서 보았던 풍요 속의 고립, 단절된 고요, 무기력한 공허의 그림자들이 박상미 작가의 뉴욕으로 오면 조금 더 평온하고 자발적 고독의 서늘함 정도로 읽힌다.

이 고독은 누군가의 위로를 필요로 하는 그런 문제적 고독이 아니라 기꺼이 즐기기 위해 모인 사람들의 뉴욕을 상상하게 만든다. 시간 속에서 서서히 충만해져 오는 내면의 수호를 기다리는 듯한 그런 고요 말이다.

그래서 이 공간들은 안식의 침대처럼 딱 들어맞는 여유와 느슨함이 있는 집이 된다. 항상 한낮의 바쁘고 북적댄 하루를 이야기 하지만 그것을 써낸 숱한 밤의 호젓함의 기운으로 독자는 내내 느낄 수가 있는 것이다. 작가의 시선에서 보이는 뉴욕은 그 공허를 기꺼이 즐길 줄 아는 여유, 성실하고도 치열한 삶의 장을 준 셈이다.



이곳에서 비로소 사물을 응시할 줄 알게 되고, 관계를 맺을 줄 알게 되었으며, 외부로부터 오는 그 무엇들을 서서히 내 자신으로 물들게 하는 법을 배웠는지도 모르겠다.

요컨대 작가의 수많은 일상 속에 흐르는 침묵의 고요, 빈 공간에서 오는 충만함의 발견들이 오히려 그 공간을 좀 더 특별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무엇보다 자신에게 집중된 배움 속에서 살아갔고, 자신이 사랑하는 일에서만큼은 노력하고 세상과 끊임없이 부딪히며 이뤄갔기 때문일까, 작가는 더욱 공간을 이해하게 되고 사랑 역시 가능했을 것이다. 이는 작가가 언급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인 들어 올림을 위한 완성의 과정과 닮아 있다. 그래서 이 일일의 글들은 뉴욕을 사랑한, 한 시절의 헌사와 같은 기록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 공간 안에서 완성된 한 사람의 풍요로운 성장기라 부르고 싶어진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