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연인 심청 - 사랑으로 죽다
방민호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소리 심청가에서는 고려시대 배경으로 이야기가 이어지지만,

전래동화책 그림 속 심청이는 조선시대의 한복을 입고 있기도 하고, 고려시대 옷을 입고 있기도 한다.

 

'연인 심청'의 시대배경은 어디를 읽어 봐도 고려시대이다.
국제무역항 벽란도에서 뱃길로 송나라 남경을 오가며

만령전, 중광전, 건덕전, 곤성전 같은 고려궁의 전각들도 나온다.

 

분명한 고려시대 속에서 책을 읽어나가던 중 난 1번의 께림칙함과

조선시대의 방해를 2번이나 받았다.

그 께림칙함이란 186쪽 위에서 10번째 줄이다.

'붕어지'라는 물고기를 설명하는 글에서 '붕장어'면 될 것을

굳이 일어인 '아나고'를 부연 설명으로 달았는지 씁쓸하다.
붕장어보다 아나고가 어색할 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다. -_-;

 

내가 찾은 조선시대의 방해와 심청이가 살고 있는 고려시대는 몇 년의 차이가 나는 지

궁금해서 찾아보기 시작했다.


221쪽 위에서 8번째 줄부터 13번째 줄이다.

 

출가한 왕의 넷째아들 의천을 네이버 백과사전으로 찾았더니

문종의 넷째아들로 1055년(문종9)에 태어나 11살에 출가했으며

법명은 의천, 시호는 대각국사로 흥왕사 주지를 지내고

1101년(숙종6)에 사망한 것으로 나와 있다.
넷째아들이 작년에 출가했다고 왕이 회상했으니 나이를 햇수로 계산해보면 1066년이 된다.

 

첫 번째 조선시대의 방해 - 266쪽 아래서 8번째 줄

 

두 번째 조선시대의 방해 - 322쪽 위에서 10번째 줄

 

 찾으셨나요?

 

266쪽 '화냥년'과 322쪽 '호로새끼'라는 말은 병자호란을 계기로 생겨난 말이다.

'화냥년'이란 말은, 병자호란 때 오랑캐에게 끌려갔다 조선으로 돌아온 여인들을

사람들이 '환향녀'(고향으로 돌아온 여인)라고 부르던 데서 유래했고,

'호로새끼'는 환향녀가 낳은 아이를 두고 이르는 말이다. 

두 단어의 생성시기를 1637년(인조15년)으로 잡고 있단다.

 

1066년 - 1637년 = -571년

 

고려왕조도 조선왕조도 571년의 역사가 못 된다.

266쪽에서는 뺑덕 어미에게 조롱당해 화냥년이라도 된 듯한 기분을 느끼는

귀덕 어미의 심정을 나타냈다.

이건 상황을 설명하는 작가의 글이라 걸리면 걸리는 거고 아니면 아닌 거다.

하지만 322쪽에는 571년 뒤에야 생길 말로 조롱당하는 심학규가 있다.

'호로새끼'라니 있지도 않은 말을 쓰는 것이다.

 

심학규는 호로새끼가 될래야 될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어천재 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 언어천재 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 1
조승연 지음 / 김영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라는 책의 해외판 같은 책이다.

책을 읽다가 문장에 맞지 않는 틀린 단어를 찾아냈다. 오타가 아니라 명백한 실수다.

 

 

197쪽 위에서 3번째 줄

당시 일본 만화가인 오사무 데즈카는 디즈니에서 수입된 만화영화에 크게 자극을 받아 일본 스타일의 어린이 만화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었다고 한다.

오사무 데즈카 → 데즈카 오사무

 

만화영화를 좋아하는 나에게는 너무 튀는 실수!

 

 

267쪽 위에서 8번째 줄

그는 또 로마 귀족 중에서 머리가 가장 좋다고 소문난 재원이었다.

 

 

 

재원 → 재자(才子) :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

 

재원 → 인재() : 재주가 아주 뛰어난 사람


재원은 여자한테 쓰는 말이니 첨삭한다면 

상대어인 재자를 쓰거나, 남녀 두루 쓸 수 있는 인재로 바꿀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국지 제3권 - 헝클어진 천하
나관중 원작, 이문열 평역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311p 15번째 줄

[아우가 조조의 참람된 모습을 보고 자기도 모르게 화를 낸 것뿐입 니다]


339p 11번째 줄

조조는 크게 기뻐하며 서구에게 고릉의 태수 벼슬을내리고 옥새를 거두니 그때부터 전국의 옥새는 조조의 손에 들어갔다. 


361p 15번째 줄

그런 다음 곧 여러 모사들을 불러놓고 원소를 맞아 싸울 의논을 했 다.


362p 13번째 줄

그러자 공융도 잠시 그 같은 순욱의 말을 되씹어보는 듯 말이 없었 다.


뭐지... 이 어이없는 띄어쓰기는 -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산의 마음 - 정약용 산문 선집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11
정약용 지음, 박혜숙 엮어옮김 / 돌베개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1p 아래 각주 부분

3_이중협(李重協): 18011년에서 1813년까지 강진의 병마우후로 재임했다.


1801년? 1811년?


찾아봐도 안 나오더라고요. 뭐가 맞는 건지 알 수 없어요.




186p 5번째 줄

너희들은 잘 생각해 보거라. 너희들은 잘 생각해 보거라.


반복된 문장이 실수처럼 보인다. - -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삼국지 2 : 구름처럼 이는 영웅 삼국지 2
나관중 원작, 이문열 평역 / 민음사 / 2013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민음사 왠만해서는 띄어쓰기 틀리지 않는데 한 문장에 2군데나 있길래. 콕! 꼬집어 주고 싶었다. -.-;


333p / 6번째 줄

그러나 대대로 꾸민 앞뒤 뜰이나 연못가의 정자는 그대로 남아 있어 그런 대로 운치가 살 아 있었다.


그런 대로 → 그런대로

살 아 있었다. → 살아 있었다.



398p / 제일 밑에 줄

꼼짝없이 곽사에게 끌려가 또다시 꼭둑각시 노릇을 해야 할 줄 알았던 황제의 기쁨은 컸다.


꼭둑각시 → 꼭두각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