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정운영이 만난 우리시대 진보의 파수꾼 - 사람과 사람 1
정운영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故정운영 교수가 TV토론의 사회자가 된 이후로 토론 문화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 예전에는 목소리 크고, 말 길게 하는 놈이 대장 노릇을 하던 난장판이었는데, 정운영 교수는 중언부언 하는 놈의 말을 딱 잘라버리고, 삼천포로 새려고 하면 귓볼을 잡아 다시 제 자리로 끌고 오는 새로운 진행 방식을 취했다. 거기에 익숙하지 않은 내가 민망할 정도로 엄격했지만, 정말 훌륭했다고 생각한다.

노회찬에 대한 인터뷰를 내용으로 하고 있는 이 책 역시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훌륭한 책이다. 아마 이대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면 노회찬도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듯한 인터뷰에 감동하지 않았을까.
노회찬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이야기를 정말 재미있게 엮어냈기 때문에, 노회찬에 별 관심이 없더라도 그냥 한 사람의 인생 이야기라 생각하고 재미삼아 읽어볼 만 하다.

특히 기억에 남는 부분은, 40대 위기론에 대한 노회찬의 말,
"예전부터 저는 40불혹을 논어와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30이립이란 서른이 되어도 제 발로 서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 제 발로 서야 한다는 뜻이고, 40불혹은 마흔이 되면 특히 유혹이 심하니 유혹에 넘어가지 않기 위해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며, 50지천명은 나이 오십이 되어도 인생의 의미를 모르기 십상이니 천명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지 않겠냐는 뜻이고, 60이순은 환갑이 되어도 말이 순하게 들리지 않으니 어떤 말도 평안히 받아들이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그리고,
정운영 : 현재의 노동운동이 귀족화한다는 비판이 있는데요
"(생략) 오늘날 상대적으로 고임금 계층인 일부 대기업 노동자들을 노동 귀족이라 부르는 것은 노동운동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공세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들의 고임금은 정당한 노동의 대가로 보아야 하며, 자신들의 투쟁과 기업의 지불 능력이 빚은 결과일 뿐입니다.(생략)"

그러나 약간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부분은 노회찬은 보수에게도 외면받는 한나라당은 곧 망할 것이라는 예측을 했는데 (2004년 12월 책이다), 올해 지방선거의 한나라당 압승을 보면...쩝.

이 책에 한나라당 홍준표가 노회찬을 격려하는 글을 실었는데, 내 생각에 그건 노회찬이 자기 고려대 후배라서가 아닐까 한다.--이념도 넘어서는 고대파워입니까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릴케 현상 2006-10-11 0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념쯤은 가비얍게 넘는 고대파워^^ 5년간 고대 후문 옆에서 산 주민!

수퍼겜보이 2006-10-12 0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명한 산책님 ^^;;오랜만입니다~

수퍼겜보이 2006-10-12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저야말로 들러주셔서 고맙습니다.
 
아이오페 레티놀 티엑스(RETINOL TX) - 40ml
아모레퍼시픽
평점 :
단종


이걸 쓰고서 피부 좋아졌다는 얘기를 들어봤어요. 그런 얘기 들어본 게 몇 년 만입니다.

이미 노화가 진행되는 나이가 되었는데도 개의치 않고 편한 대로 살았더니
적어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는 반짝반짝했던 얼굴이 점점 지난 밤과 차이를 보이지 않더군요.
더 놔두었다가는 호미로 막을 것 가래로 막겠다는 불안감에 노화방지 제품을 이것저것 찾아보았으나
보통 단순 수분크림들보다 2배 이상 비싼 터라 선뜻 지갑이 안 열렸어요.

그러다 아이오페가 레티놀로 유명하기도 하고, 몇 년 간 꾸준히 팔리고 있는 것을 보면 괜찮은 것 같아서 
한 번 사봤습니다. 알라딘에서 사면 가격도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구요.

다른 분들이 쓰신 것처럼 발랐을 때 끈적임 없이 흡수가 잘 돼요. 40ml면 이런 컨셉의 외산 화장품보다 양도 많은 것이지요.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부가 보들보들합니다. 굳이 가격대비를 따지지 않더라도 엘리자베스 아덴의 분홍 캡슐이나, 에스티 로더의 갈색병보다 더 마음에 들어요. 각질도 줄어들었고, 피부의 수분함유율도 높아진 듯한 느낌입니다. 친구 어머니도 이 것은 꾸준히 쓰고 계신다고 하네요. 

설화수 같은 고가 브랜드를 제외한다면 아이오페 레티놀이 국산 화장품 중 최고인 것 같아요. 재구매의사 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폭 선생님 10
코쥬코 모리모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사무실에 동아일보가 있길래 잠깐 쉬면서 읽어봤다. 거기 나오는 퀴즈 하나.

Q.일본 아이들은 어디서 처음 존댓말을 배울까?
1) 가정 2) 학교 3) 맥도널드

답은 : 3)번 맥도널드
과장이겠지만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처음 존댓말을 배운다고 한다.

우리 귀여운 일본어 선생님께 학생들이 "일본 학생이랑 한국 학생 중 누가 더 좋아요?"하는
(왜 이런 질문을 하지?) 질문을 드렸다.

"음... 일보느 학센으는 좀 무소워요. 한국 학센으는 '선생님 선생님~'하명서 높여주어 귀요워요^^
 일본에서는 선생님한테 반말하거든요"

아. 그랬구나.
만화에서 늘 선생님한테 반말하는 애들을 보면, 불량한 아이들이라서 그런가보다 했는데,
일본에서는 선생님이랑 조금 친해지면 반말을 한다고 한다.

"어이, 양쿠미"
라고 부르는 게 너무 익숙하지 않은가.

고등학교때까지 반말하며 살다가,
취업하면 바로 허리가 90도로 꺾이고 존댓말이 나온다면 그것도 나쁠 건 없겠다.


TV [고쿠센]의 양쿠미는 만화의 양쿠미에 비해 날카로운 카리스마가 부족한 것 같아서 아쉽다.
 
yankumi

어쨌든 조폭 선생님은 재밌다. ^^ 시노하라와 신에 대한 양쿠미의 감정은 [너는 펫]의 스미레가
선배와 펫에 대해 느꼈던 감정과 조금 비슷한 것 같기도... 쿠로다 가에서 키우는 개 '후지'의
이야기도 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로원 야화기 범우문고 138
김승일 엮음 / 범우사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고본은 책장에선 크게 폼이 나지 않지만 들고다니며 읽기 편해서 자주 사게 된다.
그리고 가격이 주간지보다 싸기 때문에 부담 없지 않은가.

요로원야화기는 조선시대의 이야깃거리들이 몇 가지 모여 있는 책으로, 제목이기도 한 '요로원 야화기'는 요로원에서 밤에 대화를 한 이야기이지 밤에 피는 꽃 같은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ㅋ

이 책에선 경상도 처녀에게 장가를 든 충청도 양반이 경상도 풍습이 하도 우스워서 비웃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어머니를 잡고 왜 이런 풍습이 웃긴 거냐구 여쭤보니 잘 모르신다. @.@ 난 더욱 알 수 없으니 어디서 웃어야할지 감이 안 와서 아쉬웠다. 그래도 어이없어 하는 모습과 말투가 재미있어 웃음.

자기와 사이 나쁜 며느리를 곯려주려다 되려 당하는 시아버지 이야기도 정말 웃긴다.

우리 이야기가 더 많이 번역되어 나왔으면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퍼겜보이 2006-10-04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문고본들 알라딘에선 대부분 품절이라 아쉬워요 ^.^
 
 전출처 : 국경을넘어 > 포장지

 

새삼 포장지라는 것에 대해 생각을 해본다.


1. 1933년 일본 나라(奈良)시 도다이지(東大寺) 쇼소인(正倉院) 창고에서 작업 중이던 일본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신라에서 제작된 13매의 경질(經帙; 경전을 담는 곽) 가운데 화엄경론(華嚴經論)을 두겹으로 싸고 있던 파손된 포장지의 내부에서 해서체로 기록된 2장 분량의 기록이 발견된 것이다. 우리가 국사 시간에 배워서 잘 알고 있는 신라 장적(민정문서)이다. 신라의 경제 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문서라 시험에도 잘 나온다. 이 포장지가 아니었더라면 그나마 우리 역사의 빈 공간이 무척 컸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것 밖에 딱히 구체적인 경제 생활을 알 수 있는 문서가 없어 다양한 해석이 나왔던 것도 사실이다. 종이를 재활용하다 보니 곽에 덧붙여진 건데 경전보다 포장지가 더 유명해진 사례다. 일본에서는 당시 촬영을 해 두고 다시 원래대로 붙여 놓아 지금은 볼 수 없다. 그리고 값진 보물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도다이지(이 절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의 쇼소인은 일년에 한번만 개방한단다. 10월 달이라 하는 것 같은데 정확한 날짜는 잘 모르겠다. 이걸 보려고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여든다.


2. 서구 사회는 산업혁명이 성공하면서 그 물질적 위력을 과시하기 위한 각종 박람회가 열렸다.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물건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이때 동방의 도자기가 무척 인기가 있었다. 중국의 도자기를 비롯한 중국의 물건을 모으는 취미의 ‘시노와즈리’가 유럽을 강타하지 않았던가. 중국의 도자기 못지않게 일본의 도자기도 인기가 있었다. 그런데 도자기가 건너갈 때 맨몸으로 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바로 포장을 해야 하는데 일본의 도쿠가와 시대에 유행했던 소위 우키요에(浮世繪)라는 판화작품이 포장지로 이용되었다. 그리고 유럽인들은 도자기도 좋아했지만 다양하고 강렬한 색채를 뿜어내는 일본의 판화 작품에 빨려 들었다. 여기서도 포장지가 본체보다 더 위력을 발휘한 것이다. ‘시노와즈리’와 함께 ‘자포니즘’의 시대가 온 것이다. 인상파 화가들은 너도나도 우키요에를 따라하기에 바빴고 그들의 그림에서 일본의 영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고흐의 <탕귀영감의 초상 1,2>이다. 영감님 뒤로 우키요에게 촤악 깔려 있다.

 

고흐의 <자화상>이다. 역시 배경으로 우키요에가 그려져 있다.

 


안도 히로시게는 도쿄 100경이라는 작품을 남겼는데 이 작품들은 고흐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 <오하시와 아타케의 천둥>이라는 작품을


고흐는 <비오는 다리>라는 이름으로 이렇게 그려 놓았다.

 


안도 히로시케의 또다른 작품 <후카가와 스사카와의 십만평>(이거 역시 에도 백경에 들어가는 작품)이라는 작품을


고흐는 <꽃피는 자두나무>란 이름으로 그렸다.

고흐만이 일본의 작품에 미친 것은 아니었다.

 


휘슬러 <도자기 나라에서 온 공주>


휘슬러 <어린 백인 소녀>

 


마네 <에밀졸라의 초상>

 


모네 <일본 여인>


티소 <해먹>


티소 <젊은 여인들>

 


안도 히로시게의 작품이다. 누가 첫 눈에 이것을 보고 판화라고 할 수 있을까. 일본에 갔을 때 에도도쿄박물관에서 우키요에를 만드는 모습을 보았다. 정말 놀라웠다. 19세기 후반 인상파 화가들에게는 얼마나 충격이었을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경을넘어 2006-10-01 2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된 창고에서 글 하나 꺼내셨군요 ^^*

수퍼겜보이 2006-10-04 2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폐인촌님/ ^^; 좋은 글은 오래 되어도 빛이 바래지 않네요.

하치 2006-10-04 1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번에 박물관갔다가 김홍도 그림을 보는데....호쿠사이(맞나?)도 울고갈...은 좀 과장일까..하여간 우키요에 삘 나는 산수화들이 있더라공.^^;그래서 혼자 김홍도가 말년에 일본에 건너가서 그림을 전수해 준게 아닐까 상상의 나래를...-_-;;;

수퍼겜보이 2006-10-04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치/ 음. 어느 박물관~?

하치 2006-10-09 1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간송미술관에 간송탄생100주년기념 특별전시했을 때 봤는데, 평상시에도 계속 전시하는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