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밤 마감뉴스 첫번째 꼭지도(만두 사장 자살), 두번째 꼭지도(불량 수산물 유통) 세번째 꼭지도(불법 수입농산몰) 먹거리 얘기로구나. 요즘 먹거리에 대한 논란이 한창이다. 일명 '쓰레기 만두'로 지목된 '불량 무를 이용한 만두소가 들어있는 만두' 사건이 터진 이후 전 매스컴은 매일 같이 걱정스러운 먹거리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다.
정말 걱정이다.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라는 제목의 책도 있었지만, 말처럼 먹거리가 불량하다고 해서 생략할 수는 없는 법이다. 하루 세 끼를 꼬박 먹어야 삶을 연명하는 우리들이기에 먹거리 문제는 어찌 보면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오늘 식탁에 올라온 음식에 농약이 얼만큼 대장균이 얼만큼 있을까를 걱정하지 않고 믿고 먹을 수 있는 세상이 빨리 와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요즘의 먹거리 대논란이 자칫 식생활의 계급화를 낳는게 아닌가 하는 걱정도 된다. 지금도 대형 마트에 가보면 일반 야채 과일 코너가 있고 유기농 야채 과일 코너가 따로 있다. 처음엔 그것도 모르고 무슨 야채가 이렇게 비싸담 하고 사다 먹었지만, 그것이 원래 비싼 유기농 채소임을 알고 난 후에는 그냥 일반 야채코너에 가서 사 먹는다. 가뜩이나 1인분 먹거리에는 낭비가 많은 법인데 좋다는 것 다 먹고서야 한정된 예산을 맞출 수가 없다.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이나마도 럭셔리한 거다. 과거 대학교 때 친구들과 자취하던 시절에는 돼지 콜레라다, 광우병이다 터지기만 하면 쾌재를 불렀다. 아싸~ 고기값이 내려가겠구나. 이김에 배 터지게 먹어보자. 우리는 파동의 주인공들을 잔뜩 장봐다가 좋다고 먹으면서 히히덕 대곤 했다.
어쩌면 웃을 일이 아닌지도 모른다. 지금도 불량 만두든 중국산 농산물이든 없어서 못먹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다. 유기농이 좋은 줄을 누가 모르겠는가? 무농약인증농산물이라는게 있다는 것도 알고, 그나마 깨끗하게 재배되었다는 먹거리에는 이것저것 요란한 딱지가 붙어 있다는 것도 안다. 좋은 줄은 다 알지만 모든 사람이 다 좋은 것만을 먹을 수는 없는 것이다. 최소한 지금으로서는.
고로 지금의 먹거리 논란이 철저하게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나만 우리 가족만 좋은 것을 먹고 살자고, 그냥 야채 위에 명품 야채, 명품 야채 위에 황제 야채를 쌓고 또 쌓는 게 최선은 아닐 터다. 사람이 먹으라고 내놓은 모~든 먹거리들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구축하는게 맞을텐데...
이러한 시스템이 몇 가지 법을 만든다고 해서 구축될 것 같지는 않다. 농약 안 쳐서 덜 자라고 못생긴 놈들 장에 내다놨더니 사 가는 사람 아무도 없더라, 라는 농부의 푸념이 없어야 한다. 하청업체에 원감절감하라고 압력 넣는 기업의 횡포도 없어야 한다. 감시하라고 했더니 뒷돈 받고 눈감아주는 공무원도 없어야 하고, 먹을 거 없는 굶는 사람도 없어야 한다.
농약 안치고도 안전한 먹거리를 만들려면 그만큼의 비용이 들기 마련이다. 그것에 소요되는 비용은 농부의 책임도 아니요, 하청업체의 책임도, 소비자의 책임도 아니요. 사회 전체가 떠맡아야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거 제대로 한다고 했을 때 몇푼 더 내야 할지도 모르는 세금 역시.. 기꺼이 자진납세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