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하고싶은 말을 잘 정리 못하는데 그걸 해서 책으로 내어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좋다.

비혼 비출산이 대안은 아니라고 전에 쓰면서 왜 그런지를 설명하자니 복잡하고 막막하다고 느꼈는데, 이것이 부분적인 설명이 되겠다.

반대말을 하지 말고 옳은 말을 하자.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토론들을 볼 때 자주 드는 생각이다.

얼마 전에도 SNS에서 "여러분, 우리 아이를 낳지 맙시다"라는 문장을 보고 가슴이 철렁했다. 출생률 때문이 아니라, 이 순간을 살아가는 ‘아이’ 때문이다. 사회가 여성에게 "아이를 낳아라"하고 말하면 안 되는 것처럼, 우리도 "아이를 낳지 말자"라고 받아치면 안 된다. 사회가 아이를 가질 자격이 없으니 주지 않겠다고, 벌주듯이 말하면 안 된다. 이 말은 곧 사회가 자격이 있으면 상으로 아이를 줄 수도 있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인간은 그런 것이 아니다. 어린이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아이를 낳으면 안 된다는 말은, 애초 의도와는 다르겠지만 그 끝이 결국 아이를 향한다. 아이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하는 것이 된다. 미래에만 해당되는 말이라면 괜찮을까? 미래의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부정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 말은 결국 어린이와 양육자를 고립시킨다.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을 오로지 개인의 문제로 만든다.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은 책임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이 이야기가 약자를 배제하자는 결론으로 향하는 것이.

사회가, 국가가 부당한 말을 할 때 우리는 반대말을 찾으면 안 된다. 옳은 말을 찾아야 한다. (중략)

언제나 절망이 더 쉽다. 절망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얻을 수 있고, 무엇을 맡겨도 기꺼이 받아 준다. 희망은 그 반대다. 갖기로 마음먹는 순간부터 요구하는 것이 많다. 바라는 게 있으면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고, 외면하지 안 된다고, 심지어 절망할 각오도 해야 한다고 우리를 혼낸다. 희망은 늘 절망보다 가차 없다. 그래서 우리를 걷게 한다.

우리에게 자녀가 있든 없든, 우리가 어린이와 친하든 어색하든, 세상에는 어린이가 ‘있다’. 절망을 말을 내뱉기 전에 어린이를 떠올려 보면 좋겠다.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지음, 사계절, 2020, pp. 218~2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