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전쟁 2 - 빛과 어둠의 여정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지음, 김번 외 옮김 / 예문 / 1998년 10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책을 우리나라에 판타지 열풍이 불기 이전에 읽었다. 정독도서관의 영문학 서가 한켠에 꽂혀있는 책을 발견하고는, 그 제목에 이끌려서 읽었는데, 읽은 후에는 책을 직접 사서 읽었고, 조금 더 지나서는 영문판도 구입하여 다시 한 번 읽었다.

이 책의 무엇이 그토록 나를 매혹시켰는지는 사실 말하기 쉽지 않다. 나는 원래 동화적인 분위기의 책들을 좋아하는데다, 읽어본 분들이라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굳이 판타지를 좋아하지 않더라도 빠지지 않을 수 없는 매력을 갖고 있으니,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호비트들이 없었더라도 과연 내가 이 작품을 그렇게 좋아할 수 있었을까. 사실 중간계에는 여러 매력적인 존재들이 살고 있지만, 호비트들만큼 사랑스러운 존재는 없다. 여러권의 책을 통하여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낸 톨킨의 애정 역시, 이 조그맣고, 먹성 좋고, 명랑한 존재들에게 가 있었으리라는 것을, 행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사실 이 작품의 분위기가 밝고 아름답기만 한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절대반지로 상징되는, '절대적으로 부패하고야 마는' 절대권력의 알레고리, 이종족간의 갈등, 잃어버린 낙원의 상징, 선악의 대립과 의지의 문제 등의 무거운 주제의식들이 깔려있다(그것이 그저 시간 죽이기만을 목적으로 하는 수많은 판타지 문학과는 다른 점이다).

특히, 굳이 악한 사람이 아니더라도(심지어 악의라고는 없는 빌보 같은 호비트조차도) 타락시키고야 마는 절대반지를 통하여, 톨킨은 권력의 본질에 근접하고 있다.

그 두려운 선물을 짊어지고 운명의 산을 오르는 프로도와 샘와이즈에게 어떻게 박수와 격려를 보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어떻게 그들의 슬픔과 두려움, 기쁨과 즐거움을 함께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들의 세계가 나의 세계가 되고, 그들의 모험이 나의 모험이 되는 이 즐거움을 아직도 누리지 못한 독자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이 책을 읽어보기를 바란다.

이 책의 전편(빌보가 용과 싸우러 갔다가 반지를 발견하게 되는 경위가 자세히 나온다)인 <호비트>와 이 책의 시대 배경인 제3시대 이전의 신화와 전설에 관한 책인 <실마릴리온>도 함께 읽는다면 톨킨이 얼마나 방대하고 정교하게 자신의 세계를 구축했는지 실감하게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