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어제 이윤기, 이다해 부녀가 쓴 『겨울이야기』의 번역본을 읽었습니다. 지금부터 이 책에 대해 몇 마디 할 텐데, 순전히 트집 잡으려 작정하고 시작한 글이니 이 일방성에 너무 신경 쓰지 마시길. 

우선 전 문학작품을 각색한 영화에 대한 농담으로 시작되는 머리말부터 물고 늘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제인 에어』 소설을 읽는 것과 <제인 에어> 영화나 텔레비전 시리즈를 보는 건 다릅니다. 하지만 셰익스피어에 대해서도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없지요. 만약 여러분이 케네스 브래나(영국의 연극배우이자 연출자, 영화 <햄릿>에서 감독, 주연을 맡았다;편집자 주)의 <햄릿>을 극장에서 보았다면, 그건 웬만한 번역본을 읽는 것보다 훨씬 셰익스피어를 깊이 체험한 것입니다. 일단 브래나는 원작에서 대사 하나 빼지 않았으니 그 영화는 ‘정본’입니다. 게다가 관객들은 셰익스피어의 대사들이 실제로 어떤 리듬을 타고 낭송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죠. 번역본 독서로는 어림없는 일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영화들이 브래나의 <햄릿>처럼 충실한 건 아닙니다만, ‘영화만 봐서는 모른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는 아닙니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처럼 셰익스피어 원작과 줄거리만 간신히 공유하는 작품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작품들은 원작의 언어에 충실하기 때문입니다. 셰익스피어의 언어가 배우들의 입을 통해 관객들의 귀에 들려지기 위해 쓰였다는 걸 무시하는 건 아무래도 옳은 일이 아닙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치중한 셰익스피어 읽기 역시 큰 설득력은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셰익스피어를 읽기 위해서는 당시 교양 있는 사람들이 가졌던 약간의 지식은 필요합니다. 고대 신화도 그들 중 하나고요. 하지만 유일한 지식은 아닙니다. 역자의 관심이 어디에 쏠려 있는지 알고 있으니 예상 못했던 일은 아니지만, 그래도 고대 신화에서 셰익스피어로, 셰익스피어에서 현대 작가들로 이어지는 일직선의 강을 상정한 건 오해의 여지가 큽니다. 특히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에 비해 특별히 대단한 인문 지식을 과시한 적이 없었던 셰익스피어의 경우에는요. 이 책에서 밝히는 고대 신화의 ‘압축지식’들은 모두 간단한 설명 몇 줄로 끝낼 수 있는 것들입니다. 셰익스피어 독자들에겐 몇몇 고유명사들의 어원을 설명하는 것보다 <안녕, 프란체스카>에 나오는 뱀파이어들처럼 외국인들로 변장한 당시 영국인들과 영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유익한 일일 수도 있겠죠. 이런 식으로 서구 문학에 숨은 고대 신화의 코드를 찾는 작업을 하고 싶다면 셰익스피어보다는 고전에 대한 지식이 더 밝고 그 전통에 더 충실한 다른 작가들을 찾는 게 더 나았을 겁니다. 하긴 그렇게 작정한다면 ‘무례하고 무식한’ 영국 작가들보다는 프랑스나 이탈리아 작가들에게 시선을 돌리는 게 더 생산적이겠지만요. 

본문으로 들어간다면... 전 이 책이 셰익스피어의 원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 불만입니다. 이 번역본은 대부분 산문입니다. 하지만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운문이지요. 물론 시를 번역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사람들은 다른 언어로 넘어갈 때 셰익스피어보다 훨씬 많은 걸 잃는 테니슨이나 에드가 앨런 포우를 번역할 때에도 “울려 퍼져라 우렁찬 종소리, 거친 창공에, 저 흐르는 구름, 차가운 빛에 울려 퍼져라”로 몰아붙이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행과 연을 끊어주며 필요할 경우엔 원작의 음악성을 대체할만한 무언가를 넣을 겁니다. 전에 나온 신정옥 교수의 번역본은 무대에 올리기 위한 실용적인 책이라는 핑계를 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읽히기 위한 책으로 의도된 이 번역본의 핑계는 뭐랍니까? 이런 식의 산문역은 대부분 원작의 가독성을 날려버립니다. 셰익스피어의 시어를 읊는 주인공들은 줄바꾸기도 없는 한 페이지짜리 대사들을 와르르 쏟아내는 수다쟁이들로 변하지요. 적어도 시의 논리는 남아 있어야 합니다. 어차피 원어의 공연을 직접 감상할 수는 없는 것이니 읽으면서 대사의 리듬은 따라갈 수 있어야죠.

그래도 전 번역자들이 자신이 ‘아마추어’임을 자랑스럽게 밝히는 부분에서 괜히 흥분합니다. 아마추어들은 프로들이 무의식적인 관습 속에 갇혀 못하는 걸 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니 다음 번역 때엔 제 부탁 하나 들어주시겠습니까? 『십이야』의 주인공 바이올라와 세바스찬은 쌍둥이 남매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번역본을 읽어보면 두 사람의 나이차가 한 20년은 된 것 같습니다. 이건 남매가 있다면 당연히 누이 쪽이 한참 손아래여야 한다는 이상한 한국 번역가의 논리에서 나온 것인데, 읽을 때마다 불편합니다. (이런 식의 무신경 때문에 전 전에 KBS에서 방영한 더빙판 <피너츠> 만화에서 루시가 라이너스를 오빠라고 부르는 걸 참고 견뎌야했던 것입니다.) 습관에 눌리지 않은 아마추어 번역가들이라면 이 굴레에서 충분히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

씨네21에서도 듀나의 글은 항상 논란거리였다. 지나친 시비조 때문이었을지도. 나 역시 내가 좋아하는 영화를 갖고 험담을 늘어놓을 때면 듀나라는 사람에게 강한 반감을 가졌다.

하지만 <겨울이야기>에 대한 글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내 생각과 마찬가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직장을 다닐 떄와 안 다닐 때의 큰 차이점. 바로 돈의 씀씀이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어엿한(?) 직장을 다녔다. 그 당시에는 서점 가는 게 마냥 즐겁기만 했다. 만 원이든 이 만 원이든, 때로는 그 이상을 내고 책을 살 여유가 있었으니깐. 책 사는 돈은 아깝지 않다는 걸 온 몸으로 실천을 했다. (때로는 일 때문에 필요하다는 자기 합리화를 하면서도 말이다.)

그러나 일을 그만 두고 나날이 모아 둔 월급만 홀랑홀랑 까먹는 중에, 서점 가는 건 고문이다. 오늘도 강남교보에서 친구를 만났다가 이 책을 보고야 말았다. 며칠 전에 휴 그랜트 박스 세트를 '질렀던' 터라, 도저히 지갑을 열 수가 없었다.

제엔장... 돈을 못 버는 게 바로 이거구나. 돈이 안 들어와서 괴로운 게 아니라, 돈이 있는데도 못 쓰니 괴로운거구나.

위로랍시고 시립도서관에 이 책을 신청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빌려서 2주만 보고 돌려 주는 게 더 괴롭겠다. OT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잡지 <필름 2.0>(이하 이쩜영)에서 즐겨 읽던 김세윤 기자의 칼럼.

영화나 드라마마다 장바구니에 파가 들어있는 이유와 헐리우드 영화가 왜 다 똑같은 목소리로 예고편을 하는 지에 대해 밝혀 주는 등, 매우 유용한(?) 정보가 가득한 칼럼이었다.

보통은 <무비위크>를 보다가도, 김세윤 기자의 이 칼럼 때문에 이쩜영을 못 끊었다. 그래서 이쩜영이 댓수를 줄이는 등의 지면 개편을 거치면서 이 칼럼을 없애버린 후, 이쩜영을 다시는 사지 않았다. 왠지 모를 배신감 때문에 몸까지 떠는 '오바'도 저질렀다.

하지만, 드디어 책으로 나왔구나! 야호 야호~

그런데 책으로 나온 게 마냥 좋지만은 않다. 왜냐? 왜 <어바웃 어 보이> DVD를 껴 주냔 말이다!!!!!

최근에 <어바웃 어 보이> 하나 때문에 거금을 들여 휴 그랜트 컬렉션을 산 나 같은 이들은 어찌 하라고....물론 선착순이라는 단서가 붙긴 하지만, 휴 그랜트 컬렉션이 알라딘에서 품절되어 예스24까지 가서 주문한 게 억울해 죽겠다. 차라리 좀 더 기다렸다가 이 책 살 때 받을 껄..ㅠ_ㅠ

OTL..... 그래서 좌절 모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인적으로 아멜리 노통의 소설은 의식적으로 피했다. 수많은 서평이 신문과 잡지 등 각종 매체를 장식하는 것도 아니꼽기 짝이 없었고, 소위 '쉬크'하다고 스스로를 평가하는 사람들이 마치 몸에 두르는 명품인 양, 이 작가를 칭송하는 것도 마음에 안 들었다. 그래서 남들이 다 읽었다는 <살인자의 건강법>도 <적의 화장법>도 인연이 없었다. 아니, 인연을 안 맺으려고 노력했다.

그렇지만 궁금증은 참을 수 없는 법. 주변의 권유와 자발적인 호기심으로 결국 아멜리 노통의 소설을 읽기 시작했다. 우선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담긴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을 읽었다.(사실 남들이 다 추천해 준 <살인자의 건강법>은 괜한 고집에 선뜻 손이 가질 않았다.) 작가에 대한 아무 정보도 없이 그냥 편한 마음으로 한 자, 한 자 읽어 내렸다. 스스로를 신(神)이라 일컫는 한 아이, 일본에서 보낸 정겹던(?) 어린 시절의 처음과 마지막을 읽는 동안 생각이 변하는 걸 느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아멜리 노통에 대한 배배 꼬인 마음이 한 여름의 구구콘처럼 녹아 내린 것이다. 그리고 가장 많이 알려진 <살인자의 건강법>과 <적의 화장법>을 연달아 읽었다. 작가의 집요함이 투영된 집요한 사람들, 설명이 극히 제한되어 대화만으로 내용을 풀어가는 작가의 방식은 확실히 경이로웠다.

이제 아멜리 노통을 거부하지 않는다. 거부를 넘어, 어쩌면 남들처럼 최고의 찬사를 보내는데 앞장설 지도 모르겠다. 과거에도 이런 경험이 몇 번 있었다. 폴 오스터와 김영하는 남들보다 한참이나 늦게 읽기 시작했다. 꼭 특정작가가 아니더라도 베스트셀러 역시 베스트셀러가 아닌 다음에나 손을 댔다. 취향을 넓히는 데 신중한 건지, 편협한 사고 방식 덕분인지, 아니면 전체적인 흐름에 좌우되지 않겠다는 이상한 고집 때문인지 가늠을 못 하겠다. 일단 아멜리 노통은 읽기 시작했다. 노통의 고비는 넘겼다만, 파울로 코엘료의 압박은 건재하다. 고백하건데 나는 아직도 <연금술사>를 읽지 않았다. 오히려 <강철의 연금술사>가 더 친근하다.

하지만 코엘료의 작품을 읽게 되는 것은 한 참 뒤의 일일 것 같다. 나에게 코엘료와 노통은 분명 다르다. 노통은 좋아할 것 같아 '의식적으로' 거부했다면, 코엘료는 관심조차 가져 본 적이 없다. 무관심이 이래서 무서운 가 보다. 코엘료는 관심이 아예 없으니 읽겠다고 생각해 본 적조차 없다. 아무래도 노통의 나머지 책을 다 읽은 후에도, 코엘료의 작품을 선뜻 집어들지는 못 할 것 같다. 읽고 싶다는 마음이 빨리 들기를. 모두가 코엘료의 책을 이야기할 동안, 나는 언제나 꿀 먹은 벙어리가 되기 때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5-07 09: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강한벌레 2005-05-07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그동안 "그것도 안 읽고 뭐 했니?" 란 소리만 듣다가, wohl님 덕분에 힘이 불끈불끈 솟네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