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샤먼이야기-잃어버린 신화, 샤먼 세계를 찾아서, 양민종(정신세계사, 2003)

키르기즈스탄의 이식쿨 호수(따뜻한 물 호수)에서 알타이산맥의 최고봉(4506m) 벨루하산을 거쳐 예니세이 강과 앙가라 강이 갈라지는 사얀산맥 서쪽 이르쿠츠크를 지나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북쪽에 자리잡은 부리야트 자치공화국의 수도 울란우데까지 딸과 함께 탐사하며 동아시아 설화에 대해 설명하는 책. 울란우데는 바이칼호가 있는 곳으로 호수 한가운데 알흔 섬이 있다.

부리야트 신화, 설화는 무당을 통해 계승 발전해왔는데 특히 민담과 섞인 이야기들이 재미나다. 바이칼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호수에서 잡은 물고기를 등불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물고기의 등에 심을 박고 불을 밝히면 하루 동안 책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이 물고기의 이름은 '오물'이다. 정재서 선생의 글을 보며 중국인의 방위는 오행인 동(청룡-)-(백호-가을)-(주작-여름)-(현무-겨울)-중앙(황제)으로 이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동서의 방향이 우리와 반대인 것을 보고 의아했다. 그런데 양민종 선생은 그러한 방위 개념이 부리야트인들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고 그것은 그들의 생활이 북방보다는 남방을 향해 있었으므로 남쪽을 향해 서면 오른쪽과 왼쪽이 바뀌기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다. 과연 그럴 듯한 해석이다. 또한 그들의 방위 개념은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속성을 뜻하므로 '()-아래()-오른쪽()-왼쪽()'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김산해(휴머니스트, 2005)

베레쉬트tyvarb : 베 레쉬트(머리, 시작 안에)-->태초에

창세기 11절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이다.

해석하면 "머리 안에서 엘로힘들(하나님들)이 그 하늘과 그 땅을 창조하셨다"

창세기 저자로 알려진 모세의 구약오경은 본래 책이름이 없었는데 각 장의 시작, 첫머리를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즉 창세기는 첫 단어가 '베레쉬트'이므로 '시작(기원)-->태초-->창세-->창세기'가 된 것이다. 이후 70인역을 통해 '베네쉬트''창조'라는 뜻의 '게네시오스genesio'라 불리게 되었고 영미성경에서는 창세기를 헬라어 게네시스genesi의 번역어인 제네시스genesis라 부른다.

신화의 시작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알려주는 단어이다. 즉 동양에서 신화, 민담은 "옛날 옛날에"인데 반해 서구의 신화는 "태초에"로 시작된다는 점. 동양의 신화는 이야기담인데 반해 서구의 신화는 최초의 증명, 혹은 구분함으로써(~가 있었다) 시작된다는 점. 그리스 신화인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보다 1700년 전에 설형문자로 씌어졌고 히브리 성서보다 2000년 전에 씌어졌으며 지금으로부터 4800년 전에 씌어졌다는 인류 최초의 신화 주인공 길가메쉬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한다.

"광활한 땅 위에 있는 모든 지혜의 정수를 본 자가 있었다."

두번째 읽을 때 더 재미난 책이다. 엔키두, 샴하트, 인안나, 두무지, 훔바바, 엔릴과 엔키, 닌순, 우르샤나비, 생명의 나무인 훌루푸나무와 신들의 정원이면서 '멀리 있는 자'라는 뜻의 우트나피쉬팀, 물고기의 상징인 엔키, 망각의 지혜를 주려는 포도주 여신이자 여인숙을 지키는 씨두리. 늙은이가 젊은이로 되는 생명의 식물 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 왜 우리 신화인가-동북아 신화의 뿌리 <천궁대전>과 우리 신화, 김재용, 이종주, 동아시아)

'우리'에 주목한 책. 학문적인 성과물이지만 그리 흡인력은 없다. <천궁대전>을 읽어본 것으로 만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 세계신화사전, 낸시 헤더웨이(세종서적, 2004)

구입해서 볼 만큼 매력적이지 않다. 기획서 같은 느낌. 번역자도 신뢰가 안 가고. 신화의 지도가 머릿속에 완성되면 이까짓것 필요없는 책이라고 버려도 좋을 것 같은데, 구입할 필요는 없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몽골신화의 형상, 센덴자빈 돌람(태학사, 2007)

번역자 이평래에 대한 믿음이 간다. 몽골신화는 이야기가 서사무가의 형식을 많이 띤다. 몽골비사를 구해서 읽어야 하고, 구입할 것. 몽골신화가 너무 매력적임. 특히 시적인 면이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