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조립라인의 효율성과 비인간화, 포드 자동차>
포드는 1926년에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면서 노동자에게도 욕구를충족할 여가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간 여유가 생기면 무언가 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미국은 주 5일제를 도입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를 실시해야 그 많은 생산량을 흡수하고번영을 누릴 수 있습니다." 포드는 여가시간과 쇼핑 사이에는 절대적인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비즈니스란 재화의 교환인데 재화는 필요하다고 느낄 때만 구입합니다. 그리고 시간 여유가 있어야 필요하다고 느낌니다. 하루에 15시간, 16시간 일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몸을 누일 공간과 빵 한 조각뿐입니다." 그러나 포드는 소비와 라이프스타일의 연결관계를 이해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소비 그 자체에 가치가 있다고 믿었고 "모든 사람이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는 세상이야말로 완벽한세상이다"라고 주장했다. 

포드 자동차에 대한 수요를 창조하기 위해 포드는 화려한 그래픽으로 뒤덮인 전국적인 광고캠페인을 실시해 미국인들의 소비 욕구와 믿음을자극했다. 1924년의 광고에는 초원에서 붉은 낙엽을 수집하는 여인을 보여주며 "포드를 가진 여성의 자유"를 자랑한다. 이 광고에는 "포드를 가지면 새롭고 낯선 곳으로 모험을 떠날 수 있다"라고 적혀 있다. 또 다른광고에는 차에서 내리는 젊은 여성을 도와주는 남성을 보여주며 "아름다운 여인과 캘리포니아의 멋진 경치"라고 적어놓았다. 이런 광고 문구도 있었다. "그는 차로 돌아다니고 여행을 하며 사냥을 나가고 산에 오르고 사막을 가로지른다. 더 많은 것을 시도할수록 차의 성능에 놀라게 된다."
 하지만 수입이 넉넉하지 못한 가망고객이 많다고 생각한 포드는 신용거래 형태인 포드 ‘주간 할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포드는 말했다. 

"소비할 대상만 있다면 소비는 계속 이어집니다. 소비자의정해진 소득 같은 것은 없습니다. 소비자의 수입이 한정되었다고 생각하면 시장포화점이 정해졌다고 생각하는 과거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 P210

<7장. 기업을 사고 파는 기업사냥꾼, 월스트리트 KKR>

1976년 기업사냥꾼의 시대가 열리면서 우리는 현대의 기업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그 시작에 제롬 콜버그가 있다. 불과 40대 중반인 1970년초에 그는 병망 있는 긍융 그룹 베어스텆스의 수장이 되면서 투자은행가로서 최고의 지위에 올랐다.
...(중략)...

그가 눈에 띌 수 있었던 이유는 수익이 나면서도 윤리적으로 문제가없는 틈새 분야를 스스로 개발했기 때문이다. 그 틈새 분야란 그가 발명한 혁신적인 금융거래로서 ‘부트스트랩 bootstrap‘ 거래라고 불렀다. 

제2차세계대전의 호황기에 회사를 설립한 사람들이 1960년대 초가 되자 은퇴를 시작했다. 이들은 회사를 팔아 현금화하면서도 유산처럼 회사의 명맥을 유지하기를 원했다. 또한 자녀가 회사인수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데그렇다고 오랫동안 싸워온 경쟁사에 팔고 싶어 하지도 않았다. 매우 까다로운 문제였는데 콜버그가 해결한 것이다. 점점 나이가 들어가는 소유주가 돈을 받고 은퇴를 하되 좀 더 오래 회사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자는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현금을 주고 설립자로부터 회사를 사려는 투자자를 만나면 콜버그는 넘긴 회사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설립자가 일부 지분만 보유하고 CEO 자리를 유지하는 안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모두에게 솔깃했다. 설립자는 상당한 금액을 챙긴 다음 신뢰할 만한 콜버그에게 회사로 넘길 수 있었고 콕버그는 구조조정을 마친 회사를 구입가의 몇 배에 팔 수 있었다.
(중략)
1976년 5월 1일 콜버그 크래비스 로버츠(KKR)사가 설립되었다.

* 차입매수(금융기관차입부 기업매수, Leveraged Buyout)은 자금이 부족한 매수기업이 매수대상의 자산과 수익을 담보로 금융기관으로 자금을 차입하여 매수합병을 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LBO라고도 한다.
(사모펀드 관련)(위키백과)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