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경제상황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다.
화폐환상, 부채-경감 신드롬

이런 화폐환상으로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임금인상으로 인식되고 실업이 감소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필립스 곡선에서 알려주듯 실업률이 높아진다.

한나라 시절 ‘사마천이 쓴 ‘사기‘는 중국 최고의 역사서로 평가받는다.
사마천은 이 책 화식열전에서 경제 철학, 돈, 그리고 인간관에 대해서 말합니다.

"사람의 귀와 눈은 좋은 소리와 색깔을 즐가려 하고, 입으로는 맛있는 음식을 맛보러 하고, 몸은 안락과 향락을 즐기고,
마음은 권세와 지위를 과시하격 한다."
......

"사람이 돈을 좋아하는 타고난 본성이기에 특별히 가르칠 필요가없다.
예의는 돈에서 나오고, 예의 있는 사람이 되려면 반드시 부유해져야 한다."
- P87

money illusion

미국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가 창안한 화폐환상이라는 용어는 명목가치를 구매력으로 오해하는 현상을 말한다.

임금이 올랐더라도 물가가 3% 올랐더라도 물가가 3% 오르면, 실제 임금상승률은 0% 이지만 여전히 3% 오른 것으로 착각하는 것을 말하죠.

통화의 실질가치를 제대로인식하지 못하는 화폐환상은 오랫동안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어왔다.

사람들은 왜 실기 준이돈의 액면인 명목기주상황을 판단할까?
화폐환상은 행동심리학에서 말하는 대표적인 인식 실패사례다.
우리의 뇌는 손실이 눈에 드러나면 합리적인 판단을못하고 당장의 상황을 받아들이기에 단 급급해진다.
인간의 두뇌에서 감정을 하는 부위는 수치가 의미하는 내용보다 수치 자체에 집착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임금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부가 증가한다.
착각을 하는 것이 죠. - P136

화폐환상은 마이너스 금리의 경제논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마이너스 금리제도는 일종의 화폐환상인 부채-경감 신드롬을 이용해 경기를 부양하능 것이 목적이죠. 하지만 가계부채 부실 등과 같은 경제주체의 현금흐름에 문제가 있으면 경기부양 효과보다 또 다른 위기를 불러일으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부채경감 신드롬(debt-deflation syndrome) 저금리를 바탕으로 금융부채를 통해 실물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믿는증상. - P138

[ 필립스 곡선 ]
영국의 경제학자인 필립스는 1958년에 명목임금상승률과 실업률 간에 역의 관계가 있음을 발표한다.

즉 실업률이 낮은 해에는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높은 해에는 임금상승률이낮다는 것입니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