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정리가 논리적으로 잘 되어 있다. 방대한 내용을 제목 그대로 짧고 쉽게 기술하고 있고, 추상적인 개념들을 그림으로 제공하여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된다.

우주 전체를 한꺼번에 기술하는 이론을 개발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대신에 우리는 문제를 작은 조각들로 나누어서 많은 부분 이론들을 개발한다.
...중략...
이러한 접근 방식은 완전히 오류일 수도 있다. 만일 우주 속의 만물이 근본적으로 다른 모든 것에 의존하고 있다면, 문제들의 일부를 떼어내어 연구함으로써 완전한 답에 이르는 것은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지난 세월 동안 우리는 그런 방식으로 발전을 이루어왔다. - P30

오늘날 과학자들은 두 가지 근본적인 부분 이론으로 우주를 기술한다.
그 두 이론은 일반상대성이론(general theoru of relativity)과 양자역학(quantum mexhanics)이다.
......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과 우주의 거시적인 구조를 기술한다.
즉 그 아론은 몇 킬로미터 규모에서부터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의 크기인 100만 킬로미터의 100만 배의 100만 배의 100만 배 규모까지늬 구조를 다룬다.
그 반면에 양자역학은 1센티미터의 100만분의 1의 100만분의 1처럼 극도로 작은 규모의 현상들을 다룬다는 것을 안다. 두 이론이 모두 옳을 수 없다. 오늘날 물리학에서 이루어지는 노력의 하나이자 이책의 중신 주제는 두 이론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론 -- 중력에 관한 양자역학, 즉 양자중력이론(quantum theory of gravity)-- 을 탐구하는 것이다. - P3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용 2020-12-07 2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호킹선생님은 매우 논리적이면서 장난기어린 유머감각을 가지고 있어서 지루하지 않게 보실 수 있을거에요

스텔라 2020-12-08 08:23   좋아요 1 | URL
재밌게 읽고 있어요. 체계적으로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너무 좋네요. 즐겁게 완독할 수 있을듯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