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가루.석별.옛날이야기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5
다자이 오사무 지음, 서재곤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은『인간 실격』을 읽은 게 전부다. 개인적으로 내용이 우울해서 다른 작품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아 우울한 작가라는 낙인 아닌 낙인이 찍혀 있었다. 그러다 우연히 모리 오가이의『아베 일족』을 읽게 되었고 일본 고전이 더 읽고 싶었다. 책장을 뒤져보니 다자이 오사무의 이 책이 있어 약간 긴장하며 읽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재밌고 저자의 다른 면모를 본 것 같아 신선했다. 모든 일에 그렇겠지만 책은 동기가 부여될 때 더 재밌게 읽을 수 있는 것 같다. 책장에 꽤 오래 묵혀뒀음에도 이런 계기가 아니었다면 저자의 작품을 언제 꺼내들지 전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자연스레 동기부여가 되자 두툼한 책도 거리낌 없이 읽히는 걸 보며 다시 한 번 독서의 즐거움을 만끽했을 정도다.

  「쓰가루」는 저자의 고향을 여행하면서 쓴 기행문이라 정확히 어디쯤인지 알고 싶어 검색해 보았으나 바로 지명이 뜨지 않았다. 일본 전체 지도를 검색해서 대강 아오모리 현의 북단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며 읽어 나갔다. 의뢰 받아서 고향을 여행하긴 했지만 꼭 다시 한 번 고향을 둘러보고 싶었던 저자의 목적이 분명해서인지 부담 없이 읽어나갈 수 있었다. 종종 목적의식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저자가 머문 곳의 역사를 꽤 상세히 설명해주기도 하지만 그런 부분을 제외하고는 지명이 낯섦에도 불구하고 그럭저럭 저자의 동선을 따라가며 읽었던 것 같다. 어릴 때 추억이 깃든 곳이라 인연이 있는 지인들을 만나고(지인과의 만남에서 빠지지 않고 과할 정도로 마시게 되는 음주가 눈에 띄었다!) 데면데면한 가족과의 조우, 그리고 어릴 때 자신을 길러 주었던 유모를 찾아가는 과정은 괜히 나까지 설레게 했다. 분명 나도 자라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 시간을 보냈으면서도 이제는 이름조차 기억나지 않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그런 나와 다르게 누군가를 기억하고 만나고 싶다는 목적으로 먼 길을 마다하지 않는 저자의 행동이 과감하면서도 부럽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석별」은 중국의 대문호 루쉰이 센다이 의학전문학교 유학생 시절이던 이야기를 수기 형식으로 쓴 소설이다. 소설에는 루쉰이 아닌 저우 씨로 명명되는데 동기생이었던 ‘나’가 신문기자의 취재를 받으면서 그 시절 함께 보냈던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었다. 루쉰의 소설을 몇 편 읽었지만 개인사는 거의 모르던 터라 일본에서 의학 공부를 했다는 사실 조차 생소했다. 그제야 검색을 통해 대략이나마 생애를 알게 되어서인지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가 허구인지 구별할 능력이 내게는 없지만 굳이 구분을 위한다기 보다는 당시의 일본 사회에 녹아든 듯 그 시절의 배경이 잘 드러났다. 소설이지만 왜 루쉰이 일본까지 유학을 왔는지, 의학 공부에 전념하다 중퇴하고 고국으로 돌아가 작가가 됐는지, 또 그 시절의 일본과 중국은 어떠한 모습이었는지를 조금이나마 알게 된 것 같았다. 더불어 내가 역사에 얼마나 취약한지도 알게 되었고 전혀 관심을 갖지 않던 역사에 대해 이런 문학작품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게 되었다.

문학이 없으면 세상은 빈틈투성이입니다. 문학은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처럼 그런 불공평한 빈틈을 자연스럽게 채워가는 것입니다. (314쪽)

  마지막으로 ‘옛날이야기’를 패러디 한「옛날이야기」는 우리도 익히 알고 있는 <혹부리 영감>으로 시작된다. <우라시마>는 거북의 등을 타고 용궁을 여행한 인간의 이야기라 <혹부리 영감>의 재미를 이어갈 수 있었다. 원작을 잘 알고 있을 때 더 재미를 느낄 수 있어서인지 두 이야기는 그럭저럭 읽을 수 있었지만 <부싯돌 산> <혀 잘린 참새> <모모타로>는 일본에서 유명하다고 해도 나에겐 생소해서 패러디 문학의 묘미를 느끼기에는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옛날이야기」를 읽으면서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망각할 정도로 독특한 작품이라는 사실을 인지해 나갔다.

  「인간 실격」과 같은 수기 형식의 이야기도 있었지만 세 편의 이야기는 저자에 대해 가지고 있던 나의 편견을 깨주기에 충분한 작품이었다. 저자가 이 작품들을 쓴 시기에 대한 통찰력을 내가 드러낼 순 없지만 모두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작품도 읽어 보고 싶었다. 다행히 책장에『달려라 메로스』가 있어서 이런 나의 바람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까지 마음에 들면 천천히 저자의 전작을 찾아서 읽어 볼 생각이다. 요즘 일본 고전에 빠져 있는데 이 열기가 식기 전에 최대한 많이 흡수하고 싶은 마음이다. 책은 묵혀야 제 맛이라는 엉뚱한 지론을 가진 탓에 책장에 일본 고전이 그래도 꽤 있는 것에 스스로 감탄(?)하며 그 책들을 차례차례 만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