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상품의 사용가치는 구입 (교환) 동시에 실현되지는 않는다. 그건 우리가 모든 물건들을 구입한 즉시 사용하고 소비해 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상품들은 지금 당장이 아니라 나중에 사용(소비)하기 위해 보관되기도 하고 (예를들어 나중에 먹기 위해 보관해 두는 라면, , 고기 등의 생필품), 어떤 상품들은 사용가치의 실현을 위해 우리의 적극적 노력과 참여를 필수 전제로 한다. 휘트니스 쎈터나  스포츠 강습 , 혹은 학원의 어학코스 등은 그들의 사용가치 날씬한 몸매, 건강, 외국어 실력 - 실현하기 위해선 우리 자신의 능동적 노력과 참여를 필요로하는 상품들이다. 여기엔 책도 포함되는데, 사놓았지만 아직 읽지않은 책들은 우리가 시간을 내어 그를 읽기 전까지는 아직 자신의 사용가치 지식의 증가, 책읽기의 즐거움 실현시키지 못한 남아있는 상품들이다. 이런 상품 종류들의 사용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우리 자신의 능동적 참여가 여러 이유로 인해 게으름, 시간없음, 흥미상실 지연되게 되면 상품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사용가치엔 일정한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음식이 상하고 변질되어 결국 버려야 하거나 휘트니스 쎈터나 학원 수강증의 유효기간이 끝나 버리는 경우에서처럼 상품의 사용가치가 아예 상실되어 버리거나, 아니면 책의 경우에서 처럼 실현되지 않은 원래의 사용가치 대신 다른 사용가치(예를들어, 서재의 장식품, 라면 덮개, 폐품 ) 그를 대신해 등장하기도 한다.

    

상품의 교환(구매) 사용가치의 실현(사용) 사이에 놓여있는 이러한 분리[1]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예로들었던 상품들은 여전히 사용가치의 실현 여부가 우리의 의지와 참여에 달려있다. 말하자면, 상품들의 사용가치는 사다놓은 음식을 상하기 전에 소비하고, 서가에 꽂혀있는 책을 부지런히 읽고, 수강료를 지불한 학원에 열심히 다니는 우리의 의지적 행동을 통해 실현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엔 사용가치의 실현여부가 우리의 의지적 행동과 참여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우리가 아무리 부지런하고, 적극적이며, 열심히 노력하더라도 그것의 사용가치를 실현시킬 없는 상품도 있다. 보험이 그것이다. 보험 상품의 사용가치는 사고가 났을 그를 보상받는 데에 있다. 책을 사거나 외국어 학원을 등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험의 사용가치 역시 상품의 구입과 동시에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책이나 학원 과는 달리 보험 상품의 사용가치는 우리의 의지적 행동을 통해서 실현되지 않는다. 모든 보험 상품들은 의도적으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선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을 근본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통해 보험의 사용가치의 실현은 우리의 의지적 행동이 아니라 전적으로 우연적이고 예측할 없는 사고 가능성에 의존되어 있다. , 보험의 사용가치는 우리의 의지가 아니라 우연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불안한 과정 자체에 의해서만 실현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보험상품의 사용가치를 실현하게 하는 이런 사고들이란 사실상 결코 우리가 원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모든 상품들은 그것의 사용가치의 실현을 즐기고, 향수하기 위해 구매하는데 반해, 보험상품을 구매하면서 우리는 자신이나 가족에게 자동차 사고가 나기를, 집에 화재가 발생하기를, 누군가 갑자기 암에 걸리기를 결코 원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러한 모순적 상품, 보험을 우리는 구매하는가? 말할 것도 없이 그건 우리가 살고 있는 자체가 예측 불가능한 온갖 위험성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모든 상품들이 그것의 소비(사용) 가져다   비록 가상적일지언정 어떤 행복에의 약속[2] 때문에 구매된다면, 보험이라는 상품은 이처럼 오늘날 현대인의 자체가 처해 있는 불행에의 가능성 때문에 구매된다. 

   

교황의 면죄부를 구입했던 중세인들은 최소한 자신이 구입한 상품(면죄부) 사용가치가, 살아있을 때는 아니더라도 죽어 영혼이 하늘에 올라갔을 때는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한 점에서 16세기의 면죄부는 오늘날의 보험에 비해 보다 확실한 상품이었다. 보험상품을 구입하는 현대인들은 모순으로 가득찬 상품의 사용가치가 실현될 것을 확신할 수도, 바랄 수도, 그렇다고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완전히 부인할 수도 없다. 보험은 오늘날 우리의 삶이 처한 온갖 모순적 관계들을 반영하고 있다.      

 

 



[1] Alfred Sohn-Rethel 상품의 교환과 사용의 분리를 자본주의적 상품관계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그에 의하면 시장에서의 교환을 전제로 생산되는 상품들은 구매를 통해 개인 소비자에게 이전(교환)되기 전까지는 사용되지 않은 남아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교환에 있어서의 사용의 배제 (Nichtgeschehen) 결핍(Leere)이라는 상품관계에 행위와 의식, 행동과 사유, 나아가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분리가 기인한다고 본다. Alfred Sohn-Rethel : Geistige und körperliche Arbeit. Zur Theorie der gesellschaftlichen Synthesis, 1972. S.47 ff.

[2] Vgl. Wolfgang Fritz Haug : Kritik der Warenästhetik, 1971.

 

 


댓글(5) 먼댓글(1)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남시 님의 <보험, 모순으로 가득찬 상품>
    from 2007-08-03 01:11 
    그동안 보험 상품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막연한 거부감을 구체화시켜준 글. 그러나 여전히 주위에서는 내게 '보험의 필요성'을 시도때도 없이 환기시킨다. '보험가입을 피하는 101가지 요령' 같은 매뉴얼이라도 필요해보인다.
 
 
sandcat 2007-01-04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김남시 님.
저는 결혼 전부터 보험 들기가 꺼려졌는데 그 이유가 '미래'를 저당잡힌다는 의심이 들었기 때문이었어요. 불행, 우연의 사건, 사고를 담보 삼는다는 느낌. 무엇보다 불안한 마음을 사고판다는 것이 꺼림직했답니다. 공감하고 갑니다.

김남시 2007-01-04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갑습니다. sandcat님, 맞아요. 보험은 우리의 미래를 불행, 우연적 사건과 사고로 색칠해 보여주고는 그로부터 생겨난 우리의 불안한 마음을 담보로 자신을 판매하지요. 보험 속에 숨겨져 있는 저 '협박에 의한 강매'의 원리가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이에요.
아이가 귀엽네요. 제 아들 (5살)과 비슷한 나이일 것 같은데...

sandcat 2007-01-05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며칠 후면 세 살이 됩니다. '협박에 의한 강매', 맞아요. 그런데 보험을 많이 들 수 있는 사람은 사실 불행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적은 사람이기도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좋은 날 되시길.

iggy 2007-08-03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퍼가려했는데, 오랫만에 와서 그런지 도무지 어케 해야하는지 몰라 먼댓글로 표시해둡니다. 여하튼 배워갑니다.

김남시 2007-08-21 18:03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iggy님
 

분석의 논리는 대화의 논리와 구분되어야 한다. 분석이 대상의 표면적 외관을 뚫고 들어가

 그 대상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심층과 무의식 까지를 밝혀내어야 하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상대와의 대화나 논쟁은, 그의 진술의 배후에 도사리고 있는 감추어진 이해관계,

 무의식적 욕구와 권력에의 의지를 파헤치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더불어 '강제없는,

 자발적 동의'에 도달하는 걸 목표로 삼아야 한다.

 

우리가 우리와 대화나 논쟁을 벌이는 상대의 진술 Mitteilung의 배후를, 그 진술의 외면 속에

 감추어져 있을 무의식적 욕구를, 권력에의 의지와 계급적 이해 관계를 '들여다보려'는 순간,

상대는 더 이상 우리에게 대화의 상대자가 아니라, 우리가 분석하는 대상 Objekt 으로

사물화되고, 낯설어 entfremdet 진다.

 

Sloterdijk 이 지적하듯, 그를통해 낯설고 사물화된 상대와의 논쟁은 더 이상 계몽과 비판의

본래적 이상이었던 '자발적 동의'의 이념을 좇지 않는다. 무의식적 욕망, 계급적 혹은 

물질적 대립, 맹목적인 권력에의 의지로 환원되어버린 상대와의 논쟁은 이제,

더 이상 언어적 논쟁과 대화를 통해선 해소될 수 없는 욕망과 이해 관계와 힘의 대립으로

변하며, 이성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선택이 중요한 것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대화와 비판, 논쟁의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선,

상대가 자신의 진술로 제기 mitteilen 하지 않은 모든 진술 외적 의미들 Signifikation 을 

상대의 제기된 '진술'과 구분할 줄 아는 날카로운 참을성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를린에 놀러온 사촌동생이 가져다 준 한국 담배갑에는
건강을 해치는 담배 그래도 피우시겠습니까?“라는 점잖은 경고문이 써있다. 담배갑마다 적혀있는 저 경고문이 흡연자의 건강을 염려하는 담배회사의 친절한 배려의 소산이 아니라는 걸 고려하더라도 어쩔수 없지 않느냐는 듯조그맣게 붙어있는 경고문은 그 강도나 구체성면에서 무척이나 소극적이다. 유럽 연합의 결정에 따라 작년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담배갑에는 담배갑 절반 크기의 두터운 글씨로 흡연은 사람을 죽일 수도 있습니다“, „흡연은 정자생산 기능을 손상시켜 임신률을 감소시킴니다“, „흡연은 혈관들을 막히게 해 심장발작과 졸도를 일으킵니다“, „흡연은 당신과 당신 주변의 사람들에게 심대한 피해를 입힙니다.“ 등의 무시무시하고 자극적인 문구들이 담배갑마다 다양하게 쓰여져있다. 한국 담배갑의 그것이 가족 시간대에 방영되는 일일연속극 같다면, 유럽의 그것은 하드코어 포르노라고나 할까. 이것도 모자라 유럽연합은 글자 대신 흡연으로 손상된 폐나 간, 후두부의 컬러사진을 담배갑에 부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처럼 그 강도나 자극성의 수준에서 다양하긴 하지만 흡연의 육체적, 사회적 해악들을 지시하는 경고문을 통해 흡연률을 억제하겠다는 발상엔 인간에 대한 특정한 철학적 입장이 전제되어 있다. , 인간은 이성적 판단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규제할 수 있는 존재라는 입장이 그것이다. 과연 인간의 의지는 이성적 판단을 통해 제어될 수 있을까.

1637 <방법서설>에서의 데카르트는 그에대해 믿어 의심치 않았다. 이성이 의지에 우선한다는 소크라테스적 전통에서 데카르트는 우리의 의지voltonté는 본성적으로 우리의 이성 entendement lui 어떤 식으로든 가능한 것으로 제시하는 것들만을 욕구할 있다. notre voltonté ne se portant naturellement à désirer que les choses que notre entendement lui représente en quelque façon comme possibles“[1] 말한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얻을 없는 외부세상의 무엇인가에 대한 집착으로 괴로와 하지말고 자신이 최선을 다해 도달한 것에 만족하라는 그의 임시적인 도덕 une morale par provision 세번째 격률을 가능케 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세상의 무엇인가가 자신의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는 확실히 인식한다면 그에대해 이상 욕구하지 않을 있는 이성적 존재다. ‚저것은 내가 얻을 없는 이라는 확실한 이성적 인식이 있다면 우리의 의지는 그를 더이상 욕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인간의 이성은 이처럼 자신에게 불가능한 것을 단념하고 세계의 질서가 아니라 나의 욕구를 바꾸게 à changer mes désires que l’ordre du monde“[2] 하는 체념적 방식으로만 의지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데카르트에 의하면 인간의 의지, 욕구능력은 대상에 대한 이성적 판단에 온전히 종속되어 있다. 의지는 이성이 좋다고 판단하는 것만을 욕구하며, 이성이 싫다고 판단하는 것은 피하려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의지는 우리의 이성이 좋거나 나쁜 것으로 제시하는 한에 있어서만 그를 따르거나 회피할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행동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판단하는 만으로도 충분하며, 최선으로 행동하기 위해서, 말하자면, 모든 덕과 나아가 인간이 얻을 있는 모든 다른 가치들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최선으로 판단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d’autant que, notre volonté ne se portant à suivre ni à fuir aucune chose, que selon notre entendement la lui représente bonne ou mauvais, il suffit de bien juger, pour bien faire, et de juger le mieux qu’on puisse, pour faire aussi tout son mieux, c’est-à-dire pour acquérir toutes les vertus, et ensemble tous les autres biens, qu’on puisse acquérir“[3].

바로 지점에서 데카르트는 담배갑에 경고문을 부착함으로써 흡연을 줄일 있다고 믿는 이성주의자들의 철학적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만일 우리의 이성이 흡연의 해악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기만 한다면, 우리의 의지는 그를 피하려 것이다. 마치 맛없을 것이라 판단한 음식을 사먹지 않고 흥미롭지 않으리라 판단한 책을 구입하지 않듯 말이다. 그 누가 자신에게 나쁘고 위해하다고 판단되는 걸 욕구하며, 좋고 유익하다고 여겨지는 걸 일부러 거부하겠는가.

그러나, 사실 데카르트의 주장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있다. 그는 우리의 의지가 본성적으로 이성이 가능하다고 제시하는 것 만을 욕구할 수 있으며 ne se portant naturellement à désirer[4], „이성이 좋거나 나쁘다고 제시하는 만을 따르거나 피할 있다 ne se portant à suivre ni à fuir“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만일 우리의 이성이 명석하고 판명한 관념을 통해 세상의 모든 선함과 옳음, 악함과 나쁨을 올바르게 구분하고 판단하기만 한다면, 우리의 의지는 그에 의해 나쁘고, 악하며 옳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것들을 아예 욕구하지도 못한다 말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데카르트에겐 올바르게 행동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판단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최선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최선으로 판단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되는 것이다. [5]

거꾸로 이는 누군가의 올바르지 못하고, 비도덕적인 행동은 그가 세계와 사물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라는 말이된다. 저 위대한 근대 철학자 데카르트의 세계엔 살인자도, 유괴범도, 테러리스트도, 독재자도 천성적으로 악한사람들이 아니라, 다만 올바른 판단을 내리지 못한, 말하자면 이성적 판단능력이 결여된인간들일 뿐이다. 그리고 그건 개선될 수 있다!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주의와 노력을 통해 개선될 수 있으며[6], 나아가 모든 인간에게는 동등하게 본성적으로 올바르게 판단하며, 진리와 허위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주어져 있기[7] 때문이다. 부적절하고 비도덕적 행위를 한 사람들을 죽이거나 사회로부터 추방시키는 대신, 이후엔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교화시키고 교육시키는 사회적 장치들이 등장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서다.  

우리의 담배갑 경고문으로 다시 돌아가자. 흡연이 자신의 육체에 해로울 뿐 아니라, 나아가 주변 사람들에게도 얼마나 큰 피해를 끼치는지를 알려주는 저 경고문은 흡연의 해악에 대한 이성적 판단을 촉발함으로써 담배를 피고싶은 욕구가 생겨나지 않게하는 목표를 갖는다. 사람들이 저토록 해악한 담배를 피고 있는 것은 그들이 담배의 유해함에 대해 명석하고 판명하게 clairement et distinctement 판단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며, 이제 저 경고문은 그 판단을 도와 흡연에의 의지를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저 경고문이 사실상 흡연자의 의지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걸 우리는 하루에도 수차례 경고문들을 들여다보면서도 담배를 펴대는 흡연자들을 보면서 확인한다. 어째서일까? 혹시 저 경고문이 의지를 변화시킬 만큼 명석하고 판명한 판단을 전달해주지 못해서는 아닐까.  Principia Philosophiae에서 데카르트가 정의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무엇인가가 바라보고 있는 눈에 현전하면서 눈을 충분히 강하고 분명하게 자극하여 우리가 그를 확실히 보고 있다라고 말할 때처럼, 어떤 인식이 주목하고 있는 정신에 현전하면서 명백할 때 이를 명석하다고 부르며, 한 인식이 그 명석함을 전제로 그 속에 자신의 특징들외엔 다른 어떤 것도 지니지 않을 만큼 다른 것들과는 분명하게 분리되고 구분될 때 이를 판명하다고 부른다. Klar nenne ich die Erkenntnis, welche dem aufmerkenden Geiste gegenwärtig und offenkundig ist, wie man das klar sehen nennt, was dem schauenden Auge gegenwärtig ist und dasselbe hinreichend kräftig und offenkundig erregt. Deutlich nenne ich aber die Erkenntnis, welche, bei Voraussetzung der Klarheit, von allem Übrigen so getrennt und unterschieden ist, dass sie gar keine anderen als klare Merkmale in sich enthält.“[8]

말하자면 머리 속에 어떤 대상이 마치 우리가 그를 눈으로 관찰하듯 분명하고도 확실한 그림으로 떠오르면서도 동시에 그를 그와 유사한 다른 대상들로부터 명백하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한 상을 가지고 있다면 우린 그러한 인식을 명석하고도 판명한 인식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준에서 보자면 건강을 해치는 담배, 그래도 피우시겠습니까?“라는 경고문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인식은 흡연은 혈관들을 막히게 하여 심장발작과 졸도를 일으킵니다.“라는 유럽 담배갑의 그것에 비해 무척이나 불명료하고 혼연스럽다. 저 문장은 우리에게 담배의 위해함에 대한 어떤 확실하고 분명한 그림도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시커먼 배기가스를 뿜어대는 자동차 뒷면에 붙어있는 환경보호 슬로건같다.        



[1]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Troisiéme Partie AT 24, 25.

[2]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Troisiéme Partie AT 24, 25.

[3]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Troisiéme Partie, 4.

[4]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Troisiéme Partie, 4.

[5] 이러한 점에서 이성적 판단의 기준을 세우고자 하는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단지 인식론적일뿐만 아니라 동시에 윤리적이기도 하다. 명석하고 판명한 관념을 통해 올바른 이성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동시에 데카르트에겐 윤리적 정언명법이었다는 것이다. 그에겐 모든 사람이 올바른 이성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면 범죄나 비 윤리적 행위들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6]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Troisiéme Partie, 2.

[7]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Premiere Partie. 1.

[8] René Descartes : Principia Philosophiae, I, 45.

[9] René Descartes : Discours de la Méthode, S.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마르크스의 위대한 점은 그가 저 필연의 영역, 경제에 대해 비판을 시도했다는 점, 그것도 필연의 영역에 대한 힘없는 도덕적 비난이 아니라, 자본의 필연적 법칙 그 자체를 끝까지 밀어붙여 결국 저 자본의 운동이 필연적으로 자기 자신의 붕괴에로 나아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밝히는 방식의 비판을 시도했다는데에 있다.

 먹고 사는 문제로서의 경제의 영역이, 그 어떤 비판으로부터 면제받고 있는 오늘날 마르크스의 '비판'의 방법은 그 어느때보다 더 음미해 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우석 감독의 영화 <실미도> <공공의 > 보다. 그의 나이브한 아나키즘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영화들.  그가 그려내는 세계 속에선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조직들은 조직의 최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행위주체들과 대립하고 있다. 실미도의 훈련책임자와 훈련 하사관, 그리고 훈련병들은 자신들이 속해있는 정치조직과 대립하며, 강력계 형사가 속해있는 검찰조직들은 또한 그들과 대립한다. 진실은 조직에 있지않고 조직의 최말단에서 묵묵히, 조금은 비합법적이고 폭력적으로라도,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약한 사람들에게 있다. 그들의 벌거벗은, 솔직한 진리 그들이 속해있는외면적이며 위압적인, 권위적 조직 속에서 억압받고, 고통받으며, 그에 항거하고 있다.  그러한 그들에겐 따라서 비진리와 고통의 원천인 조직이 정해놓은 규율, 법칙, 명령들은 다만 그들의 피땀흘리며 살아가는 질곡하고, 가로막으며, 진실을 부인하거나 은폐하는데만 기여한다. 진실은 오히려 그러한 비진리를 조롱하고, 파괴하며, 엿멋이는데서 생겨난다. 강우석이 꿈꾸는 유토피아에선 그리하여, 말단의 개인들이, 처음엔 적대적으로 여겨졌던 훈련병과 기간병들이, 형사와 마약상인, 칼잡이들이 서로 우애를 쌓고 협조하며, 어떤 위의 조직의 간섭과 방해와 음모로부터 해방된채, 자유롭게 자발적으로 살아가는 세계일 것이다.    

강우석이 그려내는 이러한 세계의 나이브함은 우리가 잠시만 과연 진실과 비진실 범위가 어디까지인가하는 질문만 던져본다면 금새 폭로되고만다. , 실미도의 훈련대장은 조직의 일부가 아닌가, 강력계 반장은? , 진실과 비진실의 범위는 주인공들에게 유리하게만 설정되는가. 만일 실미도의 훈련대장과 강력계 반장 역시 비진실의 조직의 구성원이었다면, 주인공들은 과연 자신들의 세계를 그나마라도 펼쳐 보일 있었을까. 아니면, 강우석은 진실의 필연적인 파급효과 같은 생각했던 것일까. 진실은, 진리는 억지로 노력하지 않아도, 사람들을 감화시켜, 스스로 승리할 것이라고? 마치 처음엔 적대적이었던 강력계 반장과 훈련 하사관이 나중에 우리편이 되듯이? 

이 점에서 강우석의 아나키즘은 나이브한 휴머니즘의 옷을 입고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