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두 한 짝으로 뭐 할래?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50
모리스 샌닥 그림, 베아트리체 솅크 드 레그니에스 글, 김세실 옮김 / 시공주니어 / 2017년 6월
평점 :

구두 한 짝으로 뭐 할래?
시공주니어 / 유아그림책
구두 한 짝으로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두 짝이라면 신고 다니겠지만
한 짝만으로 가능한 게 과연 있기나 할까요?
《구두 한 짝으로 뭐 할래?》는 이런 재치 있는 상상에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한 번 살펴볼까요 :)

표정만 봐도 짐작할 수 있는
못 말리는 장난기를 겸비한 남자아이가 등장합니다.

감성 발랄한 남자아이에 비해
이성적으로 훈계하는 여자아이도 등장을 하지요.
언뜻 보면
장난꾸러기 아들 때문에
몹시 화난 엄마 같기도 하지만
이 책의 등장인물은 여자아이 한 명, 남자아이 한 명이랍니다.

어른의 옷,
어른의 신발,
어른의 장신구를 착용한 것 같은 두 아이!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의 구두 한 짝을 빼앗아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상상의 나래를 펼칩니다.
남자아이의 상상 속에서
구두는 귀걸이도 되고 모자도 되고 빵도 되지요.

그런데
여자아이가 울어요.
여자의 눈물에는
아이든 어른이든 마음이 약해지는 걸까요?
정중한 자세로
구두를 신겨주는 남자아이의 표정에
지금까지의 장난기는 찾아볼 수 없어요.

그것도 잠시
곧바로 새로운 장난기가 발동합니다.
뭐 할래
뭐 할래
뭐 할래
의자로 뭐 할래?
의자로는 또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어느새
여자아이도
남자아이의 부리는 마법의 장난 속으로
슬몃 빠져든 것 같아요.

아이의 상상 속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건 없어요.
상상에 한계가 없다는 건
세상을 신나게 살아가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요!
남자아이가 슬슬 부러워질 무렵
또다시 여자아이가 상상에 제동을 겁니다.
의자의 원래 용도를 상기시켜 주지요.

엄마처럼 훈계하는
여자아이 때문에
잠시 시무룩해져 있던 남자아이.
이쯤에서 그만 둘 아이가 아니란 걸 알았어요 :)
이번엔 모자로 무엇을 할지 상상의 나래를 펼쳐가는데요

모자는
모자는
모자는
무엇이든 될 수 있어요.

남자아이의 상상 속에서라면 말이지요.

컵으로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남자아이
이성의 나래를 펼치는 여자아이
파랑과 빨강
색깔로도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는
두 아이의 완벽하게 다른 세계관
적절하게 대비를 이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답니다.

어른과 아이의 대비되는 세계를
보는 듯하기도 해서 여러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아이라면
훈계를 늘어놓는 여자아이 쪽보다
마음껏 자유롭게 상상할 줄 아는 남자아이 쪽이기를
저도 모르게 바라고 있는 것 같아서 놀랬어요.
여자아이가 대변하고 있는
어른의 훈계와 잔소리는
어쩌면 아이들의 상상력에 한계를 지어버리는
어른들의 나쁜 습관이 아닐까 싶어 뜨끔해지더라고요

침대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잠시 고민에 빠진 듯하더니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
끝까지 재기 발랄한
남자아이의 무한한 상상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어집니다!

안 돼! 안 돼! 안 돼!
침대가 뭐 하는 거지?
남자아이의 귀에 대고 또다시 제동을 거는 여자아이.
옷을 갈아입는 아이들,
하품을 하네요.
시종일관 신나게 놀았으니 졸릴 만도 하지요.
과연 침대는 본래의 '쓰임'으로 사용되었을까요?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통해 직접 확인해 보시길 바래요 :)
+
구두는 신어야 하고
모자는 머리에 써야 하고
의자에는 앉아야 하며
컵으로는 무언가는 마셔야 한다는
관습화된 생각을
유쾌하게 비틀어 보인
재기 발랄한 유아 그림책
《구두 한 짝으로 뭐 할래?》
무려 1955년에 출간된 이 책은
훗날 칼데콧 상 수상 작가들의 만남이었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답니다.
이 책을 쓴 베아트리체 솅크 드 레그니에스와
그림을 그린 모리스 샌닥은 칼데콧 상 수상 작가가 되어
수많은 그림책을 쓰고 그리며 주옥같은 작품들을 탄생시켰으니까요.
+
아이들의 상상에는 한계가 없어요.
무한하게 뻗어나갈 수 있는 그 상상의 세계를 응원해 주자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