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놓지 마 과학! 4 - 정신이 소화에 정신 놓다 ㅣ 놓지 마 과학! 4
신태훈.나승훈 글.그림, 류진숙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놓지마 과학4
정신이 소화에 정신 놓다
인기 절정의 웹툰
『놓지마 정신줄!』 의 작가들이 만든
과학 학습 만화 『놓지 마 과학』
벌써 4권이 나왔어요!!!
마법천자문 이후로 출간을 손꼽아 기다리게 되는 학습만화이지요.
처음엔 반신반의했는데요
큰 아이가 일곱 살때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보여서
한 권 한 권 소장하게 되었답니다.

『놓지 마 과학4』 파워카드예요.
3권과 4권의 내용 중
정말 중요한 과학상식을 뽑아 카드로 만들었는데요
앞면엔 질문, 뒷면엔 답이 있어 게임으로 즐기기에도 좋답니다.

아이들은 이런 카드 하나만으로도 이미 흥분상태가 되지요 :)

『놓지 마 과학』 시리즈는 교과와 연계되어 있어요.
4권과 연계된 교과 과정을 따로 표시해 두어 활용도를 높였답니다.

『놓지 마 과학』 시리즈
맨 처음에 등장하는 건 바로 인물 소개랍니다.
이야기를 더 흥미진진하게 만들어줄 우리의 주인공들이니 알고 있으면 좋겠지요.

정신이 소화에 정신 놓다
라는 주제에서 알 수 있듯
인체의 신비로움에 관한 과학적 이야기 20편 담고 있어요.
그 중에서
간단하게 해보았던 실험을 수록한 이야기와
아이가 가장 신기해했던 이야기를 소개해 드릴까 해요.
20편의 이야기는 동일한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놓지마 과학 원리> 라는 코너를 마련해 과학원리를
보다 자세하게 소개해 주고 있답니다.

아이가 가장 해보고 싶어하던
실험(?)이 수록된 <관성>에 관한 이야기랍니다.

동전 맞추기 놀이를 하는 주리에게
정신이가 신기한 게 있다며 알려 줍니다.
동전을 차곡차곡 쌓은 다음
동전 하나로 맨 아래에 있는 동전을 쳐내면
어떻게 될 지 보여주는데요
동전탑이 와르르 무너지는게 아니라
맨 아래의 동전만 쏙 빠져나간답니다.
마치 마술을 부린 듯 신기한 광경에 놀라워하는 주리!
아이의 반응도 이와 같이 무척 신기해했어요.

아이들의 감정을
제대로 이입하게 만들어 호기심을 자극한 후
정확한 과학적 원리와 개념을 심어주는 『놓지 마 과학』
관성의 법칙과 관련한 다른 예도 소개함으로써
쉽고 재미있게 과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그렇다면 실제로 동전탑을 쌓고
동전 하나로 탑의 가장 아랫부분을 맞추면 어떻게 될까요?

와우~
정말 맨 아래에 있는 동전만
튕겨져 나가고
동전탑은 그대로예요.
아래쪽의 동전이 튀어 나가도
위의 동전들은 가만히 있으려고 하는
관성 때문에 무너지지 않고 그대로 있는 것이지요.
이처럼
『놓지 마 과학』 시리즈에는
간단한 테스트 혹은 실험을 통해
아이들이 과학적 원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그래서일까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단 책을 펼쳤다하면 집중해서 읽는답니다.
심지어 안마의자에서까지...
한 번만 보고 덮어놓는 게 아니라 읽고 또 읽어요.
4권을 다 읽자마자 5권은 언제 나오냐며 벌써부터 기다린답니다!
그리고 신기하다고 느낀 부분은 꼭 이야기를 해 준답니다.

물의 끓는 점과 종이컵의 발화점에 대한 이야기가 그 중 하나이지요.
이 과학원리는 파워카드로 제작되어 더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엄마, 종이컵에 물을 담고 불을 붙이면 탈까 안탈까?
질문을 보니 안 탈 것 같은데!
정답~ 물은 100도에서 끓는데
종이컵은 400~450도에서 불에 탄대.
아이의 말을 듣고 책을 살펴보았더니
이해하기 쉽게 설명이 되어 있더라구요.
책의 내용이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어서인지 아이의 설명도 정확했어요.

아이가 놓지마 과학4 를 읽고 또 읽는 이유를 아시겠지요?
새롭게 4권을 읽고 난 후
다시 1권부터 꺼내 읽고 있어요.
놓지마 과학 시리즈는 한 번 읽고 덮어두는 만화가 아니라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 속에
과학적 원리를 녹여낸 재미있는 학습만화라
아이가 두고두고 볼 수 있답니다.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레 과학적 지식이 쌓여가는 건 안 비밀 :)

아이가 한 권 한 권 꺼내읽을 때마다
왜 제 마음이 뿌듯할까요?
과학적 호기심을 무한자극하고
아이가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보이기 때문인데요
벌써부터 언제 5권이 나오냐며 보채고 있어요.
놓지 마 과학 다음 편도 기대해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