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아픈데 없냐고 당신이 물었다 - 시인 김선우가 오로빌에서 보낸 행복 편지
김선우 지음 / 청림출판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어디 아픈데 없나요? 정말 행복한가요?
-김선우, 『어디 아픈데 없냐고 당신이 물었다』를 읽고

욕심을 부리지 않고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물며 욕심이 없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이다. 바쁘게 살아도 늘 부족한 것 같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괜스레 불안해진다. 가끔, 아주 가끔은 무엇을 위해 사는지도 모를 때가 있다. 아등바등 살아도 충족되지 않는, 마음 한 구석이 텅 비어있는 느낌. 행복해지기 위해 일을 하고 행복해지기 위해 치열하게 오늘을 살아내는데도 정작 행복하지 않다면 혹시 행복의 참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에 나의 행복을 억지로 끼워 맞추기 하려 한 건 아닐까.

모두가 행복해지기를 꿈꾸는 곳이 있다. 물질이 아닌 내면의 평화와 영혼의 성장(p.16)을 추구하는 곳, 바로 오로빌이다. 인도 남부 코르만젤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영적, 생태 공동체. 인도의 사상가 스리 오로빈도의 신념에 따라 1968년 첫 삽을 떠 현재 전 세계 40여 개국 2천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다. 모든 인간이 더불어 행복해지기를 꿈꾸는 곳. 불가능할 것 같은 이 꿈을 현실로 만들어 가고 있는 곳. 실험과 도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 행복의 참 의미를 알게 해주는 곳. 경쟁이 아닌 격려의 장. 시기를 버린 배려의 장. 행해지고 있는 모든 일들이 존중받는 곳. 가능성을 끊임없이 실험해볼 수 있는 곳. 이 지구상에 존재할 것 같지 않은 곳, 그럼에도 이 지구를 위해 무던히도 노력하는 곳. 그런 곳에서 시인 김선우는 묻는다. 어디 아픈데 없냐고, 당신 지금 정말 행복하냐고. 

프롤로그부터 밑줄을 긋기 시작해 책이 온통 밑줄로 가득해졌다. 이렇게나 많이 밑줄을 그은 책은 흔치 않다. 오로빌이라는 고혹적인 마을이, 작가의 매혹적인 필력이 밑줄을 남발하게 만든다. 지구상에 이런 마을이 존재하고 있다니. 신선한 충격이다. 모든 것을 버리고도 충만해 질 수 있는 곳. 일종의 유토피아, 일종의 무릉도원. 하지만 세상사 모든 일이 그렇듯 이 곳에도 반대급부가 존재한다. 김선우는 오로빌이 갖고 있는 긍정의 측면과 어쩔 수 없이 생겨나는 문제 요소들을 균형감 있게 다루고 있다. 오로빌로 오세요, 무조건 행복해질 수 있답니다, 가 아니다. 오로빌에서는 행복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책임과 희생도 따른답니다. 어쩔 수 없는 문제에 부딪히기도 하구요, 그러니 잘 선택해 보세요,라고 말이다.

모든 일이 똑같이 존중받고 대가 역시 똑같이 분배된다. 돈 없이도 살 수 있다고 하지만 돈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가령 자녀가 대학에 입학할 때나, 처음 이 곳에 정착하기 위해 집을 마련할 때). 여기도 사람 사는 세상이다. 각자의 삶이 다르다보니 경제적인 문제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일. 사람이 만들어가는 유토피아이므로 아이러니 역시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숲이 만드는 스카이라인보다 더 높은 건물은 보이지 않는(p.36) 곳에 살면 어떨까. 숨을 제대로 쉴 수 있을 것 같다. 눈을 제대로 뜰 수 있을 것 같다. 오로빌은 말 그대로 숨통이 되어 줄 것만 같은 도시다. 이런 곳에서는 어떤 일을 하며 살까. 하고 싶은 일을 하면 된다. 뭔가 새로운 일이 하고 싶으면 그 일을 시작하면 된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의 직업 선택 기준은 자아의 발견, 실현보다는 돈이 우선시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오로빌에서는 그동안 한 번도 시도해보지 않았던 일에 마음껏 도전해볼 수 있다. 그 속에서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은 물론 생의 기쁨과 활력까지 되찾게 된다.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을 하든 문제될 게 없는 곳. 이 모든 것이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이 아닌 공동체를 위한 일이기에,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일이기에, 나아가 이 지구를 위한 일이 될 수 있기에 더 가치가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마음이 한없이 두근거린다. 무언가를 하고 싶어진다. 무언가를 할 수 있을 것만 갔다. 왜 사냐고 자문해보게 되고,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해보게 된다. 정말 행복하냐고, 행복이 무엇인지 아냐고, 행복해지기 위해선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버려야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보게 된다. 이렇게도 많은 질문을 던지는 책, 이렇게도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드는 책. 그럼에도 한없이 충만해지는 이 책, 참 좋다!
 
- 어디 아픈데 없냐고 당신이 물어왔다. 괜찮아요, 하고 고개를 끄덕인다. 괜찮아서 괜찮은 게 아니라 그냥 괜찮은 척 살아갈 뿐이다. 괜찮다고 스스로에게 최면을 거는 것뿐이다. 이제 그러지 않아도 돼요, 하고 당신이 어깨를 다독여준다.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사세요, 잘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거예요. 무엇을 원하는지 자신을 들여다보세요. 실험하고 도전하세요. 하찮은 일은 아무것도 없어요. 당신은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을 해도 가치가 있답니다. 당신이 행복해야 내가 행복하니까요. 내가 행복해야 당신도 행복할 수 있으니까요.

버리고 나면 가벼워진다. 내려놓고 나면 홀가분해진다. 이 당연한 이치를 왜 깨닫지 못한 채 살았을까. 나만을 위해 산다고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나와 남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법, 우리가 사는 이 지구별을 위해 할 수 있는 작은 한 걸음의 실천. 모든 걸 버리고도 모든 걸 내려놓고도 충만해 질 수 있다. 충만(充滿)의 참 의미를 몸과 마음으로 느끼며 살 수 있다. 오로빌, 거기서라면 가능하다.

 



오로빌이 세계의 한 녘에 있어주어 고마운 이유,  

내가 오로빌을 좋아하는 이유는, 대세가 정해진 듯 보이는 세계에서  

다른 질서를 창조하며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치열한 노력 때문이다.  

그들의 치열함 속에 녹아 있는 선의와 우정의 연대와 포용의 느낌이 참 좋기 때문이다. 

(p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