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두뇌태교 - 똑똑하고 논리적인 아이를 만드는
송명진 지음 / 이른아침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따라 읽기만 해도 생각이 커가는 태교 책
- 송명진, 『수학두뇌태교』를 읽고


 임신을 한 예비엄마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엄마들이 그렇겠지만 나 역시 아가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건강한 아가를 출산하기 위해 자연스레 산모는 자신의 몸을 돌보게 된다. 음식을 가려먹게 되고, 좋은 공기를 쐬기 위해 평소 소홀히 하던 산책도 즐기게 된다. 작은 소음에도 신경이 쓰이고, 숙면을 취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이 모든 것들이 ‘건강’은 물론 ‘태교’와도 연관이 있다.

 임신 기간 동안 내가 선택한 태교 방법은 ‘독서태교’다. 엄마가 좋아하는 것을 기쁜 마음으로 행한다면 아가도 분명 좋아할 것이기에 평소 좋아하는 책읽기를 태교로 삼은 것이다. 음악 역시 필수! 책읽기에 방해되지 않는 잔잔한 음악을 늘 틀어놓고 책을 펼쳐든다. 소설과 에세이뿐만 아니라 태교 책도 여러 권 구입해서 읽었다. 대부분이 동화를 테마로 한 책이어서 그런지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출산 전에 뭔가 다른 사고를 요하는 태교를 하고 싶은데 선뜻 생각이 나질 않았다. 그러던 중 발견한 책이 ‘수학’을 테마로 한 『수학두뇌태교』라는 책이다. 임신 중에 바느질을 하면 아가의 숫자 감각을 키워줄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엄마인 나는 바느질에 자신이 없으니 도전한다고 해도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아 망설였었다. 이런 나에게 『수학두뇌태교』는 읽어볼만 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수학을 좋아하지 않지만 아가를 위해서라면 싫은 것도 감수해야하는 법. 도전하는 마음으로 첫 장을 펼쳤는데 기대 이상이었다.

『수학두뇌태교』는 미래의 수학자를 꿈꾸는 6학년 아들을 둔 수학교육 전공자 송명진님이 집필한 책이다. 아이들에게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기 위해 책 만드는 일을 하게 되었다는 저자는 ‘수학’을 태교의 한 분야로 자연스럽게 접목시키는데 성공한 듯 보인다. 대부분의 태교 책이 그러하듯 이 책 역시 임신 1주차부터 40주차까지 엄마와 태아의 변화를 첫머리에 언급하고 있다. 여기까지는 별다른 차별화전략이 없어 보인다. 그런데 본문을 살펴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수학’하면 맨 먼저 어떤 생각이 드는가. 수학을 유달리 좋아하지 않는 이상 머리가 지끈지끈 골치부터 아파올 것이다. 『수학두뇌태교』는 이런 선입견을 보기 좋게 깨뜨려준다.

 태교의 기본은 엄마가 부담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엄마인 저자가 모를 리 없다. 임신 1주차부터 40주차에 걸친 엄마와 아가의 변화를 자연스레 수학과 연결해 들려준다. 공부한다는 느낌보다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는 생각에 호기심이 생긴다. 분명 수학은 골치 아픈 분야라고 생각했는데 매주 조금씩 성장해가는 아가와 관련을 지으니 의외로 재미가 있다. 이야기는 평균 세 페이지를 넘지 않으며 마지막에 수학문제를 수록하고 있다. 문제는 어렵지 않다. 앞의 설명을 이해했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수준. 재미있는 것은 가끔 계산을 해야 하는 수학이 아닌 생각을 해야 하는 넌센스 같은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는 거다. 바짝 긴장을 하며 풀다가 결국에는 웃게 된다.

 굳이 문제를 풀 필요는 없다. 저자의 설명을 조곤조곤 따라 읽다보면 자연스레 머릿속으로 계산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의 힘이 태아의 두뇌를 수학두뇌로 만들어 주는 비밀이 아닐까. 매일 조금씩 혹은 임신주기에 맞춰 읽어가기에 부담이 없는 책이다. 엄마의 작은 노력과 생각이 아가에게 미치는 영향을 안다면 소홀히 할 수 없는 태교. 나처럼 수학하면 지레 겁부터 먹는 예비엄마라도 읽어본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동화태교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엄마의 사고영역 또한 넓혀준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익히 배워왔지만 성인이 되고 나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수학개념들. 수학을 몰라도 살아가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다. 그래도 모든 것을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아가를 위해서라면 결코 배제시킬 수 없는 분야다(어쩌면 절실히 필요한 분야가 될지도). 『수학두뇌태교』를 통해 수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보자. 어렵지 않다. 엄마의 선택이 아이의 미래에 자그마한 영향이라도 미칠 수 있기에 용기를 내어 읽어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