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카나, 달콤한 내 인생 - 투명한 햇살, 올리브나무, 키안티 와인 반 병, 파스타...
필 도란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 하루 진정으로 즐거우셨나요?
 - 필 도란, 『토스카나, 달콤한 내 인생』을 읽고


 평온한 시골 마을에 그림 같은 집 한 채 짓고 살고 싶은 꿈,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바라는 로망 중 하나일 것이다. 코끝을 간질이는 상쾌한 바람, 스멀스멀 번져오는 따스한 햇살, 경쾌하게 지저귀는 새소리까지……. 우리는 언젠가부터 전원의 삶을 꿈꾸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날, 당신의 아내 혹은 남편이 머나먼 타국의 한 시골 마을에 250년도 더 된 집을 사놓았다고 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그것도 노후자금으로 마련해둔 거의 전 재산을 다 털어 부었다고 한다면?

『토스카나, 달콤한 내 인생』은 작가 필 도란의 아내 낸시가 남편의 동의 없이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한 시골마을 캠비오네에 여생을 보낼 (다 쓰러져가는) 집 한 채를 마련하서부터 시작된다. 할리우드에서 시트콤작가 겸 제작자로 25년간 일해 온 필 도란. 한 때 잘나가는 작가로 밤낮없이 일할 당시 그와 비슷한 상황의 많은 동료들이 이혼의 위기를 겪어야했다. 이들 부부는 이혼을 생각하는 대신 나름의 돌파구를 찾아냈는데, 필 도란이 바빠질 시기마다 낸시가 이탈리아로 건너가 대리석 조각을 배우는 것이다. 10여년 정도 이런 생활을 반복하다보니 낸시는 피렌체에 있는 미술관에 전시를 할 만한 조각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그녀는 여생을 이탈리아에서 보내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에 사로잡히게 되고, 덜컥 집을 사버리고 만다. 길도 나지 않은 곳에 위치한 250년도 더 된(알고 보니 1000년은 더 된) 옛집을.

 어느 날, 아내에게 걸려온 말도 안 되는 한 통의 전화를 받고 토스카나로 날아간 필 도란. 팔리지 않는 시나리오 때문에 전전긍긍할 바에 머리나 식히고 오자고 가볍게 생각했다. 막상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달라도 너무 다른 이탈리아 사람들의 생활(사고)방식과 연이어 터지는 사건사고들 뿐.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지. 10분이면 해결되는 점심식사를 4시간에 걸쳐서 하고, 여름 중에서도 가장 핫한 7월과 8월 두 달 동안 직원들이 해변에 가야한다는 이유로 수영장 문을 닫아버리고, 공공기관의 행정 처리는 굼벵이 기어가는 것보다 더 더디기만 한 이탈리아가 점점 좋아지기 시작한다. 사생활이 완벽하게 보호되는 미국과 달리 사사건건 참견하려드는 이탈리아 사람들의 과도한 관심이 진심임을 서서히 알아가게 된 것이다. 특히 엄마 이야기와 여자의 눈물에 약한 이탈리아 사람들의 순수하면서도 열정적인 마음에 동화될수록 경계심으로 똘똘 뭉친 작가의 마음도 서서히 누그러지기 시작한다. 드디어 그에게도 사람 사는 냄새가 조금씩 묻어난다고 할까.

 필 도란에게 미국은 생활의 모든 편리함과 부와 명성을 안겨준 반면 철저하게 고립되고 치열하게 경쟁해야하는 만성 위경련을 일으킬만한 공간이었다. 반면 이탈리아는 자신의 존재를 인정해주고 진심으로 사랑해주는 사람들과 진정으로 인생을 즐기며 살아가는 여유가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 준 곳이다. 물론 다 쓰러져가는 집을 완벽하게 리모델링해 꿈의 보금자리로 복원하기 위해 시당국과 베수비아 핑가토레 집안과 지루하게 싸움을 해야 하긴 했지만. 결과는 대성공, 대만족! 아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더 이상 부부가 떨어져 있지 않고 함께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아가게 된다.

『토스카나, 달콤한 내 인생』은 필 도란의 좌충우돌 이탈리아 정착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속에는 반짝반짝 보석처럼 빛나는 수많은 깨달음들이 담겨있다. 이 책을 펼쳐들었다면 당신도 이미 인생의 참 의미를 찾아가는 경쾌한 여행에 한 발 들여놓은 셈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생이 어느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인지 진심으로 자문해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행서를 읽을 때보다 더 이탈리아로 빠져들게 만드는 책. 그건 아마도 우리가 마음속으로 바라는 무언가를 이 책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마디만 덧붙이겠다. 책의 첫 장에 ‘다 읽으신 분께는 딱 한 가지만 묻겠다. 재미있었수?’라며 묻고 있는 작가의 직업의식(시트콤작가)이 다분히 묻어나는 질문에 ‘정말 재미었었다’고 답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