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워킹 데드 해방일지 - 퇴사욕구와 인정욕구 사이에서 좀비화한 요즘 직장인 을 위한 일 철학
시몬 스톨조프 지음, 노태복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과거 회사를 다니던 시절을 떠올려 보면 기계적으로 출근하고 인정욕구와 퇴사 욕구 사이에서 흔들리는 시간을 보내다 보면 어느새 퇴근 시간이 된다. 그리고 다음날이 되면 똑같은 일을 반복한다. 모든 일상이 일을 중심으로 굴러가는 삶. 현대를 살아가는 직장인들이라면 모두 공감하지 않을까.
이 책에서는 과거 종교가 하던 역할을 현재는 직업이 대체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런 경향을 '워키즘(Workism)'이라는 신조어로 표현한다. 따라서 일명 워키스트들은 일을 통해 돈을 벌고 성취감을 느끼며 나아가 삶의 의미까지 찾고 싶어 한다. 누군가 내게 "당신은 뭘 하는 사람입니까?"라고 물으면 "번역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답한다. 나 역시 자신의 정체성을 일로 표현하고 일이 곧 나라는 잘못된 믿음 속에 살아가고 있었다.
저자는 자신이 하는 일이 곧 자신이라는 착각부터 좋아서 하는 일이라는 착각, 직업이 삶의 바탕이자 핵심이라는 착각, 나의 가치가 실적으로 결정된다는 착각, 친밀할수록 좋은 직장이라는 착각, 오래 일하는 만큼 일을 잘하게 된다는 착각, 사내 복지는 무조건 좋다는 착각, 위로 올라가야만 성공이라는 착각을 깨부수고 일과 조금 멀어져도 괜찮다는 진실을 이야기한다.
즉, 가짜 노동에 인생을 허비하지 말고 이제는 진짜 '나'를 위해 일할 때라고 주장한다. 일이 왜 직업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일을 통해 삶의 의미와 공동체, 목적의식까지 찾으려는 기대를 버리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 3년 동안 100명이 넘는 직업인을 취해하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덜 일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내가 일 책에 공감할 수 있었던 건 나 역시 비슷한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회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로 전향한 후 더 많은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 스스로를 책임져야 하는 환경에서 일을 많이 할수록 내 가치가 증명되고 몸값이 올라간다는 믿음을 맹신하여 무리할 때가 종종 있었다. 몇 년째 휴가 한번 가지 못했고 휴일에도 제대로 쉬어 본 적이 없었다. 그러다 보니 가끔씩 번아웃의 터널에서 헤어 나오지 못할 때가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토대로 일하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을 찾을 수 있었고 "덜 이해야 더 나은 인간이 된다"라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생각해 볼 질문이 있다. "일하지 않고도 먹고 살수 있다면 당신을 일할 것인가?" 가끔씩 일을 하지 않아도 통장에 고정적인 수입이 찍히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고민 끝에 내가 내놓은 답은 '일을 한다'이다. 하지만 일을 생각하는 마음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더 이상 생계 수단이 아니라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지 않을까. 일을 향한 열정을 자신을 향한 호기심으로 집중하라는 메시지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p. 26
"좋아하는 일을 한다면 평생 단 하루도 노동하지 않는 것이다"라는 명언에 동의하냐고 물었을 때, 모이가니는 내가 결코 잊지 못할 대답을 했다. "일은 그냥 일일뿐이에요. 누군가는 좋아하는 걸 일로 삼아요. 다른 누군가는 일하지 않을 때 좋아하는 걸 하기 위해 일하기도 하죠. 둘 다 거기서 거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