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환
앨러스테어 레이놀즈 지음, 이동윤 옮김 / 푸른숲 / 2025년 7월
평점 :

19세기, 한 무리의 용감한 원정대가 '데메테르호'를 타고 숨어 있는 균열과 미지의 구조물을 찾아 헤맨다. 마침내 균열을 찾아낸 순간 그들은 모두 죽음을 맞이한다. 20세기, 비행선 데메테르호는 균열을 통과하여 지구 공동으로 들어간다. 미지의 구조물을 발견하고 다가간 순간 또다시 죽음을 맞이한다. 탐험과 죽음이 반복되자만 이들은 구원을 향해 나아간다.
데메테르호는 다른 모습으로 탐험을 나서지만 죽음에 이르는 결말은 똑같다.
이들이 무엇을 찾아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처음에는 이해하지 못했다.
또다시 SF 장르의 벽에 부딪히는 걸까라는 좌절의 순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갔다.
데메테르호의 원정대 중 한 명이 자 의사인 사일러스 코드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들여다 보기로 했다.
데메테르호가 목표에 다다르는 순간 원정대는 모두 죽음을 맞이한다.
재미있는 건 반복되는 죽음의 순간에 사일러스가 그동안의 경험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쯤에서는 궁금증이 생겨난다. 이들이 찾고자 하는 균열과 미지의 구조물은 무엇일까.
소설의 원제인 대전환(Eversion)은 구의 뒤집기(sphere eversion)라는 의미로 가장 많이 언급된다.
구 표면을 찢거나 각지게 하지 않고 매끄럽게 겹칠 수 있다는 개념이라고 한다.
낯선 개념에서 사직된 불안은 소설을 다시 읽었을 때 조금씩 차츰 희미해지게 된다.
천체물리학자인 저자는 반복되는 탐험과 죽음 속에서 전환을 이룬다. 즉, 진실이라 여겼던 것들을
다시 재배열함으로써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전제의 답을 찾아간다.
소설은 미스터리의 분위기를 풍기며 진실과 허구의 경계에서 몽환적인 기분을 느끼게 한다.
SF 소설을 읽다 보면 머릿속에서 그려낸 세계를 직접 영상으로 보고 싶을 때가 있다.
이 소설 역시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상상한 장면이 작가의 의도와 맞는지 알고 싶어졌다.
소설 속에서 보이는 반복되는 상황에 답답함을 지울 수 없었지만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속 시원한 쾌감을 느낄 수 있다.
소설을 아우르는 전제가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끝까지 읽는다면 분명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서리뷰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