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의 빛 - 런던·오스틴·코펜하겐·서울에서 발견한 빛나는 생각들
조형래.김다현.강송희 지음 / 효형출판 / 2025년 8월
평점 :

오랜 시간 도시에서 살아서일까. '도시'라는 키워드는 늘 관심의 대상이다. 유명한 대도시부터 낯선 소도시까지 그곳에서의 삶을 들여다보는 건 더 나은 도시인으로 살고 싶어서일 것이다. 이 책은 도시의 '빛'을 주제로 저자들의 거주 경험을 바탕에 두고 있다. 도시 안에 담긴 고유한 빛을 소개하며 도시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세 명의 저자들은 런던, 오스틴, 코펜하겐, 서울의 빛을 보여준다. 내 버킷 리스트에 있는 영국이라 반가웠고 오스틴이라는 낯선 지명에 호기심이 생겼으며 코펜하겐의 휘게가 궁금했다. 그리고 케이 문화로 떠오르고 있는 서울의 미래에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
런던을 테마파크와 견주어 설명한 글은 무엇보다 이해하기 쉬웠다. 다핵형 구조와 공간의 상호 연결성은 보행자의 발걸음을 당긴다. 중심과 부심으로 각기 다른 랜드마크를 설계하여 즐거운 보행 경험을 만끽할 수 있게 해 준다. 여기에 블루 플라크로 상징되는 공공디자인이 더해져 사람들의 기억 속에 오래도록 각인된다.
오스틴은 낯선 도시였다.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이곳은 '이상함'의 매력을 뽐낸다. 저층 건물 위주의 수평적 도시설계, 정형화된 미학에서 벗어나 지역성과 개성을 반영한 상점과 간판, 다양한 문화를 특징으로 하는 이 도시는 도시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그 안에서 창의성 넘치는 인재들을 유치하며 예술 기술 교육 비즈니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휘게' 문화로 대표되는 코펜하겐 역시 특별한 도시다. 도심 속거 리에 트램펄린을 설치하여 일상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코펜하겐의 보편적인 주거 형태인 페리미터 블록은 도시 환경에서 정원에서의 휘게 시간을 보장해 준다. 항구 재개발 사업을 통해 산업 항구를 시민들의 여가 공간으로 전환한 점도 흥미롭다. 모두를 위한 도시라는 코펜하겐의 철학이 내가 살고 이는 도시에서도 반영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세계인들에게 안전한 도시로 인식되고 있는 서울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까. 이 책에서는 공간 설계, 도시 계획, 그리고 개선된 안전 인프라를 융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케이 문화가 글로벌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변화의 중심에 선 서울은 이제부터라도 분명한 방향성과 미래 전략을 가져야 한다고 충고한다. '케이팝 데몬 헌터즈'의 흥행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세계인들이 늘어나는 현실에서 공공 공간의 활용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고 도시 블렌딩이 강화된 서울의 미래가 기대된다.
젊은 도시학자들이 마주한 도시의 빛은 내가 살고 싶은 도시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도시에 대한 애정이 담긴 이야기는 각 도시가 가진 고유한 빛을 직접 경험하고 싶다는 충동을 점점 부풀린다. 도시에서의 행복을 꿈꾸는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도서리뷰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