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체 밸런스 리셋 - 하버드 의대가 밝혀낸 젊은 몸으로 오래 사는 법
네고로 히데유키 지음, 이지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9월
평점 :
하루의 대부분을 책상 앞에 앉아서 보낸다. 그 때문에 늘 허리와 어깨, 목까지 간헐적인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직업병이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도 통증이 심해지면 재활의학과나 한의원으로 달려간다. 그렇기에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스트레칭을 찾아보고 직접 해 보기도 하지만 그때뿐이다.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들었을 때 이건 딱 나를 위한 책이라 생각했다. 늘 피곤하고 찌뿌둥하며 몸을 회복시켜 주고 뻣뻣한 어깨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조건 따라 하리라 마음먹었다.
하버드대학 수명연장 프로젝트 팀의 권위자이자 의학박사인 저자는 우리 몸에서 심장 다음으로 어깨뼈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살면서 단 한 번도 어깨뼈를 의식하거나 중요성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에 다소 의외라고 생각했다. 저자는 등의 양옆에 날개처럼 달린 큰 뼈를 굳지 않고 부드럽게 움직여야만 평생 병이나 약 없이 살 수 있다고 단언한다.
그렇다면 이를 부드럽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하루 3분이면 충분하다. 어깨뼈를 부드럽게 만드는 간단한 스트레칭과 호흡법이면 신체 밸런스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책에는 각 동작에 대한 사진과 함께 자세한 설명이 실려있다. 이를 따라 하기 앞서 먼저 내 몸의 상태, 즉 어깨뼈와 호흡량을 책에 실린 대로 체크해 보았다. 그 결과 예상대로 어깨뼈는 꽤 굳어 있었고 호흡량 역시 부족했다.
이제 어깨뼈를 풀어주는 6가지 동작을 하나씩 해 보았다. 사진이 실려 있어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다. 간단한 동작만이 도로 평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니 하루 3분은 기꺼이 투자하기로 마음먹었다. 호흡법의 경우 처음에는 제대로 하고 있는지 확신이 서지 않았지만 일주일 정도 생각날 때마다 어깨뼈 스트레칭과 4.4.8. 호흡법을 하고 나니 목과 어깨 근육이 조금 편해진 듯한 기분이 들었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어깨뼈는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깨뼈가 무너지면 뇌도 위험해지고 어깨가 굳으면 당뇨병의 가능성도 높아지며 호흡도 얕아진다. 따라서 이제라도 바른 어깨와 호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스트레칭과 호흡법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운동이나 건강 관리를 소홀히 했던 지난날을 반성하며 하루 중 언제라도 내 몸을 위한 단 3분의 시간을 내기로 다짐해 본다.
p. 34
어깨뼈의 움직임이 둔해지는 이유는 어깨뼈 자체가 경직된 것이 아니라, 어깨뼈를 움직이는 근육이 약해지면서 어깨뼈와 근육을 잇는 힘줄 그리고 어깨뼈와 쇄골을 잇는 인대가 뻣뻣해졌기 때문입니다.
p. 53
혈압 및 혈당치 상승, 목과 어깨 결림, 내장 지방 증가, 수면 장애 등 몸에 나타나는 모든 문제의 원인은 뻣뻣하게 굳은 어깨뼈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