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력의 배신 -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다 잘할 수 있을까?
김영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7월
평점 :
학창 시절에 성공하고 싶다면 최소 1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일명 '1만 시간의 법칙'을 들어 본 적이 있다. 최선을 다해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분명 성공할 수 있다는 이 말을 믿으며 노력했던 시간들이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고 열심히 노력해도 목표를 이룰 수 없다는 사실에 좌절감만 깊어 갔다. 어른이 되어서도 노력에 대한 결과는 늘 실망스러울 뿐이다. 내 노력이 부족했던 걸까라는 질문은 내가 가진 능력에 대한 의심으로 번져 나갔다.
<노력의 배신>은 우리 사회에서 개인의 노력만 강조하는 진짜 이유를 파헤친다. 오랜 시간 미신처럼 굳어졌던 노력의 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노력 신봉 공화국인 대한민국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책을 읽을수록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이 점차 깨지기 시작했다. 저자는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배경에서 노력을 대하는 태도와 차이를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공부를 잘하는 것과 노력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노력과 능력 중 성공의 배경이 되는 속성에 대해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노력 신봉이 과연 의미 있는 일인지 돌아보게 만든다.
저자의 주장을 따라갈수록 세상에 배신을 당한 듯한 기분이 들었다. 내가 실패한 이유는 노력이 부족한 것일까. 재능이 없어서일까. 재능이 없는데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걸까. 수많은 질문이 떠올랐지만 명쾌한 답을 찾기가 쉽지 않닸다. 그렇다면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뭘까. 저자는 성공과 실패의 여부를 개인의 책임으로만 판단하지 말고 사회적 책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다. 타고난 능력이나 노력 외에도 사회적 환경과 구조가 개인의 성공을 좌우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소 모호한 주장처럼 들리지만 소득 불평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 부분을 읽다 보니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이 가진 재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구조의 중요성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공부를 잘하는 것이 성공으로 가는 길이라는 뿌리 깊은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각자가 가진 재능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빨리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p. 112
성과에서 재능이 노력을 압도하는 첫 번째 이유는 재능이 있어야 노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력은 아무나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p. 288
노력 신봉 공화국에서는 노력의 힘이 너무 과장되어 있다. 인생에서 성공하고 실패하는 것은 노력으로 결정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진실은 그렇지 않다. 노력보다 훨씬 더 강한 타고난 능력과 자질, 그리고 환경과 기회라는 주요인이 있으며, 그것들은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어지는 것들이라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