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니네 미술관 - 다정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그림과 인생 이야기
이진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10월
평점 :
미술을 매개로 한 여성들의 이야기에는 인생의 다양한 순간들이 들어있다. 그 순간들에 공감하고 나를 대입해 보면서 과거를 돌이켜보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철학과 미술, 그리고 문학이 만나 만들어낸 이야기는 지금의 나에게 다정한 위로를 건넨다. 세상을 다시 바라보고 크게 보라보며 함께 바라보는 것들을 통해 진짜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저자는 그림 속에서 떠올린 키워드를 바탕으로 세상의 모든 딸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어렵고 이론적인 철학이 아니라 우리네 삶에 스며들어온 철학이라는 점에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멋있게 나이 드는 일과 슬픔을 받아들이는 자세와 같이 세상을 먼저 살아온 선배의 따스한 조언을 담고 있다. 이러한 철학에 미술이 더해져 여성의 삶과 자기 안의 감정을 솔직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책의 시작은 여성의 삶에서 다시 바라봐야 할 것들을 이야기한다. 근육, 마녀, 거울. 연관성을 찾기 힘든 세 단어는 남에게 보이는 삶이 아닌 나를 찾는 주체적인 삶을 당부한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는 요즘, 보티첼리의 그림 속 비너스의 복근이 새삼 다시 보인다.
이 책을 읽으며 지금 느끼는 감정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정신없이 긴장 속에 살던 시간들이 정리되고 나니 지금의 평온하고 반복되는 일상에서 사는 재미와 신선한 자극을 향한 갈망이 커져만 갔다. 저자는 사소함과 익숙함, 하찮음이 결코 사소하고 하찮지 않다고 말한다. 익숙함이 더해지면 안정감이 되고 사소함이 겹쳐지면 단단함이 된다는 말이 유독 마음에 남는다. 오늘 하루도 무탈하게 보냈다는 안도감을 바라던 적이 있었는데 막상 그런 날이 반복되고 있으니 소소한 일상의 중요성을 잊고 있었던 것 같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는 말이 문득 떠오른다.
저자는 그림 속 요소들을 살펴보며 익숙함 속에서 낯설고 새로운 감각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그 감각을 온전히 받아들이며 현재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잔잔하면서도 힘 있는 문장은 잊고 있던 소중한 것들을 일깨워 준다. 사소한 오늘 하루도 무탈하게 지낼 수 있기를...
※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한 솔직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