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삶에 관한, 조금은 다른 이야기 - 다 이룰 수 없는 어른의 인생을 위한 수용전념 심리학
이두형 지음 / 갈매나무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 되면 완벽한 삶을 살거라 생각했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친구와 해질녘에 여의도 공원에 앉아 커다란 빌딩들을 보며 커리어 우먼으로 성공하자고 다짐했던 기억이 문득 떠올랐다. 실제 어른이 되어 만난 세상은 전쟁터였다. 인간관계에 상처받고 성과주의에 허덕이던 삶은 내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었다. 내 안에서 부정적 마음과 불안함은 걷잡을 수 없이 커져만 갔고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때 오로지 살아야겠다는 생각에 나는 전쟁터 같은 세상에서 도망쳤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저자는 우리 삶에서 갈등과 고통이 완벽하게 제거될 수 없다고 말하며 불편한 감정이나 느낌을 없애기보다 포용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내가 힘든 건 잘못 살아온 탓이 아니라는 점을 설파하며 다 이룰 수 없는 어른의 인생을 위한 '수용전념' 심리학을 전해준다. 

수용전념치료(ACT)는 삶의 불완전성, 인간의 심리적인 고통이 만연하다는 사실과 그러한 고통을 경감하려는 시도만으로는 더 나은 삶과 행복을 충분히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로부터 시작되었다.

p.19

저자가 말하는 수용전념 심리학에는 여섯 가지 기둥이 있다. 첫째 지난날을 안아주며 아픔을 다르게 보기, 둘째 언어의 감옥에서 빠져나오기, 셋째 지금 이 순간 관찰하고 보살피기, 넷째 과거 현재 미래의 나를 느껴보기, 다섯째 충동과 쾌락의 뒷모습 들여다보기, 여섯째 뒤엉킨 불행과 행복을 기꺼이 마주하기.


이러한 여섯 가지 기둥을 통해 우리는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저자는 다양한 환자 사례를 통해 마음의 방향을 잡고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조언을 건넨다. 특히 걱정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사소한 일에 고민만 하는 나에게 3장의 이야기는 귀가 쫑긋하게 만든다. 지금 이 순간에 몰두해야 하는 이유를 다시 한번 진지하게 고민하고 현실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것들을 기억해둔다. 


사실 수용전념이라는 개념을 실천에 옮기기까지는 쉽지 않다. 자꾸만 실수한 것만 떠오르고 자책만 늘어간다. 심리학을 다룬 책이라 여기고 처음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 저자가 제시한 제안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어떠한 고민과 고통이 있더라고, 어차피 먹어야 할 저녁식사 메뉴를 고심해서 고르고, 먹을 때 그 맛을 온전히 느껴보자." 지나간 일을 되씹고 고민해 봤자 이미 벌어진 일인데 뭐..라는 생각이 들면서 갑자기 웃음이 났다. 그래 쓸데없는 고민에 우울의 늪에 빠지느니 맛있는 저녁을 고민해 보자.


지금의 내 삶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심지어 내가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을 거라고는 단 한 번도 생각조차 한 적이 없었다. 거창한 행복과 성공이 아닌 소소한 기쁨을 떠올려본다. 이렇게 꾸준히 일을 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이미 나는 성공에 가까워지는 삶을 살고 있는 게 아닐까. 조금 더 나를 믿고 내가 가는 길이 맞다는 확신을 가져도 좋을 것 같다. 삶이 힘겨운 모든 어른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