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스 E. M. 포스터 전집 2
E. M. 포스터 지음, 고정아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룻밤 만에 다 읽을 수 있었는데, 아까워서 1, 2부는 하루 밤에 또 3, 4부는 다른 날 밤에 이런 식으로 나눠 읽었다. 소설을 아껴두었다가 읽는 다는 심정. 이해할 사람은 이해하겠지만, 그만큼 이 소설은 참 흡인력 있다. <모리스>는 한마디로 말해서 ‘동성애’를 다룬 소설이다. 그리고 E.M 포스터의 자전적인 이야기에 약간의 픽션을 섞어서 만든 소설이다. 그래서 그런 것일까. 주인공 모리스 및 그의 연인인 더럼의 심리 묘사면에서 매우 빼어나다는 생각이 든다. 밀고 당기기, 처음 본 순간의 떨림, 헤어진 뒤의 더없는 절망감 등등.

신사의 나라 영국. 엄연한 사회적인 계급이 존재하는 그 꽉막히고 답답한 사회에서 캠브리지의 평범한(?) 대학생인 모리스가 그곳에서 한 남자를 만나, 매혹당하고 자신도 모르게 끌리지만, ‘그러면 안되니까’ 그 남자의 사랑 고백에 ‘무슨 잠꼬대’같은 소리냐며 돌아선다. 하지만 결국, 자기 자신이 사춘기 시절 꿔왔던 꿈의 실체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은 캠브리지에서 열렬한 사랑을 나눈다. 그러나 이것은 모리스의 연인 더럼이 주장대로 순전히 플라토닉한 사랑에 머무르고 만다. 남자들끼리의 사랑은 그래야 한다고- 정신적인 사랑, 지적인 사랑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더럼의 주장에, 모리스 또한 그게 맞는 것이리라 생각하며 따른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진다, 모리스에게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일깨워준 이 ‘더럼’이란 남자는 참 ‘더럽’게도(?) '난 이제 정상으로 돌아왔어'라며 매몰차게 기존의 평온한 삶, 즉 이성애자들의 세계이자 사회 계급적으로 안락한 영국 신사의 세계로 돌아간다. ‘우리가 함께 했던 것들은 치기어린 어린애들의 장난’에 불과할 뿐이라는 태도로 모리스를 외면한다. 더럼은 모리스와의 지난 관계를 '성장 과정 중에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야'라는 식으로 치부하고 만다. 더욱이 모리스 앞에 약혼녀를 데리고 나타나, 그의 한때 연인이었던 그에게 가장 절친한 ‘친구’로서의 의무를 다해줄 것을 강요하기 까지 한다. 천하에 몹쓸 놈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런 더럼의 선택도 왜 그럴 수 밖에 없는지 작품을 읽어보면 수긍이 간다. 그토록 견고한 인습과 전통의 사회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선택은 그럴 수 밖에 없으리라. 그리하여 더럼이 떠난 뒤 모리스는 암흑의 세계를 걷는다. 절망......

1, 2부는 모리스와 더럼의 캠브리지 안에서의 플라토닉한 러브와 그들의 사랑이 파국으로 치닫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면, 3부는 그로 말미암아 방황하고 절망하는 모리스, 그러면서 서서히 육체적인 부름에 괴로워하고,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몸부림 치는 모습들이 그려진다. 그러다가 드디어 그에게도 새로운 연인이 등장한다. 소설의 마지막 단원인 4부에서는 모리스가 방황을 종지부 찍고 어떤 방향으로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지를 숨가쁘게 그린다. 더럼과 나눈 사랑의 방식과는 다른,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사랑, 육체와 정신이 완벽하게 결합되는 사랑을 만나는 것이다. 이렇게 나름대로의 해피엔딩을 보여주는 장면들은 꽤나 감명깊다.


모리스의 새로운 연인이 더럼과는 상대적으로 모든 면에서 다른 사람(이를테면 신분적인 면을 비롯하여 지적인 매력보다는, 육체적인 매력을 발산한다는 점에서, 유치할 정도로 스스럼 없다는 면에서)이라는 설정도 좋았다. 그리고 단순한 머리를 지닌, 노동 계급에 속하는 모리스의 이 새로운 연인이, 모리스를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는(모리스 또한 자신이 속한 사회, 계급, 부, 모든 것을 버린다) 장면에서는 눈물이 왈칵 나기도 한다.

E.M. 포스터의 생애를 훑어보면, 그가 사랑했던 남자, 또는 한때 연인이었던 남자들이 모두 결국 ‘결혼’이라는 사회 제도권 안으로 귀착하는 데 반해, 포스터는 평생 독신으로 늙어갔다. 그런 그의 생애가 소설과 오버랩 되면서 슬픔을 동반한 아이러니컬한 감동을 주기도 한다. 현실에서는 그의 사랑이 행복한 결맞을 맺을 수 없음을 알았기에, 작품에서라도 포스터의 분신임이 틀림없을 모리스가 행복해지기를 그는 바랐던 것이 아닐까.

이렇게 <모리스>는 플라토닉한 사랑에서 육체적인 기쁨을 동반한 사랑, 그리고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것을 포기하는, 인습과 전통따위를 모두 벗어 던져 버리고, 그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고자 싸워가는 한 남자의 ‘성장’이 아름답게 그려진다.


"나도 언젠가는 죽는다는 거 알지만. 지금은 죽고 싶지 않고 네가 죽는 것도 싫어. 우리 둘 중 한 사람이 죽으면 우리 둘 다 끝이야. 넌 그걸 깨끗하고 투명하다고 말하는 거야?”
“그래” 잠시 침묵이 흐른 후 모리스가 말했다.
“그러면 나는 더러워지는 쪽을 택하겠어” (p.139)                                                                                       

지나간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으로 기억되게 마련이다.배움이 없는 자들은 복이 있나니. 그들은 지난 사랑은 완전히 잊어버리고, 과거의 어리석은 행동이나 음란한 욕망, 두서없이 나누던 기나긴 대화들도 돌이키지 않으니. (p.15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맑음 2016-11-28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내리는 날 숲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에 소설이었어요~!! 제가 정말 좋아하는 소설인데 이렇게 다시 보게되니 기쁘네요^^

잠자냥 2016-11-28 13:44   좋아요 0 | URL
네, ‘비내리는 날 숲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이라는 말씀에 정말 공감합니다. <모리스>뿐만이 아니라 포스터의 모든 작품들이 숲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이 들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