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를 여는 역사 - 한중일이 함께 만든 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동아시아사’ 과목이 개설되어 2012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우리 학교에서는 선택하겠다는 학생이 없어서 개설되지 않을 것 같다. 그래서 동아시아사가 과목으로 선택된 배경이나, 새로 나오게 될 교과서, 내용 및 교육과정에 대해서 거의 무관심했다.
그런데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실시하는 동아시아사 원격 연수를 들어보니, 아이들이 느끼기에 한국사나 세계사 과목에 비해 역사를 훨씬 더 현재적이고 자기문제화 할 수 있는 게 하는 건 바로 이 ‘동아시아사’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삼국은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서로 뗄 수 없는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중/일 삼국의 역사는 세 개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 듯 우호, 갈등, 화해, 반목, 대립의 과정을 반복해가며 발전해왔다. 그런데 최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나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사업은 삼국이 동시에 경험한 역사적 사건이라고 해도 그것을 기억하는 방식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사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각국의 역사화해 노력은 민간 단체를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이뤄져왔고, 그 최초의 성과물로 나온 것이 바로 <미래를 여는 역사>라는 책이다. 이 책은 국가사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동아시아사로 통합되었다기 보다는 세 나라의 역사를 병렬적으로 모아놓은 데 지나지 않았다는 느낌이 조금 들긴 하지만, 한/중/일 시민단체가 참여하여 공동집필하였다는 점에서 좀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가장 긍정적인 부분은 역사를 지배층의 시각이 아닌 삼국 민중들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특정 사건을 삼국 모두의 입장에서 조망해 볼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한국사‘ 또는 ’한국근현대사‘에서 1925년에 제정된 치안유지법을 접할 때는 그 법이 한국의 사상범이나 독립운동가를 처벌하기 위해 만들어진 거처럼 느껴지는데, 일본의 공산주의자, 자유주의자, 국체변혁을 지향하는 자들 역시 그 법에 의해 탄압을 받았다.
“(P103. 일본의 경우는 메이지유신 직후에(1871), 한국에서는 갑오개혁(1894)으로 제도적인 차별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사회속에서는 그들의 직업이나 거주지에 대한 극심한 차별이 계속 남아있었다. 일본에서는 수평사(1922), 한국에서는 형평사(1923)가 결성되면서 차별을 없애기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두 조직은 교류와 협력을 추진했으나 ‘조선의 독립’을 공동 과제로 내거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이런 경우는 사회적 차별을 없애기 위한 계층간의 노력이 어느 일국에서만 있었던 일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역사가 평등이라고 하는 일정한 가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동아시아사 수업,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