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은교씨가 점점 희박해져가는 무재씨와 마주 앉아서 메밀 국수를 먹는 장면, 작은 규모로 솟아 있는 검은 그림자를 무심히 곁에 두고 무언가 생각에 잠겨 차가운 것을 하염없이 먹고 있는 무재씨를 바라보는 이 장면. (144-147면) 너무 아름답다. 두 번 읽어도. 너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속해보겠습니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문학은 스타일이 거의 전부입니다. 이 소설을 읽으니 생각을 '습니다'체로 하게 됩니다. 그러고보면 자기 자신에게 '습니다'체로 말하는 것이 어떤 개같은 상황에서도 의연한 태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가, 애초에 개같은 상황을 만드는 자들도 '습니다'체를 좀 배우면 어떤가,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씨의 입문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실업과 알바와 비정규직 덕택에 우리의 조국에서 우리의 모국어로 이렇게 좋은 예술 작품들을 갖게 되었으니, 이게 얼마나 좋은 일이냐, 이 말입니다. 이렇게 좋은 일이 또 있습니까? 이게 좋은 일이 아니라면 대체 뭐란 말입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아닌
황정은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이렇게 좋은 소설을 책상 옆에 두고 일 년이 되도록 안읽은 거니....응? <복경>의 어느 한 단락을 읽으며 갑자기 눈물이 났는데 그 눈물이 멈추지를 않았다. 그 단락이 어딘지는 말 안할게. 이 책이 재미 없다면 그건 당신이 아주 잘 살고 있기 때문이니 안심하라고. 부디 그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레나, 밀레나, 황홀한 경기문학 3
배수아 지음 / 테오리아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겟아웃>>에서 백인들에게 둘러쌓여 있으면 왠지 불편하다는 흑인 남자 주인공에게 역시 흑인인 가정부가 괴기스러울정도로 완벽한 미소를 지으며 ˝저는 아무렇지도 않은데요˝라고 말하는데 자기도 모르게 눈물이 한 방울 주르륵 흐르는 장면이 있다. 이 소설에서 정체 불명의 여자가 주인공 남자와 만두 가게에서 만두를 먹다가 갑자기 환한 표정으로 ˝누군가와 함께 있다는 것이....참으로 좋아요!˝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이 두 장면의 공통점이 뭘까. 뭔가 굉장히 비슷한 점이 있다. 둘 다 잊혀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