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은 어떻게 책이 되었을까
윌리엄 슈니더윈드 지음, 박정연 옮김 / 에코리브르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성경을 칭할 때 성경이라 칭해 본 적이 없다.

 

교회에 다닐 때조차 늘 성경책 가져왔어? 내지는 성경책 읽어보자, 이런 말을 많이 했고

또 많이 들어봤다. 물론, 성경 보자, 이런 말도 들어본 적은 있겠다. 하지만 이 때의 '성경'

이라는 것은 성경'책'을 지칭한다는 걸 말하는 이도 듣는 이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게다가 양 쪽 다 이 '성경' 이라는 단어가 '토라' 그 자체를 뜻하는지 '토라가 기록된 책'을

뜻하는 지 고민해 본 적 없으며 그걸 고민해 볼 만한 배경지식 또한 없었다.

 

이제, 내겐 성경이란 단어를 들을 때 '성경' 그 자체를 떠올려야 할 지,

'성경책'을 떠올려야 할 지를 고민해 볼 만한 배경지식이 생겼다.

물론, 어느것이 옳다, 그르다, 하는 문제는 아니다. 그냥, 그걸 고민해 볼 만 해 졌다는

것이다. 이는 곧, 아는 것이 힘이자, 병이라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럼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성경은 어떻게 책이 되었을까? 에 대해 저자는

사람들의 이기심과 권력추구, 기록파와 전승파 간의 경쟁을 통해 보고 있다.

이 경쟁에서 기록파가 이겼고, 성경은 성경책으로써 지위와 권위를 부여 받게 된다.

요는 결국엔 성경은 글로써 기록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이지만

이 책의많은 부분은 고대에 글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

그 글은 어떤 사람이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 글도 어떻게

변해갔는지, 또, 유대 내,외부적으로 글을 기록할 수 있는 상활들이 어떻게 변해갔는지 등,

상당히 많은 부분은 '글' 이라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고 있다.

덕분에 읽는 동안 주제가 약간 흐려지기도 했다. 그 과정들이 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한

과정이라는 건 알고 있지만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리고 이 책은 한걸음 물러서서 봐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고 있을 때만 해도 이 책이 과연 반기독교 서적인지에 대해 고민해 봤었고

이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다 읽고 나서도 성경이란 사람의 손을 참 많이 탔고

성경을 집필, 편집, 재편집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추가해 넣은 것,

애초에 해석을 잘못한 것, 번역을 잘못한 것 등, 성경이란 자체가 하나님의 말씀이자

성스러운 것이라고 여겨지기 보다는 애초의 토라의 바탕에 사람들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재창조된 또 다른 하나의 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 점을 집요하게 파고 든다면

반기독교적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기독교인으로서는 성경의 성스러움을 침해 당한

것만으로도 반기독교적이라 여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리뷰를 쓰기 위해 한숨 돌리고 차분히 생각해 보니,

그리고 이 책의 제목대로 성경은 어떻게 책이 되었을까를 생각해보니

이 책을 그리 반기독교적으로 몰고 갈 만한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애초에 말씀으로 전해지던 것이 어떻게 책이 되었는가를 서술해 놓은 것이지 않은가.

그리고 그 속의 사건들은 저자가 지어낸 것이라기보단 고고학적으로 밝혀내고 증명해

낸 것들이지 않은가. 그것들을 종합해서 성경이 책이 된 과정을 엮어낸 것.

 

어찌됐건 한발짝 물러서서 성경이 책이 된 과정을 살펴보니,

애초 글이라는 건 왕실, 서기관들의 전유물이었으나, 문자가 널리 보급되면서

구전되던 말씀이 기록되기 시작하였고 이 와중에도 기록파와 구전파간의 갈등과

경쟁이 있었는데 결국엔 기록파가 승리하여 그 말씀은 성경책이라는 책으로 엮어

이어지게 되었다. 뭐 이런 이야기 아닌가?

 

그리고 그 시기에 있어서 여러가지 고고학적 자료와 히브리어의 변화, 기록된 언어의

변화로 유추해 봤을 때, 어떤 것은 기원전 7세기쯤? 어떤 것은 기원전 2세기쯤? 하는 식으로

성경이 상당히 오랜 기간에 걸쳐져 집필, 편집, 재편집 되었다는 것.

 

이런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또한 저자가 서문에 밝혀놓았듯이 전문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의 교양차원에서

볼 수 있도록 책으로 엮어 낸다고 하지 않았던가. 저자의 의도는 최대한 일반인들이 보기 쉽게

풀어 쓴다는 것이었지만 저자의 기대와는 달리, 그리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었지만.

 

여하튼 이 책은 성경이 어떻게 책이 되었는지의 과정을 기술하겠다는 것과

일반인들에게 그러한 교양을 제공하겠다는 것.

이 두가지 목적은 달성했다고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