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레미 말랭그레 그림, 드니 로베르 외 인터뷰 정리 / 시대의창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노암 촘스키. 이름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듯 한데, 당최 뭐 하는 사람인지 관심 가져본
적도 알고자 한 적도 없었다. 이번에 새로운 사회를 여는 상상력이란 책을 구매하는데
증정본으로 딸려온 이 책은 왠지 본래 구입하려던 책 보다 더 재밌어 보인 까닭에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촘스키, 라는 한 사람의 머릿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이 작은 책 한권으로 다 파악할 수는 없을
게다. 하지만 이 책에 나와 있는 촘스키의 답변을 토대로 추론 해 볼 수는 있을 게다.
이런 식의 촘스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책. 인터뷰인 까닭에 사안이 제한되어 있지만
그 제한된 사안에 대한 촘스키의 답변에서 우리는 촘스키가 무엇을 따르는지, 그의 양심이
어디로 향해 있는지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촘스키도 엘리트이다. 스스로가 특권층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오히려 특권층이기에
자기는 이렇게 말해도 된다고 한다. 힘 없는 자가 이런 말을 한다면 당장에 큰 일이 나겠지만
자기는 특권층이기에 미국을 이렇게 비난할 수도 있는 거라고. 내게 촘스키는 엘리트주의 같았다.
마르크스를 읽고서 마르크스가 비난하는 그 엘리트주의에의 갈등이 일었다. 어쩌면 내가 지향하는
바는 애초부터 촘스키였던 건 아닐까. 이미 자신은 특권층이고, 특권층이긴 하지만 그 특권으로
인해 불법을 자행하는 게 아니라, 그 특권층임을 방패삼아 세상의 부조리에 맞서고 싶은
마르크스 식으로 말하자면 깨어있는 지성이기는 하나, 행동하지 않고 대중을 여전히 자신의
아래에 두려는, 대중을 여전히 계몽해야 하는 대상으로 보는 그 엘리트 주의.
참,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촘스키의 견해는, 일단 사람 이름이 붙은 건 다 의심해 봐야 한다는
답변이었다. 사람의 이름이 붙은 건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에 의해 신격화되기 마련이고
신성시 여겨져 왜곡이 가해지게 된다고. 이런 대답, 긍정도 부정도 아니었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아마, 촘스키는 마르크스 주의에 대해 어느 한 입장을 취하기 어려웠을 지도 모른다는
내 멋대로의 추측을 해 본다. 이건 내가 이미 그 엘리트주의에 한번 당해 봤기 때문이다.
아직도 난, 그 엘리트 주의에 대한 결단을 못 내렸지만 말이다.
그러하기에 이 책은 무엇보다도
나의 그 엘리트 주의에 대한 다른 길을 보여준 책이라 할 수 있겠다.